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bedo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7초

AERONET 선포토미터 자료를 이용한 국내 에어로졸 유형별 특성과 광학적 두께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AOD Variation according to Aerosol Types Using AERONET Sunphotometer Data in Korea)

  • 주소희;;노영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2_1호
    • /
    • pp.93-101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안면도, 고산, 광주, 서울에서 측정된 AERONET 선포토미터 자료를 편광소멸도(δ)와 단산란 알베도(SSA)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의 유형을 PD, DDM, PDM, NA, WA, MA, SA의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계절별, 연도별 발생빈도와 유형별 AOD변화를 살펴보았다. 오염입자(NA, WA, MA, SA를 합한 비율)의 비율은 각각 58.9, 46.2, 59.5, 67.1%로 서울이 가장 높고 고산이 가장 낮았다. 연간 비율 변화는 NA는 증가하고 PD, DDM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형별 AOD는 NA가 모든 사이트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NA의 비율과 AOD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댐 건설에 따른 수문기상학적 영향 범위 (An Assessment on the Geographical Boundary of Hydrometeorologic Changes due to Dam Construction)

  • 안재현;유철상;김학열;윤용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293-30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 전후 수문기상자료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 댐 건설이 국지 수문기상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 범위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형화를 통해 댐 건설 전후의 수문기상변화에 대한 정량화를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댐의 영향 정도를 시공간적으로 정량화 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섬진강댐, 소양강댐, 안동댐, 충주댐 등에 적용하였으며, 실제 댐 건설로 인한 수문기상학적 영향이 미치는 한계 범위를 파악하였다. 댐의 범위별로 산정된 알베도와 재순환계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댐 건설 후 격자별 알베도와 재순환계수는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상관계수 0.88)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댐 건설에 따른 토지이용의 변화가 궁극적으로 수분의 재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수문기상학적 영향범위와 댐 건설 후 생성되는 저수면적과 비교를 통해 저수면적과 영향범위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신규 댐의 건설시에 댐 건설로 생성이 예상되는 저수면적을 이용해서 수문기상학적 영향의 범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cdot$보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열환경 특성( I )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Cement Concrete Pavement( I ))

  • 류남형;유병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2-94
    • /
    • 200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measure and analyze the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grey permeable cement concrete pavement(GPCCP), the permeable cement concrete brick pavement(PCCBP) compared with impermeable cement concrete pavement(ICCP) and bare soil(BS) under the summer outdoor environment. Following is a summary of major results. 1) The peak surface temperature was greatest in the GPCCP$(54.2^{\circ}C)$ followed by ICCP$(47.2^{\circ}C)$ rut August 2, 2002, the hottest day$(35.3^{\circ}C\;of\;highest\;temperature)$ during the experiment; peak temperature in the ICCP and BS were $45.5^{\circ}C)$ and $45.3^{\circ}C)$ respectively. 2) Analysis of heat budget of the pavements has revealed that the heat environment was worse in the GPCCP than that in the ICCP and that this was mainly due to a low albedo in the former(0.2) relative to that of the latter(0.4). 3) Analysis of heat budget of the pavements has revealed that the heat environment was worse in the GPCCP than that in the PCCBP, BS and that this was mainly due to a decreased latent heat resulting from a time dependent decreasing impact of rainfall. 4) It is necessary to make cool pavements to further studies on light-colored surface materials for attaining high albdo and construction methods which can enhance the latent heat through the continuous evaporation from pavements surface. 5) Vertical arrangement of pavement layers has not been considered in the present study, which has been focuses on the heat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layer materials. Accordingly, future studies will have to be empasized on pavement methods including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pavement layers.

