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travel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위성방송사의 방송 환경을 기반한 여행 프로그램 데이터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 Service for Travel Programs based on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of Domestic Satellite Broadcaster)

  • 고광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57-64
    • /
    • 2023
  • COVID-19 사태로 인해 방송계는 여행 프로그램의 자취가 사라질 정도로 큰 영향을 받았다. 2022년부터 방송계에 여행 프로그램이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으나 침체한 여행심리를 회복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본 연구는 여행 프로그램이 시청자의 여행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토대로, 여러 채널을 통해 복수의 여행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위성방송사의 방송 환경을 고려하여 여행 프로그램의 선호 부가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장르와 포맷의 여행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선호 부가정보를 조사하고, 위성방송사가 데이터서비스 형상을 결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FODA 기반의 피처모델을 설계하였다. 또한, 피처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정보들을 정의하고, 이를 국내 위성방송 표준인 DVB-S의 SI로 전송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DVB-MHP 기반 데이터서비스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데이터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구현함으로써 본 연구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reliminary Analysis of Introducing 500 km/h High-Speed Rail in Korea

  • Lee, Kwang-Sub;Eom, Jin Ki;Lee, Jun;Moon, Dae Seop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6권1호
    • /
    • pp.26-31
    • /
    • 2013
  • Following the success of the KTX (Korea's first high-speed rail system) with a maximum operating speed of 300 km/h opened in 2004, experts in Korea started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key technologies for high-speed rail (HSR) with a top speed of 500 km/h. This paper is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esearch. It first reviews HSR experiences around the world, in terms of traffic and economic impacts of HSR, and presents a preliminary analysis of 500 km/h HSR in Korea. It is estimated that introduction of 500 km/h HSR with a 54% of travel time reduction will increase HSR passengers to about 9.8 million (about 78% of market share) between Seoul and Busan. It is a 23% of growth compared to the base scenario. Along with conventional rail passengers, air passengers are expected to be significantly impacted by the 500 km/h HSR. As a function of HSR travel time, the estimated market shares of both KTX and 500 km/h HSR compared to air are very comparable with previous international experiences. Based on the forecasted traffic, estimated total benefits are $758 million per year.

Decoupled Type의 초정밀 이중 서보의 제어에 관한 연구 (Control of Decoupled Type High Precision Dual-Servo)

  • 남병욱;김기현;최영만;김정재;이석원;권대갑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3-50
    • /
    • 2006
  • Recently, with rapid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and flat panel display, the manufacturing equipments are required to have large travel range, high productivity, and high accuracy. In this paper, an ultra precision decoupled dual servo (DDS) system is proposed to meet these requirements. And a control scheme for the DDS is studied. The proposed DDS consists of a $XY{\Theta}$ fine stage for handling work-pieces precisely and a XY coarse stage for large travel range. The fine stage consists of four voice coil motors (VCM) and air bearing guides. The coarse stage consists of linear motors and air bearing guides. The DDS is mechanically decoupled between coarse stage and fine stage. Therefore, both stages must be controlled independently and the performance of the DDS is mainly determined by the fine stage. For high performance tracking, the controller of fine stage consists of time delay control (TDC) and perturbation observer while the controller of coarse stage is TDC alone. With these individual controllers, two kinds of dual-servo control strategies are suggested: master-slave type and parallel type. By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he performances of two dual-servo control strategies are compared.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과 항공신체검사 (COVID-19 and Aviation Medical Examination)

  • 권영환
    • 항공우주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86-90
    • /
    • 2020
  •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ur society as a whole. The COVID-19 pandemic is not only a health crisis, it is also an economic, social and humanitarian crisis. Considering the dramatic global economic and social impact that the crisis has engendered, the aviation system is standing on the doorstep of rapid transformation. In particular, the impact on the aviation and travel industries is enormous. Air travel to most countries has been suspended and blocked. Looking at Korea's current situation, COVID-19 has wholly changed the aviation industry. As COVID-19 spreads around the world, countries have come up with aviation safety measures. Infectious disease safety measures were established to protect passengers and crew members, and countries with collapsed medical systems extended the validity period for aviation medical examinations. In Korea, on August 11,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rovided guidance on medical measures related to COVID-19 through an official letter of "Notification of cautions for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 officers (ATCO) when COVID-19 is confirmed". Overseas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have announced regulations for aviation medical examination regulations in relation to COVID-19, and have set standards for returning to aviation after COVID-19 is confirmed.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regulations for aviation medical examination related to COVID-19.

교통수요모형과 의사결정모형을 이용한 자동차 배출저감정책 평가 (Evaluation of Mobile Emissions Reduction Strategies Using Travel Demand Model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규진;박관휘;심상우;최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1123-1133
    • /
    • 2015
  • 본 연구는 자동차 배출저감정책에 대한 기존 정량적 요소 중심의 평가 방법과 차별된, 교통수요모형(Travel Demand Model, TDM)과 다기준 의사결정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의 연계된 평가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자동차 배출저감정책의 다기준 평가항목은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감축효과, 상위계획과의 일치성, 정책추진 용이성, 기술적용 용이성으로 설정하였고, AHP분석 결과 정량적 평가항목인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의 감축효과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가 각 0.373, 0.218로 정책적 평가항목들에 비해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평가 방법론을 적용하여 각 정책들을 평가한 결과,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정책이 가장 효과적인 정책으로 나타났고, 승용차 요일제 정책, 경차보급 활성화 정책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TDM 또는 AHP에 의해 평가된 우선순위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감정책 시나리오를 구성한 기본적인 가정과 범위에 국한된 결과라는 한계점이 있지만, 자동차 배출저감 효과와 더불어 정책적 요소들을 반영하여 보다 합리적인 자동차 배출저감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심항공교통(UAM) 도입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UAM에 대한 선호도 분석 (인천공항-인천길병원 노선사례) (Analysis of Preference for UAM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Following UAM Adoption (Incheon Airport - Incheon Gil Medical Center Line))

