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line Brand Asse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3초

장거리노선 기내특화서비스에 대한 외국인 승객의 만족도가 항공사의 브랜드 자산을 매개로 하여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ffect of Foreign Passengers' Satisfaction on Specialized Cabin Services on Long Haul Flight to Their Loyalty through Airline's Brand Asset)

  • 김광일;권은형;김기웅;박성식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5-77
    • /
    • 2013
  • A high brand reputation of a airline means the airline is preferred by passengers because of its unique services being even better than others. This is why airline's specialized services are important in that those services would create a new brand value and build up the airline's brand image, being enable to have competitive advantage over other airlines, to provide satisfied services, to have a mutual trust between passengers and the airline and to create customer's loyalty. A-Airline have been trying to give passengers a joy of flight by providing its customized and specialized cabin services out of airlnes' stereo-typed services.Therefore this paper will find out how their satisfaction of the cabin services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loyalty through brand image, brand reputation, brand identity and brand attraction. Those services would not only contribute to upgrade A-airline's corporate image but show the way to which the cabin service is heading also.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브랜드 자산 평가와 유형화 (Evaluating and Categorizing Brand Assets of Full-Service Carriers and Low-Cost Carriers)

  • 정승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42-454
    • /
    • 2021
  • COVID-19 대유행으로 급속히 침체하였던 국내외 항공업계는 바이러스 백신 접종을 시작으로 조심스럽게 경영 정상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국내 및 근거리 해외 시장을 공유하고 있는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간의 경쟁 역시 다시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까지 국가, 도시, 일부 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던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를 국내 항공사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의 인식, 가치, 태도, 신념과 같은 개념을 연구하기 위해 양적·질적 연구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제안된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항공사 브랜드 이용자들은 실속 추구형, 가치 지향형, 업무 관련형의 총 3가지 유형이 도출되었고, Q 표본으로부터 25개 진술문을 확보하고 20명으로 구성된 P 표본의 주관성을 관찰하여 유형별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브랜드 자산 유형을 탐색하고, 소비자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항공사 브랜드 자산의 효율적 관리에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가설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