• 제목/요약/키워드: Alkali

검색결과 2,795건 처리시간 0.029초

갑오징어갑으로부터 칼슘의 추출을 위한 전처리 방법의 검토 (Study on Pretreatment Methods for Calcium Extraction from Cuttle Bone)

  • 조문래;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83-487
    • /
    • 2001
  • 갑오징어 가공 부산물인 갑으로부터 유용 칼슘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소성처리 ($800^{\circ}C$, 2시간), 고온가압처리 ($121^{\circ}C$, 10시간) 및 초음파처리 ($60^{\circ}C$, 10시간)와 같은 전처리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소성처리에 의한 칼슘 추출 분말의 경우 백색이었으나, 기타 추출법으로 처리되어진 칼슘 분말의 경우 연노랑색을 나타내었다 소성처리에 의한 갑 분말의 칼슘함량은 $70.5\%$로 원료 및 다른 전처리 방법에 비하여 약 2배정도 증가하였다 전 처리 방법에 따른 칼슘의 가용화율은 원료에 비하여 초음파처리 및 고온가압처리의 경우 약간 감소하였으나, 소성처리한 경우 약 22배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칼슘제로서 가장 중요한 품질지표인색조, 칼슘 가용화율 및 순도 둥으로 미루어 보아 전처리 방법으로는 소성처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소성처리 시료를 RED 상분석한 결과 주성분은 산화칼슘이었다. 그러나, 소성처리에 의한 칼슘 추출 분말의 경우 pH가 12.9로 강알칼리를 나타내어 안전성 측면에서 식품품질 개선제 둥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갑오징어갑으로부터 칼슘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소성처리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강알칼리로 인해 식품 품질개선제 등과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중성부근의 pH로 조정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

화력발전소 매립 석탄재의 분쇄가 지오폴리머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 (Grinding Effects of Coal-Fired Pond Ash on Compressive Strength of Geopolymers)

  • 이수정;강남희;전철민;주형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6호
    • /
    • pp.3-11
    • /
    • 2014
  • 화력발전소 바닥재는 입자크기의 범위가 넓고 미연탄소 함량이 높아 지오폴리머의 원료로 잘 사용되지 않는다. 지오폴리머의 원료로서 바닥재가 대부분인 매립 석탄재를 대량 재활용하기 위한 가공공정을 평가하기 위하여 로드밀과 유성볼밀로 분쇄하여 지오폴리머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기계적 분쇄가 바닥재의 비정질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다. 이는 석탄재의 주요 결정질 상인 뮬라이트가 침상으로 존재하는데, 침상의 뮬라이트는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갖기 때문에 비정질화되기 어렵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분쇄 효과는 입자크기를 감소시켰으며 매립 석탄재 입자의 크기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하여 알칼리와의 반응성을 증가시켰다. 로드밀은 상대적으로 입자크기의 범위를 좁게 만들었지만 입자크기 감소효과는 적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드밀의 분쇄는 최대 약 37%의 압축강도를 증가시켰으며, 이는 유성볼밀의 효과와 동일하였다. 로드밀 분쇄는 매립 석탄재의 반응성을 증가시켜 지오폴리머의 원료로 대량 재활용하기에 적합한 공정이다.

답토양(畓土壤)에서의 아연결핍(亞鉛缺乏)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수도(水稻)에 있어서 아연결핍(亞鉛缺乏)에 관(關)한 한국(韓國)과 비율빈 답토양(畓土壤)에 대(對)한 비교연구 (Studies on Zinc deficiency in paddy soil -I. Zinc deficiency of the rice plant in Korea and Philippine soils)