  • 이한솔;이수범;임준범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도심항공교통(UAM) 도입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도심항공교통(UAM)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도심항공교통(UAM) 실증노선 구간인 인천국제공항-인천 길병원 노선을 대상구간으로 하여 인천광역시 대중교통 이용자 807명을 대상으로 선호의식(SP)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심항공교통(UAM) 도입 초기, 성장기, 성숙기로 구분하여 시기별 통행시간, 통행비용을 달리하여 선호의식(SP)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수단선택모형을 추정하였다. 구축된 수단선택모형을 활용하여 통행에 대한 시간가치를 분석한 결과 56,428원/시로 나타났고, 모형에서 통행비용(원), 차내시간(분), 차외시간(분)에 대한 탄력성 검증 결과 본 모형에서 도심항공교통(UAM) 분담율에 미치는 영향은 통행비용(원), 차내시간(분), 차외시간(분) 순서로 나타났고, 통행비용(원)이 증가할 때보다 감소할 때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인천국제공항의 허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효율적 비행편 서비스망 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ight Service Network for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o be a Successful Hub Airport in Northeast Asia)

  • 유광의;이영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43-156
    • /
    • 1998
  • 인천국제공항이 동북아 허브 공항으로서 성공하려면 동 공항을 중심으로 한 비행편 구성이 경쟁 공항보다 효율적이어야 한다. 본 논문은 항공여행자의 비행편 선택 행위를 분석하여 인천국제공항 허브화 성공을 위한 비행편 구성 계획에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규제가 완화된 시장에서는 소비자의 선호 파악에 기초한 사업 계획이 유효하므로 비집계형 선택모델에서 산출할 수 있는 여행시간가치, 운항빈도와 여행시간의 대체율 등을 이용하여 비행편 구성 계획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교통흐름에 기인하는 미세먼지 노출 도시인구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 (Spacio-temporal Analysis of Urban Population Exposure to Traffic-Related air Pollution)

  • 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9-77
    • /
    • 2008
  • 자동차를 중심으로 하는 도로교통량이 크게 늘면서 교통에 기인한 다양한 피해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교통량이 집중되는 대도시에서는 교통에 기인한 도시민의 건강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에 기인한 미세먼지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받는 도시인구는 미세먼지의 주 발생원인 교통흐름이 있는 도로변에 가까이에 노출되는 도시민들이라고 보고 도시 공간 내에서 교통흐름과 미세먼지, 그리고 도시 통행인구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문제가 심각한 서울을 대상으로 교통에 기인한 미세먼지의 실태를 살펴보고,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경기도 일대에 대단위 주거지들이 밀집된 신도시들이 개발되면서 나타나는 인구분포와 통행패턴, 그리고 교통흐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나타나는 공간적 변화와 이들 간의 공간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GIS를 적용하였다. 또한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마이닝기법으로 추출해낸 통행흐름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시간별 통행인구분포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통에 기인한 미세먼지에 직접 노출하게 되는 도시인구를 산정하는 시 공간적 모형개발을 시도하였다.

  • PDF

전기 자동차용 경량화 서스펜션 모듈 개발 (Lightweight Suspension Module Development for Electric Vehicle)

  • 정윤식;신헌섭;임성수;최진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8호
    • /
    • pp.1015-1019
    • /
    • 2013
  • 현재 전기자동차의 높은 에너지 효율 및 승차감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경량 서스펜션 개발에 많은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다. 개발되고 있는 경량 서스펜션중 rubber tube로 만들어진 에어서스펜션이 에너지효율 및 승차감을 만족시킨다고 평가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전장비의 특징을 가지는 전기자동차용 에어서스펜션을 개발하였다. 또한 실제 에어서스펜션의 성능 향상 연구를 위해 유연 다물체 동역학 모델(MFBD) 방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에어서스펜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rubber tube의 경우는 FE기법을 통해 모델링 하였다. 에어서스펜션의 각 모듈 특성을 고려하여 모듈별 물성실험을 진행 및 물성치를 추정하였다. MFBD모델의 신뢰성 확인을 위해 물성치를 적용시킨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교통량 배정 방법에 따른 대기질의 사회적 비용 비교분석 (Social Cost Comparison of Air-Quality based on Various Traffic Assignment Frameworks)

  • 이규진;최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1087-1094
    • /
    • 2013
  • 본 연구는 자동차 배출가스에 의한 대기질의 사회적 비용 추정 결과의 객관성 향상을 목적으로, 일 단위, 첨두 비첨두 시간단위, 각 시간 단위별 대기질의 사회적 추정 방법 차이가 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대기질의 사회적 비용은 분석 시간대에 따라 약 24배까지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 단위와 각 시간 단위 통행배정에 따른 대기질의 사회적 비용은 연 평균 약 6,536억원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첨두 비첨두 단위와 각 시간 단위의 통행배정에 따른 추정 결과는 약 1%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기질의 사회적 비용은 통행배정 방법론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특히 CAPSS의 방법보다 시간대 분석이 가능한 교통수요분석 기법에 의한 배출량 및 대기질 비용 추정방법이 보다 정확도가 높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아울러 대기질 개선을 위해, 시간대별 교통수요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