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port Capacity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4초

신규 항공노선에 대한 수요 예측 모델 연구 (Demand Estimation Methodology for a New Air Route)

  • 최종해;유광의;이상용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5-158
    • /
    • 2015
  • 네트워크 경쟁력은 항공산업 본연의 경쟁력으로, 잠재수요를 확보한 목적지에 신규노선을 개설하는 것은 네트워크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이다. 최근 들어 공항당국을 중심으로 신규항공사를 유치하고 노선을 증설하며 운항을 증편하는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유발수요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규노선을 개설하는 경우 수요 예측에 대한 모델을 제안한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유발 수요를 네 가지 유형, 즉 직항, 이원, 배후 및 브리지 수요로 구분하였으며, 수요 유형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를 선정하였다. 거리, 주변 공항 대비 상대적 용량 및 우회도가 주요 독립변수로 검토되었고, 인천공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 독립변수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계수값을 도출하여 신규 노선 개설 시 유발 수요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항공관련 기관들이 신규 항공 노선을 개발관련 연구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열병합발전 설비 반영시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Effect in Order to Consider Combined Heat and Power Capacity in the Basic Plan of Long Term Electricity Supply & Demand)

  • 김용하;문정호;연준희;정현성;우성민;김미예
    • 에너지공학
    • /
    • 제16권1호
    • /
    • pp.22-3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열병합발전설비의 최적용량을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열병합발전의 계획발전원가를 새로이 산정하여 심사곡선법(Screening Curve Method : SCM)을 이용한 정태적 최적 전원을 구성하였다. 이때, 열병합발전은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므로 이를 고려할 수 있도록 열병합발전의 전기용량과 열용량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계획발전원가를 도출하였다. 또한, 심사곡선법을 적용시키기 위한 부하지속곡선의 경우도 열병합발전의 특징을 고려하여 전기 및 열 부하지속곡선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이때, 현재 수립된 전력 수급기본계획을 최대한 수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열병합발전설비를 반영하도록 하였다. 열병합발전 건설계획을 반영한 계획안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열병합발전 건설계획을 반영한 계획안과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비교 하였다. 즉, 발전량 기대치를 산출하여 발전원별 연료소비량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함으로써 열병합발전의 반영에 대한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Effective simulation-based optimization algorithm for the aircraft runway scheduling problem

  • Wided, Ali;Fatima, Bouakkaz
    • Advances in aircraft and spacecraft science
    • /
    • 제9권4호
    • /
    • pp.335-347
    • /
    • 2022
  • Airport operations are well-known as a bottleneck in the air traffic system, putting growing pressure on the world's busiest airports to schedule arrivals and departures as efficiently as possible. Effective planning and control are essential for increasing airport efficiency and reducing aircraft delays. Many algorithms for controlling the arrival/departure queuing area are handled, considering it as first in first out queues, where any available aircraft can take off regardless of its relative sequence with other aircraft. In the suggested system, this problem was compared to the problem of scheduling n tasks (plane takeoffs and landings) on a multiple machine (runways). The proposed technique decreases delays (via efficient runway allocation or allowing aircraft to be expedited to reach a scheduled time) to enhance runway capacity and decrease delays. The aircraft scheduling problem entails arranging aircraft on available runways and scheduling their landings and departures while considering any operational constraints. The topic of this work is the scheduling of aircraft landings and takeoffs on multiple runways. Each aircraft's takeoff and landing schedules have time windows, as well as minimum separation intervals between landings and takeoffs. We present and evaluate a variety of comprehensive concepts and solutions for scheduling aircraft arrival and departure times, intending to reduce delays relative to scheduled times. When compared to First Come First Serve scheduling algorithm, the suggested strategy is usually successful in reducing the average waiting time and average tardiness while optimizing runway use.

SIG공법에 의한 구조물기초지반에서의 복합지반개량 평가 (Evaluation of Composite Ground Improvement at Structural Foundation Ground by Super Injection Grouing)

  • 김종국;손형호;이호관;성기광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7-354
    • /
    • 2002
  • In this paper, when structures are constructed in the soft ground with poor bearing capacity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railroad area), as for the grouting columns built In soft ground by high pressure jet grouting with Triple tube rod(super injection grouting), the effects on reinforcement and bearing capacity of ground are investigated. A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s has been performed on the specimens sampled from the grouting columns and a mass plate bearing test has been performed on a grouting column. The test results show that super injection grouting has a sufficient effect on composite ground improved of foundation ground and reatraint of settlement of structure.

  • PDF

항공교통관제규칙과 비행장의 최적규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ir Traffic Control Rule and Optimal Capacity of Air Base)

  • 이기현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7-184
    • /
    • 1976
  • As the organizational size of a military service or business increases and its management becomes complex, the success in its management depends less on static type of management but more on careful, dynamic type of management. In this thesis, an operations research technique is applied to the problems of determining optimal air traffic control rule and of optimal capacity of air base for a military air base. An airport runway is regarded as the service facility in a queueing mechanism, used by landing, low approach, and departing aircraft. The usual order of service gives priority different classes of aircraft such as landings, departures, and low approaches; here service disciplines are considered assigning priorities to different classes of aricraft grouped according to required runway time. Several such priority rules are compared by means of a steady-state queueing model with non-preemptive priorities. From the survey conducted for the thesis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the flight pattern such as departure, law approach, and landing within a control zone, follows a Poisson distribution and the service time follows an Erlang distribution. In the problem of choosing the optimal air traffic control rule, the control rule of giving service priority to the aircraft with a minimum average waiting cost, regardless of flight patterns, was found to be the optimal one. Through a simulation with data collected at K-O O Air Base, the optimal take-off interval and the optimal capacity of aircraft to be employed were determined.

