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ian blue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31초

미만성 범세기관지염에서 Epidermal Growth Factor 수용체의 발현과 배상 세포 이형성과의 관계 (Rel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xpression to Goblet Cell Dysplasia in Diffuse Panbronchiolitis)

  • 정기환;이승헌;김병규;공회상;김제형;박상면;신철;심재정;인광호;김한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37-45
    • /
    • 2002
  • 연구배경 : 미만성 범세기관지염은 임상적으로 기침, 객담 및 노작성 호흡곤란을 특징으로 하며 기관지확장증으로 진행하는 만성 염증성 폐질환이다. 기관지확장증의 발생 기전은 정액 과다분비 및 배상세포의 이형성과 동반된 염증성 매개물질에 의해 조절되며 이 과정에서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만성 범세기관지염 환자에서의 배상세포의 이형성과 EGFR의 발현, 호중구에 의한 염증성 매개물질 사이의 연관을 살펴보았다. 방 법 : 13명의 미만성 범세기관지염 환자군과 6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점액 과다분비에 대한 EGFR의 역할을 보기 위해 alcian blue/periodic acid(AB/PAS) 염색과 MUC5AC, EGFR, CD16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미만성 범세기관지염 환자군의 AB/PAS 염색과 MUC5AC 염색 정도는 $8.31{\pm}3.36%$, $11.46{\pm}4.68%$ 이었고, 정상 대조군의 AB/PAS 염색과 MUC5AC 염색은 $50.5{\pm}5/77%$, $53.3%{\pm}6.67%$로 정상 대조군에서 환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EGFR의 발현은 환자군에서는 $9.54{\pm}4.95%$이었으나 정상 대조군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호중구 침윤은 환자군에서 $71.92{\pm}3.71$HPF 이었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45.0{\pm}5.73$/HPF로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2). 결 론 : 미만성 범세기관지염에서 EGFR의 발현이 점액 과다 분비와 배상세포의 이형성 및 호중구성 염증과 연관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표면의 내외봉한관과 봉한소체의 형태학적 관찰 (The Morphology Study of Organ Surface BongHan Ducts and Corpuscle)

  • 안성훈;김민수;이상훈;권오상;김재효;소광섭;손인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6권1호
    • /
    • pp.79-84
    • /
    • 2009
  • Objective : In 1960's Bonghan Kim's team found BongHan(BH) ducts which were presumed as acupuncture meridians and BH corpuscles. They asserted Bonghan theory and SanAl theory which was involved in cell division and cell restoration. However, many other experiments which had been operated to demonstrate and find the existence of BH ducts had failed because of the secret of blue stain drugs. During the last several years, BongHan theory has been revived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es to find the anatomical structures of BH ducts and corpuscles by Soh's Biomedical Physics Lab. Soh's research team used the staining with Janus Green B, Alcian blue, nanoparticles and Acridine Orange. We used DAPI staining to find the existence of BH ducts and the corpuscles and to observe nuclear arrangement. Methods : We used japan white rabbits as experimental animals. BH ducts and corpuscles were stained with DAPI. The nucleus configuration in BH ducts stained with DAPI were observed with microscope. Results : In this study, we found thread like structures in silver white color distinguished from the blood vessels, nerves and lymph vessels. These thread like vessels in the linear duct shape were connected to same colored mass in the ball shape. Thread like structures we found could be separated easily from the surrounding other organ mass. The nuclei of the thread like structure in DAPI staining, are about 10${\sim}$20${\mu}m$ length, in rod shape and linear arrangement.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the thread like structure we found was same vessel reported by Soh's research team, BongHan ducts and corpuscle.

  • PDF

요꼬가와흡충 감염에 대한 흰쥐 장 점막 비만세포의 반응 (Mucosal mast cell responses to experimental Metagonimus yokogawai infection in rats)