AERONET 선포토미터 데이터를 이용한 에어로졸 조성 및 광흡수 특성 인자 도출 (Deduction of Aerosol Composition and Absorption factors using AERONET sun/sky radiometer)

  • 노영민;이철규;최성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7-41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에어로졸의 종류에 따른 광흡수 특성을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에어로졸 파라미터인 Modified Aerosol Factor(MAF)를 산출하였다. MAF는 AERONET의 선포토미터로부터 산출되는 4 파장(440, 675, 870 그리고 1020 nm)의 단산란알베도로부터 도출되었다. 에어로졸 종류에 단산란알베도 값이 파장 증가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이는 점으로부터 4파장의 단산란알베도를 이용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고 분석값의 기울기 값을 산출하였다. 먼지입자는 기울기 값이 양의 값을 보이고, 순수한 먼지입자 일수록 높은 값을 보였다. 다른 종류의 에어로졸이 혼합됨에 따라 기울기 값은 감소하였다. 먼지입자를 제외한 오염입자와 smoke 입자는 음의 값을 보였다. 광흡수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1020 nm에서의 단산란알베도 값을 보정하였다. 보정된 단산란알베도와 기울기 값을 합하여 MAF를 도출하였다. MAF는 오염입자와 smoke 입자는 -1, 먼지입자는 1.5의 값을 보였으며, 서로 다른 에어로졸 종류별로 광흡수 특성이 높을수록 낮은 값의 분포를 보였다.

Dust-scattered FUV halo around Spica

  • 최연주;민경욱;박재우;임태호;선광일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73.2-73.2
    • /
    • 2012
  • The far ultraviolet (FUV) wavelength (900-1750A) range includes a wealth of important astrophys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oling of hot gas, fluorescent emission from H2 molecules, and starlight scattered off dust particles. Among these, we would like to focus on the scattered emission of the central star by dust with the example of the FUV halo surrounding ${\alpha}$ Vir (Spica). While scattering properties of dust have been studied with the GALEX data, the improved dataset of STSAT-1 revealed many detailed structures of this interesting region. For example, the FUV continuum map obtained from the STSAT-1 observations shows enhanced emissio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pica halo region, where the dust level is also high. In fact, the FUV continuum intensity is seen to have a good correlation with the IRAS 100${\mu}m$ emission data. It is also seen that the scattered spectrum is softer than the original one emitted by the central star, which is at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dust-scattering albedo with wavelength. We have developed a Monte Carlo code that simulates dust scattering of light including multiple encounters. The code is applied to the present Spica halo region to obtain the scattering properties such as the albedo and the phase function asymmetry factor.

  • PDF

역궤적 이동경로별 용인지역의 컬럼에어로졸 특성 (Columnar Aerosol Properties at Yongin According to Transport Paths of Back Trajectories)

  • 박지수;최용주;김영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107
    • /
    • 2017
  • Columnar aerosol properties retrieved from solar radiation were investigated at the Yongin (YGN) SKYNET site over seven years from October 2008 to October 2015. Hourly averages were calculated when the data were available, and back trajectorie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ional transport. Data recovery rate was low at 6.6%, primarily because solar radiation was measured only under daytime clear-sky conditions. Mean values of the fine-mode volume fraction (FMVF) as well as its seasonal variation were similar to those of $PM_{2.5}/PM_{10}$ although the coarse-mode fraction of column aerosols tended to be slightly larger. The values of single scattering albedo (SSA) and FMVF were lower in spring due to the effects of mineral dust, and higher in summer due to secondarily-formed inorganic ions. Back trajectories were grouped into five clusters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f transport paths. Aerosol loading was highest for Cluster 2 from the northwest, but SSA and FMVF were not particularly high or low because aerosols wer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with different properties. Aerosol loading was lowest for Cluster 5 from the Pacific Ocean passing through the south end of Japan, whose SSA and FMVF were highest as secondarily-formed inorganic ions were mixed.

ARPS 모형 지면 과정 모수화에 위성 자료의 응용 (The Application of Satellite Data to Land Surface Process Parameterization in ARPS Model)

  • 하경자;서애숙;정효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9-108
    • /
    • 1998
  • 국지 기상 모형의 지표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토양 구분, 식생 구분, 지표 거칠기 길이, 지표 알베도와 엽면지수가 지면 과정 모수화 내에서 처방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관측값으로부터 계절함수로 얻어진 경,위도 1도 및 1도의 엽면지수, 지표거칠기 길이, 눈이 없을 때의 지표 알베도와 상세 격자 NDVI를 지면 과정 모형에 적용하였다. 생물권과 대기권 사이, 지면과 대기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이러한 인공위성 자료를 사용한 것과 사용하지 않은 것을 비교함으로써, 열, 에너지 및 수증기 속들, 지면 기온, 바람, 식생 물함유량, 비습, 강수장의 민감도가 조사되었다.