  • 안종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47
    • /
    • 1972
  • 우리나라 보은(報恩), 필리핀의 Batangas 토양(土壤)을 공시(供試)로 하여 수도생육(水稻生育)에 있어서 아연결핍(亞鉛缺乏)에 관(關)한 시험(試驗)을 국제미작연구소(國際米作硏究所)(IRRI)에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韓國)의 보은토양(報恩土壤)은 산성(酸性)이며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적고 수도체내(水稻體內)의 아연함량(亞鉛含量)도 33ppm인 정상적(正常的)인 토양(土壤)이고 비율빈(比律賓)의 Batangas 토양(土壤)은 Alkali며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이 많고 Ca함량(含量)이 많은 Ca Calareous 토양(土壤)이고 수도체내(水稻體內)의 아연함량(亞鉛含量)도 16ppm으로 심한 아연결피증(亞鉛缺乏症)을 보였다. 2. 수도체내(水稻體內)의 아연분포(亞鉛分布)는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한 상위엽(上位葉)에 많이 축적(蓄積)된다. 수도체내아연함량(水稻體內亞鉛含量)이 18ppm 이하(以下)이면 아연결핍(亞鉛缺乏)을 나타낼 우려가 있다. 3. 아연결핍(亞鉛缺乏) 토양(土壤)에는 요소질비료(窒素質肥料)로써 생리적산성비료(生理的酸性肥料)인 유안(硫安)이 좋고 요소(尿素)는 적합(適合)치 않았다. 4. 수도체내(水稻體內)의 Zn 다량흡수(多量吸收)는 Mn 흡수(吸收)를 조해(阻害)하며 수도체내(水稻體內)의 Mn/Zn 비(比)가 클수록 아연결핍(亞鉛缺乏)을 촉진(促進)한다. 5. 아연결핍토양(亞鉛缺乏土壤)인 Batangas 토양(土壤)에 $ZnCl_2$와 F.T.E의 시용효과(施用效果)가 컸으며 수확량(收穫量)은 대비구(對比區)에 비(比)해 유의성(有意性)있게 증수(增收) 되었다.

  • PDF

부식성 식도협착에 대한 식도 재건술(II) (Reconstructive Surgery for Caustic Esophageal Stricture (II))

  • 정승혁;강경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20-426
    • /
    • 1996
  • 본원 흉부외과에서는 1959년부터 1982년까지 24년간 부식성 식도헙 착증에 대한 344 수술례를 보고한 바 있으며,저자등은 1983년 1월부터 1995년 2월까지 69례의 부식성 식도협착증환자에서 결장을이용 한 식도재건술을 시 행하였다. 이중 냠자는 32명, 여자는 37명이 었으며 연령은 4세에서 65세까지 분포하 였으며 평균 연령은 36.4세 였다. 부식제의 종류로는 산성이 37례 (53.7%), 알칼리성 이 31례 (44.9%)였다. 3례 34.3%)에서 암이 합병하여 개홍술을 통한 식도절제술을 동시에 실시하였고 나머지 66례 에서는 식도 절제술을 시 행하지 않고 흥골하 식도 결장 위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64례에서 말단 회장부를 포함한 우 측결장을 순연동운동 방향으로 연결하였고 5례 에서 좌측결장을 이 용하였고 이중 2례는 순연동식, 3례 는 역 연동식으로 연결하였다. 문합부 누출이 가장 흔한 합병증(10례, 14.4%)이 었고 이중 8례 (11.6%)가 경부, 2례 (2.9%)가 회장-결장 문합부에서 있었다 수술 사망율은 2.9% (2례)였고, 사망원인은 패혈증과 종격동염이었다. 생존한 67명에 대하여 6개월에서 12년(평균2.5년)에 걸친 추적 결과 88.1%(59례)에서 정상 식 이가 가능 臼눗\ulcorner7.5% (5례)에서 중등도의 연하 곤란을 보였으며 4.5% (3례)는 입을 통한 식 이 섭 취가 불가능하였다. 결장을 이용한 식도 재건술은 이환율과 사망율이 적정한 만족스러운 술식이며 우 측결장은 지속적이고 기능적 인 대용식도이다.