  • 채종일;김태흥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129-134
    • /
    • 1993
  • 장 점막 비만세포(mucosal mast cells)는 여러 장 질환을 비롯하여 기생충 감염증 등에서 증가함이 잘 알려져 있으나, 우리 나라에 흔한 인체 장흡충류인 요꼬가와흠충 감염에 있어서는 연구가 없었다. 이 연구는 흰쥐의 실험적 요꼬가와흡충증을 모델로 하여 감염 후 충체가 자연 치유되는 약 4주 동안 충체 회수율의 변화 및 장 점막 비만세포 수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관찰한 것이다. Sprague-Dawley계 흰쥐 1마리당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 2,500개씩을 총 20마리에 감염시켰고(비감염 흰쥐 6마리를 대조군으로 둠), 감염 1, 2, 3, 4주 후에 각각 5마리씩 회생시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장 점막 비만세포는 흰쥐의 십이지장, 공장 상부, 중부 및 하부로부터 조직을 채취하여 Carnoy액에 고정한 후 절편을 만들고 alclan blue(pH 0.3)/safranfne-0 염색을 하여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충체 회수율은 감염 1주 및 2주에 평균 16.B% 및 13.8%, 3주 및 4주에 각각 4.1% 및 4.2%로 나타나, 감염 2주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3-4주에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비만세포의 수는 감염 1주부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3주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다가 4주째에 약간 감소하였다. 십이지장, 공장 상 부, 중부 및 하부의 부위에 따른 비만세포 수의 차이는 얼었다. 충체 회수율과 비만세포 수의 변화 양상을 비교해 볼 때, 비만세포가 충체 회수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시기에 맞추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므로 충체 배출과 관계되는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노래미, 쑤기미, 구실우럭 및 홍감펭 장관 점액질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Histochemical Studies of the Intestinal Mucosubstances in Agramus agramus, Inimicus japonicus, Epinephelus chlorostigma, and Helirolenus dactylopterus)

  • 정길남;조운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69-1674
    • /
    • 2007
  • 농어목에 속하는 경골어류 4종(노래미, 쑤기미, 구실우럭 및 홍감펭)의 장관 점액질의 조직화학적 성상을 밝히기 위해 peridic acid Schiff (PAS) 반응, alcialn blue (AB) pH 1.0 및 pH 2.5, AB pH 2.5-PAS, aldehyde fuchsin (AF) pH 1.7-AB pH 2.5 및 high iron diamine (HID)-AB pH 2.5 염색을 실시하였다. 장 점막에 있는 주름의 모양은 어종 및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장의 모든 부위에서 관찰되는 배상세포는 원주세포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모양은 구형이거나 타원형이었고 원위장에서 수가 가장 많았다. 구실우럭 중간장 및 원위장과 노래미, 쑤기미 및 홍감펭 장에는 산성점액질과 중성점액질이 나타났으며 산성점액질의 성상은 sialomucin이었다. 구실우럭의 근위장에는 중성점액질만 나타났다. 점액질 양과 성상은 장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쑤기미의 원위장은 산성점액질과 중성점액질 양이 비슷하였다. 노래미의 장관 모든 부위, 쑤기미의 근위장과 중간장, 구실우럭의 중간장과 원위장, 홍감펭의 원위장에는 산성점액질이 중성점액질보다 더 많았다. 홍감펭의 근위장과 중간장에는 중성점액질이 산성점액질보다 더 많았다.

Histochemical Study on Glycosaminoglycans of Esophageal Mucous Cells in Agramus agramus, Inimicus japonicus, Epinephelus chlorostigma and Helico-lenus dactylopterus

  • Jo, Un-Bock;Jung, Kwun-Soon;Hong, Mal-Sook;Jo, Gi-Ji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8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structure of esophageal mucousa and the histochemical properties of glycosaminoglycans of esophageal mucous cells in four teleostean species, i.e., Agramus agramus, Inimicus japonicus, Epinephelus chlorostigma and Helicolenus dactylopterus. To observe the structure of eosphageal mucosa, hematoxylin-eosin(H-E) staining was used. The glycosaminoglycans was stained with PAS(periodic acid schiff), alcain blue(AB) pH 2.5, AB pH 1.0, aldehyde fuchsin(AF) pH 1.7, AF pH 1.0, AB pH 2.5-PAS, AB pH 1.0-PAS and AF pH 1.7-alcian blue pH 2.5. As for the amount and histochemical composition of glycosaminglycans in Agramus agramus, most of mucous secreting columnar cell and mucous cells contain large and moderat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 few of mucous cells having small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minimal amount of sulfated glycosamino-glycans. In Inimicus japonicus, the esophageal mucous cells were composed of most of medium sized and large mucous cells with moderat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only only, a few of medium sized and large mucous cells and most of small mucous cells with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minimal to small amount of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s, and a feq of small mucous cells with small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minimal amount of sulfated glycosaminoglycans. In Epinephelus chlorostigma, most of medium sized and large mucous cells were mixed small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with sulfated glycosaminoglycans, a few of which were contained with moderate or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with sulfated glycosaminoglycans, while most of small mucous cells containing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small to moderate or considerable to minimal amount of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s(sialomucin) a few of which containing a mixture of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considerable amount of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s(sialomucin)only. In Helicolenus dactylopterus, most of medium sized and large mucous cells, mixing with moderate to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small to moderate amount of sulfated glycosaminoglycans, while most of small mucous cells with considerable amount of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s (sialomucin), a few of which having a mixture of considerable amount of neutral glycosaminoglycans and considerable or small amount of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s(sialomucin).