열진공 시험용 비접촉식 우주 열환경 모사 장치의 해석적 검토 (Analytical Investigation of In-direct Heater to Simulate Space Thermal Environment for Thermal Vacuum Test)

  • 백철우;신소민;오현웅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8-183
    • /
    • 2012
  • 위성체의 열진공 시험에는 우주 열환경을 모사하기 위하여 직접 방열판 표면에 열을 공급하는 접촉식 히터와 일정 거리를 두고 간접적으로 복사에 의해 열을 공급하는 비접촉식 히터가 사용된다. 이는 태양 복사 뿐 아니라 지구의 적외선 및 알베도(Albedo)를 모사하며, 열환경 시험 요구에 따라 정의된 온도 조건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접촉식 히터 사용이 불가할 경우 비접촉식 히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복사에 의한 열전달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히터파워를 산정하고 히터 미작동시 방열판과 챔버 슈라우드와 열교환에 있어 간섭이 없도록 히터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열해석상용 프로그램인 SINDA를 이용하여 비접촉식 히터의 최적화 열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험시 유효한 설계값을 도출하였다.

지구 저궤도에서 운용되는 영상센서를 위한 열설계 및 열해석 (Thermal Design and Analysis for Space Imaging Sensor on LEO)

  • 신소민;오현웅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74-480
    • /
    • 2011
  • 지구의 저궤도에서 운용되는 영상센서는 극저온 환경에서 태양 복사 뿐 아니라 지구의 적외선 및 알베도(Albedo)의 영향을 받는다. 극한 환경에 노출되는 영상센서는 작동/비작 동시 허용 온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열설계가 필요하며, 정상상태 에너지 평형식을 통해 필요한 방열판 면적 및 히터 예비 설계 값을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위성체 패널에 주기를 갖는 발열장비가 장착되어, 패널의 일부를 방열판 면적으로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체와 분리하여 설계하는 영상센서의 열제어를 위하여, 내부에서 항상 발열하는 장비의 열을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패널에 장착된 방열판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설계하였다. 예비 설계값을 기준으로 수치해석에 기반을 두는 SINDA를 이용하여 궤도 열해석을 실시하여, 방열 면적 및 히터 설계는 쉽고 빠르게 계산되어졌다. 또한, 방열 성능을 유지하면서 질량을 줄이도록 방열판을 립형상(Rib-type)으로 설계하였으며, 궤도 열해석 결과, 영상센서의 열적 요구사항을 만족함을 검증하였다.

한국산 감귤류 폐과피 내의 펙틴함량과 펙틴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ontent and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ectin in Tangerine Peel)

  • 문수재;손경희;윤선;이명해;이명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3-66
    • /
    • 198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감귤류 폐과피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온주 밀감의 과피에서 펙틴을 추출하여 펙틴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추출한 펙틴과 펙틴 겔의 특성에 대해 검토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온주밀감의 과피와 albedo 내의 펙틴함량은 건물중량으로 각각 11.52%, 9.3%이었다. 과피에서 추출한 펙틴의 equivalent weight, 메톡실 함량, DE는 각각 596, 13.41%, 82.18%로 고메톡실 펙틴이었다. 아세틸함량은 0.125%로 겔 형성을 방해하는 범위는 아니었다. 점도와 분자량은 본 실험에 사용한 상품 펙틴에 비하여 높았으며, anhydrouronic acid함량은 98.4%로 매우 순도가 높았다. 추출한 펙틴의 젤리 등급은 138.1로 상품 펙틴에 비해 높아 우수한 겔 형성능력을 지닐 것으로 예측되었다. 겔의 텍스쳐는 강도, 응집성, 접착성 및 gumminess 모두 추출한 펙틴이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