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ert Signal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초

How to Measure Alert Fatigue by Using Physiological Signals?

  • Chae, Jeonghyeun;Kang, Youngcheol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60-767
    • /
    • 2022
  • This paper introduces alert fatigue and presents methods to measure alert fatigue by using physiological signals. Alert fatigue is a phenomenon that which an individual is constantly exposed to frequent alarms and becomes desensitized to them. Blind spots are one leading cause of struck-by accidents, which is one most common causes of fatal accidents on construction sites. To reduce such accidents, construction equipment is equipped with an alarm system. However, the frequent alarm is inevitable due to the dynamic nature of construction sites and the situation can lead to alert fatigue. This paper introduces alert fatigue and proposes methods to use physiological signals such as electroencephalography, electrodermal activity, and event-related potential for the measurement of alert fatigue. Specifically, this paper presents how raw data from the physiological sensors measuring such signals can be processed to measure alert fatigue. By comparing the processed physiological data to behavioral data,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s tested. Using preliminary experimental results, this paper validates that physiological signals can be useful to measure alert fatigu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nvestigating alert fatigue, which will lead to lowering the struck-by accidents caused by blind spots.

  • PDF

T-DMB 국지적 자동재난경보방송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수신 모델 (Mobile Receiver Model for T-DMB Location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 권성근;전희영;이석환;권기룡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0A호
    • /
    • pp.796-80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자동재난경보방송을 위하여 T-DMB 기반의 재난 정보 운영 방법과 이를 위한 T-DMB AEAS 수신 모델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한 수신 모델에서는 T-DMB 방송 신호에 포함된 지리 정보와 DMB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사용자 수신 지역을 재난지역, 인접지역 및 미경보지역으로 구문한 다음 각 지역에 따라 재난경보를 전송한다. 이 때 재난지역의 지리정보는 T-DMB 방송 신호 내에 FIG 5/2 EWS의 AEAS 메시지 내에서 얻어지며, DMB 기지국 위치 정보는 FIG 0/22의 TII 신호 내에 주 식별자와 보조 식별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TII 배분표를 이용하여 예측된다. 본 실험에서는 제안한 수신 모델을 화면부, 저장부, 방송 수신 모듈에 해당되는 DMB 모듈 및 제어부로 나누어 구현한 다음, T-DMB 신호발생기를 이용한 테스트 재난경보방송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국가위기경보체계의 개선방향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National Crisis Alert System in Korea)

  • 황요한;위금숙;이원호;양원직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7
    • /
    • 2016
  • '경보'란 급작스러운 사고나 재해 따위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대비를 하도록 미리 알리는 일 또는 신호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경보의 목적은 재난 혹은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 국민이나 대응자에게 미리 준비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은 경보의 정의와 국내 외 경보체계의 사례를 통해 경보체계의 요건을 도출하였다. 경보대상자에게 상황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 도출한 경보체계의 요건은 1) 경보대상자 명확화, 2)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경보단계에 대한 명확한 용어 사용, 3) 경보단계들간의 명확한 구별성 등이다. 논문에서는 이 요건에 따라 우리나라 국가위기경보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Monitoring system of physical behavior for dementia patient

  • Tanaka, Motohiro;Murakami, Ryuya;Dong, Rue Shao;Ishimatsu, Takakazu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1968-1970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o forecast the dangerous behavior of the dementia patients. Basic idea of our approach is to measure the body movements of the dementia patients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Based on the data measured, warning the care-givers about possible dangerous actions like falling down from the bed and slipping down onto the floor to some extent. The signals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are processed by a one-chip computer. Based on the diagnosis of the one-chip computer , alert signal is generated to the care-giver by a wire-less signal. The sensor is implemented in a compact body . Applicability of the system is now being examined at a nursing home.

  • PDF

소형어선의 선외추락 경보장치 개발 방안 연구 (Developmental Plan of Man-Overboard Alert Devices of Small Fishing Vessels: A Study)