  • PDF

작물학적 형질과 RAPD에 의한 찰벼 수집종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Glutinous Rice Collections Based on Agronomic Traits and RAPDs)

  • 김국환;김홍식;이석영;정봉환;송범헌;조용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2-220
    • /
    • 2005
  • 국내$\cdot$외 찰벼 111개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수량구성요소, 아밀로스 함량, 알칼리 붕괴도등 작물학적 형질과 RAPD 분석을 통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검토하였고, 이들을 이용한 유연관계 분석에 기초하여 품종군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물학적 형질을 이용한 군집분석에서 찰벼 유전자원은 4개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1군에는 51종$(46\%)$이 차지하였으며, II군과 III군에 각각 25종$(22.5\%)$, IV군에는 10종$(9\%)$이 속하였다. 특히 국내 수집종은 I, II군에 대다수 포함되었고, III군에는 indica 유전자원과 amylose 함량이 높은 유전자원들이 대부분이 포함되었다. 2. RAPD분석을 통해 선발된 15개의 primer로 부터 117개의 밴드를 얻었고, 이 중 다형성 밴드는 81개 $(69.2\%)$ 였다. 선발된 primer에서 증폭된 밴드의 수는$ 5\~12$개로 찰벼 유전자원은 평균 7.8개 였다. 3. RAPD에 의한 군집 분석시 9개 군으로 분류되었다. 전체 유전자원의 $77\%$가 I군에 속하여 가장 큰 품종군으로 분류되었고, 그 외 II-IX군은 소군으로서 $23\%$가 속하였다. 특히 I군에는 indica형과 조생종들이 많았고, 소군인 III-IX군에는 국내수집 유전자원들이 대부분이었다.

쌀 배유전분구조 및 물리적 특성의 품종 변이 (Varietal Variation in Structur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ice Endosperm Strach)

  • 강미영;최해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13-523
    • /
    • 1993
  • 쌀의 이용성 증진과 쌀 가공적성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쌀의 아밀로스함량 및 호화특성이 크게 다른 벼 24품종에 대한 쌀 배유전분의 구조 및 물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쌀 전분-요-드 정색반응의 최대흡수파장이 찰은 520nm, 메는 560nm~600nm까지로서 이밀로스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길어지는 경향이 있었고 비슷한 아밀로스함량 수준에서도 품종에 따라 최대흡수파장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2. 쌀 품종별 전본의 글루코오스쇄장분포 비교에 의하면 Fr. I에서 가장 큰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중간분획(Int. Fr).과 Fr. III/Fr. II율에서 품종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아밀로펙틴의 미세구조를 나타내는 Fr.III/Fr. II율은 찹쌀이 멥쌀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멥쌀간에는 아밀로스함량과는 관계없이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알칼리 붕괴도가 낮은 품종일수록 전분입자의 50% 산 가수분해 소요시간이 길었으며, 호응집성이 경질인 품종과 연질이 품종들 모두에서 50% 산 가수분해 소요시간에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호응집성이 경질인 품종일수록 Fr. III의 분포가 낮고 Fr. I의 분포 및 아밀로스 함량은 높은 경향이었다. 4. 쌀의 전분구조 및 특성과 쌀의 이화학적특성에 따라 주성분분석에 의하여 공시품종들을 6개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이는 주로 아밀로스관련 성분과 아밀로펙틴 구조성분에 따라 군집화 되었다.

  • PDF

코어방적사직물의 구김회복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se Recovery Behavior of Core-spun Yarn Woven Fabrics)

  • 권오경;성수광;김효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9-267
    • /
    • 1989
  • In this paper, the fabric specimen undergoes repeated laundering under given condition. After this cyclic laundering was applied, the crease recoveries of the specimen were measured using shirley crease revovery tester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factors at given condition during crease deformation. 5 samples of grey plain cloth were desized, alkali-scoured, bleached, whased with water, and air-dried. All tests were made on samples preconditioned to $65\%\;RH\;and\;20^{\circ}C$.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nalysed statistically to relate crease recoveries and the properties of smaples, recovery periods (time) of crease. Furthermore, the crease recoveries of core-spun yarn woven fabrics we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ose values for $100\%$ combed cotton yarn woven fabric and $65\%$ polyester $35\%$ carded cotton blended yarn woven fabric.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Regardless of materials, remarkable decrease are observed in crease recoveries about 1-5 cycles of the repeated laundering, but slack decrease are observed in crease recoveries after 5 cycle of the re-peated laundering. 2. Crease recoveries ($\alpha$) of core-spun yarn woven fabrics are relate to recovery periods (t) of crease as follows; log$\alpha$=0.01415 log t+2.1168 ($r^2=0.94$) 3. Core-spun yarn woven fabrics were superior to $100\%$ combed cotton yarn woven fabrics and $65\%$ polyester $35\%$ carded cotton blended yarn woven fabric in crease recoveries. 4. Crease recoveries ($\alpha$) of core-spun yarn woven fabrics are relate to cover factor (CF), thickness (T) at pressure 0.5 $gf/cm^2$, weight (W) as follows; log$\alpha$=-0.3482 log CF-0.4924 log T-0.4727 W+2.4243 ($r^2=0.88$) 5. Crease recoveries ($\alpha$) of core-spun yarn woven fabrics are relate to 2HB/B, 2HB/W, $\sqrt[3]{B/W}$, WC/T which are concerning to formation of weared clothes and bending Iran formation behavior as follows: log $\alpha$=0.0091 2HB/B+0.4667 2HB/W+0.0185 $\sqrt[3]{B/W}$+0.0114 WC/T+1.8433 ($r^2=0.86$)