  • PDF

로페로마이드로 유도한 변비랫드 모델에서 프락토올리고당 및 과채복합 추출물의 변비개선 효과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865-872
    • /
    • 2024
  • Loperamide에 의한 변비는 위 배출, 소장 및 대장 운동성을 감소시켰으며, 과채복합추출물(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FVCE)은 이러한 효과를 예방한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실험에서 로페로마이드(3mg/kg, sc, 14일)로 유발된 변비 수컷 Sprague-Dawley 쥐에 대한 프락토올리고당 및 과채복합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쥐를 무작위로 정상대조군 쥐(일반식이), 변비 쥐(일반식이 + 로페로마이드), 200mg FVCE(200mg/kg/day FVCE + 로페로마이드가 보충된 일반 식이)로 처리한 변비 쥐, 400mg FVCE로 처리한 변비 쥐(200mg/kg/day FVCE와 로페로마이드가 보충된 일반 식단)으로 시험군을 구성하였다. 대조군 쥐에 비해 로페로마이드로 처리된 쥐에서 대변 배설량이 적고 대변 수분 함량이 더 낮았다. FVCE을 경구투여 하면 분변배설량의 감소를 억제하고 로페로마이드로 처리된 쥐의 대변 수분 함량. 로페로마이드를 처리한 쥐에서는 대장선와세포의 점액 생성과 대변 및 점막표면의 점액 함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FVCE 처리군에서는 대장선와세포의 뮤신 함량이 증가하였고, Aclain blue로 염색된 점액층은 로페로마이드 처리군에 비해 FVCE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두꺼워졌다. 쥐 회장에서 로페로마이드는 회장 운동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결과는 FVCE가 로페로마이드에 의한 대장 연동 운동 억제 완화에 효과적이며 FVCE추출물이 변비 예방에 효과적 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성장과 외투막 구조에 미치는 TBTCl의 독성 (Tributyltin Chloride (TBTCl) Toxicity on the Growth and Mantle 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박정준;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9-241
    • /
    • 2008
  • TBTCl에 36주 동안 노출된 대복(Gomphina veneriformis)의 성장과 외투막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복의 성장은 모든 실험구의 개체들이 12주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p < 0.05). 대복의 외투막은 가장자리에 4 개의 주름 (내부 안쪽, 외부 안쪽, 가운데, 바깥쪽)을 가지며, 단층의 원주형 상피층이 결합조직층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였다. 대복의 외투막은 TBTCl 노출 12주 이후부터 혈림프동이 확장과 근섬유 다발의 분절이 관찰되었다. 노출 20주에는 내부상피층에 존재하는 점액세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지만(p < 0.05), 외투막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주름들에서는 노출 12주까지 감소하였던 점액세포가 증가하면서 AB-PAS (pH 2.5) 반응시 보라색 (2587c)으로 관찰되는 점액물질이 관찰되었다. 이후 노출 28주에는 가운데 주름 부위의 안쪽 분지에서 상피세포의 변형이 관찰되었고, 외부 상피층에서는 상피세포의 부분적인 파괴가 관찰되었다. 실험 종료시기인 36주에는 바깥쪽 주름 부위에 호산성 과립들이 관찰되었으며, 가운데 주름부위의 바깥 분지에서 상피세포의 변형과 파괴로 인한 상피층의 붕괴가 관찰되었다. 또한 외부 상피층의 상피세포들은 입방형 또는 편평형으로의 변화와 함께 부분적인 상피층의 붕괴가 나타났고, 그로 인하여 상피층의 두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섬모의 탈락과 점액세포의 감소 그리고 상피층의 파괴는 외투강 정화 기능의 장애로 인한 먹이 섭식의 장애를 유발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외투막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주름들의 구조적인 변화는 각피층 형성을 억제하여 패각 성장 장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가잠난각의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and Som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Egg Shell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 마영일;박광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5-72