  • PDF

실내모형실험을 통한 PBD공법이 적용된 대심도 연약지반 개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ft Ground Improvement in Deep Depth by Application of PBD Method Using Model Test)

  • 변요셉;안병제;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69-77
    • /
    • 2009
  • 연약지반은 해성점토, 실트질, 사질토 등과 같은 지반으로 항만, 공항, 교량과 같은 구조물의 축조시 지지력 부족 및 침하, 전단변형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연약지반의 조기 침하 및 강도증진을 위해 다양한 지반개량공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연약지반의 압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연직배수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연직배수공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수재는 PBD(Plastic Board Drain)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 연약지반에 적용될 PBD공법에 대해 복합통수능실험을 실시하여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상재압력의 증가에 따라 침하는 점진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상재압력 $500kN/m^2$ 이후에는 간극수압의 소산에 따라 압밀침하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재하단계별 침하량의 변화는 간극수압의 소산에 따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직 배수재의 통수능은 압력이 증가할수록 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tudy on axial compressive behavior of quadruple C-channel built-up cold-formed steel columns

  • Nie, Shaofeng;Zhou, Tianhua;Liao, Fangfang;Yang, Donghua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0권4호
    • /
    • pp.499-511
    • /
    • 2019
  • In this study, the axial compressive behavior of novel quadruple C-channel built-up cold-formed steel columns with different slenderness ratio was investigated, using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The axial compressive capacity and failure modes of the columns were obtained and analyzed. The finite element models considering the geometry, material and contact nonlinearity were developed to simulate and analyze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columns further. There was a great correlation between the numerical analyses and test results, which indicated that the finite element model was reasonable and accurate. Then influence of, slenderness ratio, flange width-to-thickness ratio and screw spacing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columns were studied, respectively. The tests and numerical results show that due to small slenderness ratio, the failure modes of the specimens are generally local buckling and distortional buckling. The 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quadruple C-channel built-up cold-formed steel columns decrease with the increase of maximum slenderness ratio. When the screw spacing is ranging from 150mm to 450mm, the 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quadruple C-channel built-up cold-formed steel columns change little. The axial compressive capacity of quadruple C-channel built-up cold-formed steel columns increases with the decrease of flange width-thickness ratio. A modified effective length factor is proposed to quantify the axial compressive capacity of the quadruple C-channel built-up cold-formed steel columns with U-shaped track in the ends.

인천공항 도착항공기의 안전 및 효율 향상을 위한 표준접근절차 수정방안 연구 (Proposed STAR Procedure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nsidering Safety and Efficiency)

  • 장재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92-297
    • /
    • 2016
  • 항공안전 및 공역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항공기 소음, 조종사 관제사간의 교신, 연료소모 및 배기가스 등을 효과적으로 줄일수 있는 연속강하접근절차는 세계적으로 큰 기대를 모으며 확대 적용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많이 적용되어 환경적, 경제적 차원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인천국제공항의 표준접근절차들을 면밀히 살펴본 결과 접근절차 중 일부절차의 최초접근지점에서의 고도제한이 다른 절차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조종사들이 연속강하접근절차의 목적에 역행하여 불필요한 항력장치를 사용하여야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일부절차상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연속강하접근절차의 취지에 맞도록 절차변경을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항공운항에 이바지하려한다.

지상항공안전증진을 위한 비행장관제시뮬레이터의 고도화 (Aerodrome Air Traffic Control Simulator of Promotion for Advanced Ground Safety)

  • 이인영;최연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7-502
    • /
    • 2014
  • 공항에서의 지상교통관제는 매우 중요한 항공교통업무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는 이와 관련된 시뮬레이터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개발 및 고도화된 비행장관제시뮬레이터에 대한 특징과 장점 및 향후 개발되는 A-SMGCS와의 연동성을 기술하였다. 본 장비의 특징은 훈련관제사의 단독적인 훈련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기상조건 및 정상 및 비정상상황 설정으로 상황에 부합되는 관제사 교육훈련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비행장관제시뮬레이터를 통하여 항공관제 부분에서의 종합훈련은 물론 다양한 상황에서의 관제사 훈련을 통하여 비행안전과 공항용량 증대 훈련에 크게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요예측을 통한 다빈도 구매상품의 적정재고 수준 결정 모형개발: 공항면세점 사례 (Developing Appropriate Inventory Level of Frequently Purchased Items based on Demand Forecasting: Case of Airport Duty Free Shop)

  • 차대욱;박상아;공인택;신광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5
    • /
    • 2020
  • 코로나 이전 국내 면세산업은 2000년 이후 관광 수요의 증가와 함께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급증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면세점들은 매출액 위주의 경쟁전략을 유지해왔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운영보다는 규모 측면의 성장을 위한 방안 수립에만 집중해왔다. 기존 연구에서는 면세상품 관련 마케팅이나 제도적 지원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실제 운영단계인 물류 관리 측면에서의 연구는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면세점 운영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적정재고 수립 방식을 제시하기 위해 출국자 예측모형과 장래 상품 판매량을 선형회귀방정식을 활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실증연구를 통해 본 정책을 도입할 때 기대효과를 비용적 측면과 현장 운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면세점에서 발생하는 과다재고문제를 진단하고 공급주기를 개선함으로써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