  • PDF

Varietal Difference in Water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Milled Rice, and Its Relation to the Other Grain Quality Components

  • Hae Chune, Choi;Jeong Hyun, Chi;Soo Yeon, C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8-295
    • /
    • 1999
  • Nineteen japonica and Tongil-type rices were selected from seventy nine Korean and Japanese rice cultivars grown in 1989 based on the water uptake behavior of milled rice under the room temperature and boiling conditions. The selected rice cultivars were investigated for water absorbability and som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lled rice, proper water amount for cooking and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ested grain properties were also examined. The highest varietal variation of water uptake rate was observed at twenty minutes after soaking in water. The maximum water uptake of milled rices at room temperature occurred mostly at about eighty minutes after soaking in water. Newly harvested rice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water uptake rate of milled rice at 20 minutes after soaking, a relatively higher maximum water absorption ratio under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less water uptake and volume expansion of boiled rice compared with the one-year old rice samples. The water uptake rate and the maximum water absorption ratio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K/Mg ratio and alkali digestion value(ADV) of milled rice. The rice materials showing the higher amount of hot water absorption exhibited the larger volume expansion of cooked rice. The harder rices with lower moisture content revealed the higher rate of water uptake at twenty minutes after soaking and the higher ratio of maximum water uptake under the room temperature condition. These water uptake characteristic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of milled rice ansd the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e water/rice ratio(in w/w basis) for optimum cooking was averaged to 1.52 in dry milled rices (12% wet basis) with varietal range from 1.45 to 1.61 and the expansion ratio of milled rice after proper boiling was averaged to 2.63(in v/v basis). The water amount needed for optimum cooking was the lowest in Cheongcheongbyeo (Tongil-type rice) and the highest in Jinbubyeo, and the amount could be estimated with about 70% fittness by the multiple regression formula based on some water uptake characteristics, ADV and amylose content of milled ric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Nineteen rice 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seven groups based on scatter diagram projec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eight properties related to water uptake and gelatinization of milled rice.

  • PDF

백악기(白堊紀) 팔공산(八公山) 화강암(花崗岩)의 암석학적(岩石學的) 및 지구화학적(地球化學的) 연구(硏究)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the Cretaceous Palgongsan Granite, Southern Korea)