    • /
    • 1983
  • 가잠의 휴면성을 난각의 조직학적 특성을 보고자 난각층에 대한 전자현미경상을 관찰하였고 또한 난각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수분투과성, 염산투과성, 염색성 및 난각 구조단백질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난각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뚜렷이 4층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휴면난과 비휴면난 및 즉침난 사이에 구조적인 차이가 보인다. 즉 외층 밖에 또 다른 전자밀도가 낮은 얇은 층이 휴면난에는 존재하고 있으나 비휴면 및 즉침난에는 이 층을 볼 수 없다. 2. 산난후 20∼24시간째의 휴면난과 비휴면난 및 즉침난 사이에 난각염산투과성의 차이를 보면 휴면난에 비해 즉침난 및 비휴면난이 모두 투과성이 높았고 또한 난령이 지남에 따라 휴면난은 투과성이 떨어지는데 반하여 즉침난 및 비휴면난은 투과성이 높아졌다. 3. 휴면난의 ether 처리난은 무처리난에 비해 난각의 투과성이 변하는 것으로 보아 난각물질 중 ether 용출물이 존재한다. 4. 난각의 수분투과성도 염산투과성에 있어서와 같이 휴면난이 즉침난 및 비휴면난에 비해 수분투과성이 낮았다. 5. 가잠난각의 조직화학적 특성은 단백질과 당에 대한 염색성이 높아 난각에는 단백질과 당이 풍부하며 특히 지질에 대한 염색성은 거의 음성이나 내층으로 갈수록 진하게 염색되었다. 6. 누에의 난각점착물은 PAS-alcian 반응으로 보아 mucopolysaccharides이다. 7. 난각 구조단백질 중 SH단백질에 대한 전기영동상에 있어서 휴면난과 비휴면난 모두 2개의 band가 인정되나 비휴면난의 경우 이동거리가 빠른 band는 매우 흔적적이며 또한 영동거리도 원점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두 처리간에 minor component에 차이가 보였다. 8. SH단백질에 대한 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는 휴면난 및 비휴면난 사이에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고 난각단백질중 SH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에는 glycine이 가장 많고 cystine함량은 적었다. SI K-2 는 Penicillin, Ampicillin과 Cephalothin에 저항성을 나타냈고 ts-U171, A-N92와 A-N115는 이 세항생제에 민감성을 나타냈다. Temperature - sensitive돌연변이균주를 42$^{\circ}C$에서 24시간 배양후에 28$^{\circ}C$로 옮기어 배양한 결과 ts-U601, -U603, -U604와 -U171은 성장을 더 이상하지 않았다.ta-exotoxin을 생산했는데, 48시간 배양 배지 $m\ell$당 70$\mu\textrm{g}$을 분비한 균주는 BTK-1이고, BTK-37 균주는 $m\ell$당 88$\mu\textrm{g}$(6.1$\times$$10^{8}$ Cells/$m\ell$) BTK-35 균주는 $m\ell$당 81$\mu\textrm{g}$(5.2$\times$$10^{8}$ Cells/$m\ell$)을 생산했고. 그외는 모두 70$\mu\textrm{g}$미만이었다. 3. Beta-exotoxin과 B. thuringiensis 균체을 동시에 per os, interaperitoneal injection, subcuntaneous injection, nasal cavity inoculation, intracerebral injection을 120시간 처리했어도 치사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삼각호마법 and Japan#s 병음한자변환방식 have prospect to be prevalent.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rom these results, 1) All the

  • PDF

청조구폐탕(淸燥救肺湯)과 이음전(理陰煎)이 호흡기 접액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ongjogupye-tang(淸燥救肺湯) and Yieum-jeon(理陰煎) on Secretion of Mucin from Respiratory Epithelial Cells)