  • 김재원;김병옥;임종근;이주한;임재홍;박동국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45-252
    • /
    • 2018
  • 국내 연안의 소형어선에서 선외추락 등의 사고 시 대처 방법은 VHF-DSC 무선설비의 경보신호 버튼 조작에 의한 조난 경보 송신과 선박패스 장치(V-Pass)의 경보버튼 작동 또는 비콘 분리에 의한 경보신호 송신 방법이 병행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1~2인 승무 소형어선에서 선외추락 시 승조원이 이들 설비를 직접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송신할 방법이 없으나, 외국에서는 VHF-DSC 및 AIS, Bluetooth 등의 기술을 사용한 선외추락 경보장치(MOB)를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모선과 타선에 직접 송신하여 대처하고 있다. 외국에서 운용 중인 MOB 장치의 성능 및 기술 분석을 위해 근 장거리 전파환경을 측정한 결과, MOB 장치가 수면 표면에 있을 경우 최대 1해리 이내에서 경보 신호의 수신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국내 여건에 맞는 MOB 장치는 VHF 통신거리 내의 무선국으로 경보신호를 보내야 하나, 허위의 경보신호를 줄이기 위해서는 선박에 탑재된 VHF-DSC 무선설비와 원격으로 연동되어 운용하는 형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MOB 장치와 VHF-DSC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을 검토한 결과, 장치의 소형화 등의 장점이 있는 Bluetooth 방식이 적합하다. MOB 장치에서 비상신호 송신 시, 전용 수신기에서 수신하여 VHF-DSC 무선설비의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비상신호를 인지시켜 자체 경보 알람 발생으로 모선에서 인지할 수 있으며, 모선에서 대처하지 못한다면 VHF-DSC 무선설비에 의한 조난경보 신호를 모든 무선국으로 송신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국내 연안의 소형어선 등에서 선외추락으로 인한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터넷 기반의 수신자 맞춤형 재난경보 전달시스템 연구 (A Study on Internet Emergency Alert Distribution System Adaptive to the Receiver Characteristics)

  • 안소영;전인찬;김지희;이용태;최성종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98-605
    • /
    • 2015
  • 효과적으로 경보를 전달하면 재난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경보 전달 채널을 다양화 하는 것이 경보 전달 효과를 향상시킬 수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경보시스템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경보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에 운영 중인 CBS (Cell Broadcasting System)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와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자동재난경보 시스템(이하 T-DMB 재난경보방송)은 콘텐츠의 제한, 수신 기기의 제한, 단방향 서비스라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SS (Rich Site Summary)를 활용한 인터넷 기반의 수신자 맞춤형 재난경보 전달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 사례를 분석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설계한 결과를 테스트베드를 구현하여 검증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을 활용하면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소형선학의 충돌사고예방을 위한 경보시스템 설계 (A Study on the Design of Alert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 Accidents)

  • 이은방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5-108
    • /
    • 2003
  • 소형선박에서 초음파를 공기 중에 발사하여 50m내의 타 선박 및 장애물에 대하여 충동예방경보를 3단계의 발광 및 오디오 신호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초음파 충돌예방 경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시스템은 소형선박운항자의 제한 시계 내에서 감지 능력의 향상과 작업환경에 인지 능력향상으로 소형선박의 충돌사고예방에 효과가 기대된다.

  • PDF

소형선박용 기적경고신호 수신.경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histle Signal Reception and Alert System for Small Vessel)

  • 문성배;오진석;전승환;양형선;정은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1권8호
    • /
    • pp.990-997
    • /
    • 2007
  • In the last 5 years, collisions of fishing vessels have recorded about 54.6% of the total marine accidents. Specially about 64.0% of these collisions were caused by navigator's negligence of watch keeping during wor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vessel detecting system that is able to receive the whistle blast of other vessel and make a warning sound and light when the fishermen can not confirm the approaching another vessel on account of fishing works. It is designed to receive the whistle signal blast by a weather tight microphone. The signal is processed by analog active filter in order to enhance the SNR(Signal to noise ratio). And this microprocessor-based system is programmed to do ADC(Analog to digital converting), FFT analysis, controls of warning sound and light.

COSPAS-SARSAT을 이용한 탐색구조 신호 보안 (Secured Search and Rescue Signal using COSPAS-SARSAT)

  • 백유진;조태남;김재현;이상욱;안우근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57-162
    • /
    • 2014
  • The international COSPAS-SARSAT program is a satellite-based search and rescue distress alert detection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best known as the system that detects and locates emergency beacons activated by aircraft, ships and so on. However, the current message format of the system is not encrypted so that, if the rescue signal can be intercepted by the unintended receivers, the subsequent rescue activities can be handled in a hostile environment. So, this article concerns how to deal with the rescue signals in a secure way and proposes some adequate encryption methods and the corresponding key management.

MF/HF DSC controller의 송신신호처리 구현 (Implementation of transmitter signal processing of the MP/HF DSC Controller)

  • 이홍기;유형열;조형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23-129
    • /
    • 1997
  • 본 논문은 전세계 해상 조난 및 안전 시스템(GMDSS)의 의무 비치 장비인 MF/HF DSC Controller의 송신 기능인 조난호출 및 일반호출의 신호처리 구현에 관한 내용이다 구현을 위하여 필수적인 전파규칙(RR), SOLAS협약을 중심으로 ITU-R, SOLAS의정서, 기술기준 등 DSC관련 국내외 규정을 비교 검토하여, DSC설비의 신호처리 기술 및 송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본회로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개발과정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uPD70320)를 이용하였고,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운용 프로그램을 C언어로 작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