  • 홍영국
    • 자원환경지질
    • /
    • 제16권2호
    • /
    • pp.83-109
    • /
    • 1983
  • 팔공산(八公山) 화강암(花崗岩)은 칼크-알카라인 Subsolvus 몬조 화강암(花崗岩)에 속(屬)하고 중립질(中粒質)이며, 석영(石英), 장석(長石), 흑운모(黑雲母) 및 각섬석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화강암체(花崗岩體)의 광물입자(鑛物粒子)는 주변부에서 중심부(中心部)로 갈수록 대체로 커지며 주구성원소(主構成元素) 및 미량원소(微量元素)들도 대상분포(帶狀分布)를 보여주며 본화강암(本花崗岩)은 분별결정작용(分別結晶作用)에 의(依)하여 형성(形成)되었다. 팔공산(八公山) 화강암(花崗岩)의 (Ce/Yb)N는 5..78-9.50이며 LREE가 부화(富化)되어 있다. 전체적(全體的)인 희토류원소분포(元素分布)는 Eu negative 이상치(異常値)를 보여주며 $Eu/Eu^*$는 암체(岩體)의 주변부 (0.75)에서 중심부(中心部)(0.24)로 갈수록 그 변화(變化)의 폭(幅) 커지고 이는 주(主)로 장석분결(長石分結)의 영향에 의(依)한 것이다. 본(本) 화강암체(花崗岩體)는 정장석, 사장석 및 흑운모의 결과(結果)에서도 화학성분상(化學成分上) 대상분포(帶狀分布)를 보여 주며, 본암체내(本岩體內) two-feldspar의 지질온도계산결과(地質溫度計算結果)는 주변부에서는 약(約) $700^{\circ}C$ (4 Kbar) 중심부(中心部)에서 $500^{\circ}C$(2 Kbar)각각(各各) 평형안정(平衡安定) 된것으로 나타났다. 본(本) 팔공산(八公山) 화강암(花崗岩)은 광물조성(鑛物組成) 및 화학성분(化學成分)(높은양(量)의 HFS 원소 및 낮은양(量) LIL 원소)이 "I-type"에 속(屬)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암석구(岩石區)로 본 남한화성암조합(南韓火成岩組合)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關)하여 (Chemical Composition of Petrographic Assemblages of Igneous and Related Rocks in South Korea)

  • 이대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10권2호
    • /
    • pp.75-92
    • /
    • 1977
  • 남한(南韓)에 분포(分布)하는 화성암류(火成岩類)의 화학성분(化學成分)과 그 암석화학적성질(岩石化學的性質)을 개략적(槪略的)으로 알기 위해서 35개(個) 문헌(文獻)에서 359개(個) 화성암류(火成岩類) 및 화성기원(火成起源)으로 인정(認定)되는 암석류(岩石類)의 화학분석치(化學分析値)를 인용(引用)하였다. 분석치(分析値)들은 27개암석조합(個岩石組合)으로 구분(區分)하고 이들은 다음의 5개암석구(個岩石區)로 갈라서 처리(處理)하였다. (1) 경기지괴(京機地塊), (2) 영남지괴(嶺南地塊)(도표(圖表)에서는 이들을 합(合)쳐서 하나의 지괴(地塊)로 묶음). (3) 옥천대(沃川帶), (4) 경상분지(慶尙盆地), 및 (5) 알카리암구(岩區), 분석치(分析値)는 $SiO_2$대(對) $Na_2O+K_2O$ 및 CaO, D. I. 대(對)산화물류(酸化物類), AFM 삼각도(三角圖), AKF삼각도(三角圖), An-Ab-Or 노름삼각도(三角圖), 및 Q-Or-Ab 노름삼각도(三角圖)로 처리(處理)하였다. 이에 의(依)하면 (1) (2) (3) (4) 는 모두 칼식암계열(岩系列)에 (5)는 알카리암계열(岩系列)에 속(屬)한다. 또한 (1)-(2)와 (3)의 분화경로(分化經路)는 세계(世界)칼크알카리암계열(岩系列)에 (4) 는 Karoo dolerite에, (5)는 Mull 화산(火山) 및 알카리감람석현무암태지(橄攬石玄武岩台地)에서의 분화경(分化經)들과 유사(類似)하다. 지각내(地殼內) 점상질암(粘上質岩)과의 동화정도(同化程度)는 (1)-(2) 및 (3)에서는 매우 높고 (4)에서도 높으며 (5)에서는 낮다. $K_2O$ : $Na_2O$는 대체(大體)로 $K_2O$ < $Na_2O$이고 (3)에서만 $K_2O{\approx}Na_2O$를 보이고 있다. 노름치(値)에 의한 도표(圖表)에 의하면 지질시대(地質時代)의 차이(差異)는 있으나 남한(南韓)의 화성암류(火成岩類)는 일본(日本)의 화성암류(火成岩類)와 유근사(類近似)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