  • 박완열;서운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18-333
    • /
    • 2008
  •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d to examine whether Cheogjogupye-tang (淸燥救肺湯, CGPT) and Yieum-jeon (理陰煎, YEJ) significantly affect in vitro and in vivo mucin secretion, MUC5AC gene expression in airway epithelial cells and contractility of isolated tracheal smooth muscle of rabbit. Materials and Methods : For in vitro experiment, confluent hamster tracheal surface epithelial (HTSE) cells were chased for 30 minutes in the presence of CGPT and YEJ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agents on mucin secretion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ith removal of oriental herbal medicine extract from each agent-treated sample by centrifuge microfilter. Also, the effects of the agents on TNF-alpha or EGF-induced MUC5AC gene expression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NCI-H292) were investigated. Possible cytotoxicities of the agent were assessed by examining both LDH release from HTSE cells and the rate of survival and proliferation of NCI-H292 cells. For in vivo experiment, hypersecretion of airway mucin and goblet cell hyperplasia was induced by exposure of rats to $SO_2$ over 3 weeks. Effects of CGPT and YEJ orally administered for 1 week on in vivo mucin secretion from tracheal goblet cells of rats and hyperplasia of goblet cells were assessed using ELISA and histological analysis after staining the epithelial tissue with alcian blue, respectively. Also, the effects of CGPT and YEJ on contractility of isolated tracheal smooth muscle were investigated. Results : (1) CGPT significantly inhibited in vitro mucin secretion from cultured HTSE cells. However, YEJ did not affect in vitro mucin secretion; (2) CGPT and YEJ did not affect hypersecretion of in vivo mucin and hyperplasia of tracheal goblet cells; (3) CGPT and YEJ slightly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TNF-alpha or EGF-induced MUC5AC gene in NCI-H292 cells; (4) CGPT and YEJ inhibited acetylcholine-induced contraction of isolated tracheal smooth muscle of rabbit; (5) CGPT and YEJ did not affect LDH release from HTSE cells and the survival and proliferation of NCI-H292 cells. Conclusion :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GPT and YEJ mainly affect the expression of mucin gene rather than secretion of mucin and do not show remarkable cytotoxicity to respiratory epithelial cells.

  • PDF

단백질인산화효소 C 활성화제로 유도된 기도 뮤신 생성 및 유전자 발현과 점액 과분비 모델동물에 대한 수종(數種) 방제의 영향 (Effects of Several Oriental Medicines on Protein Kinase C Activator-Induced Production and Gene Expression of Airway Mucin and Animal Model for Airway Mucus Hypersecretion)

  • 임도희;박양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500-1508
    • /
    • 2008
  • The author investigated whether Chwiyeon-tang(PC), Haengso-tang(PH), Jawanchihyo-san(PJ) and Gamisocheongryong-tang(PS) significantly affect both PMA-induced mucin production and MUC5AC gene expression in airway epithelial cells and sulfur-dioxide-induced airway goblet cell hyperplasia and mucus hypersecretion animal model using rat. Possible cytotoxicity of each herbal medicine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survival and proliferation rate of NCI-H292 cells. Confluent NCI-H292 cells were pretreated for 30 min in the presence of PC, PH, PJ and PS, respectively, and treated with PMA(10 $ng/m{\ell}$), to assess the effect of each herbal medicine on PMA-induced mucin production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Effects of each herbal medicine on PMA-induced MUC5AC gene expression from the same cells were investigated. Also, hypersecretion of airway mucus and goblet cell hyperplasia were induced by exposure of rats to $SO_2$ during 3 weeks. Effects of orally-administered PC, PH, PJ and PS during 1 week on intraepithelial mucosubstances and hyperplasia of goblet cells were examined using histological analysis after staining the epithelial tissue with PAS-alcian blue. (1) PC, PJ, PS and PH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rvival and proliferation of NCI-H292 cells ; (2) PC, PJ and PS significantly decreased PMA-induced mucin production from NCI-H292 cells ; (3) PC, PJ and PS significantly inhibit the expression levels of PMA-induced MUC5AC gene in NCI-H292 cells ; (4) Among PC, PJ, PS and PH, only PS decreased $SO_2$-induced hyperplasia of airway goblet cells and intraepithelial mucosubstances. This result suggests that PC, PJ and PS can not only affect the production of mucin but also affect the expression of mucin gene and this can explain, at least in part, the traditional use of PC, PJ and PS for controlling airway diseases showing hypersecretion of mucus in oriental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