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to water

검색결과 6,150건 처리시간 0.038초

종합병원 급식소의 HACCP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 평가 (Evaluation on HACCP prerequisite-program performance within general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 송윤지;배현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1호
    • /
    • pp.43-50
    • /
    • 2016
  • 병원급식소의 HACCP 선행요건 수행 실태를 분석하여 병원급식소 특성을 고려한 선행요건관리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종합병원 규모의 병원 급식소 총 65곳의 급식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선행요건 7개 관리영역 중 영업장관리 영역의 수행도는 선행요건 평가판정그룹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적합 그룹 (85점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p < 0.001). 위생관리 (p < 0.001), 제조 가공 조리 시설 설비관리 (p < 0.001), 용수관리 (p < 0.001), 보관 운송관리 (p < 0.05) 영역의 수행도는 '부적합' 그룹 (70점 미만)이 '적합'이나 '보완' 그룹 (71점 이상 84점 이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조사대상 병원급식소와 영양사의 일반 특성에 따른 선행요건관리 평가 결과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서울 경인지역이 대구 경북지역에 비해 선행요건 관리가 '적합'으로 평가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1). 또한 선행요건 판정 그룹에 따른 급식시설 구비율은 '적합' 그룹이 '부적합' 그룹에 비해 3조 싱크 (p < 0.01), 대용량 오븐 (p < 0.01), 대형 에어컨 (p < 0.01), 보온고 (p < 0.01), 보냉고 (p < 0.05), 해동전용 냉장고 (p < 0.05), 위생장화 소독고 (p < 0.05) 등 총 7개 항목의 구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병원 급식품질 개선을 위해 HACCP을 빠른 시일 내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선행요건 관리 항목이 준수되어야 하며, 이에 앞서 병원 급식소의 운영 특성을 고려한 선행요건관리 기준과 HACCP 관리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양생방법에 따른 알칼리 및 황산염 복합자극제를 사용한 비소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 (Properties of Non-Sintered Cement Mortar using Alkali and Sulfate Mixed Stimulants Accroding to Curing Method)

  • 박성준;김지훈;형원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37-244
    • /
    • 2015
  • 시멘트는 건설 산업의 발전과 비례하여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의 발생량 또한 매우 치명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적은 시멘트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의 대체제로 소성과정이 없어 에너지 손실률이 낮으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적은 비소성 시멘트(Non-Sintered Cement, 이하 NSC) 모르타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산업 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Granulated ground Blast Furnace Slag, 이하 GBFS)에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자극제를 배합하였다. 그리고 GBFS와 자극제의 배합비율이 어떠한 양생조건에서 우수한 지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양생조건에 따른 휨 및 압축강도, 그에 따른 수화 반응 생성물과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SEM, XRD 실험을 진행하였고, 또한 화학저항성, pH측정,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및 탄산화 촉진실험을 실시하여 내구성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특성과 내구성을 보여주었고, 콘크리트 2차 제품으로 개발하여 경제성 향상, 친환경적인 제품 생산, 환경문제 및 에너지 절약에 큰 이바지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출가스의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황 동시 저감 기술 (Various Technologies for Simultaneous Removal of NOx and SO2 from Flue Gas)

  • 박현우;엄성현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07-618
    • /
    • 2017
  • 석탄화력발전소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설비에서 유해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인체 건강과 자연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특히, 질소산화물($NO_x$)와 이산화황($SO_2$)은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미세먼지($PM_{2.5}$) 형성에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NO_x$$SO_2$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서 선택적 촉매 환원(SCR)과 습식 탈황 공정(WFGD)으로 결합된 혼합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높은 설치비용 및 운전비용을 필요로 하며, 유지보수의 문제점, 기술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혼합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한 $NO_x$, $SO_2$ 동시 저감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제안된 기술들은 흡수, 고도 산화(AOPs), 저온 플라즈마(NTP), 전자 빔(EB) 등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강한 수용성 산화제 및 산화력을 가진 화학활성종에 의한 $NO_x$, $SO_2$$HNO_3$, $H2SO_4$ 형태로의 산화 반응, 기-액 계면에서 $HNO_3$$H2SO_4$ 흡수 반응, 화학 첨가제에 의한 중화 반응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동시 저감공정에 대한 기술적인 특징과 대용량 처리 공정 응용을 위한 향후 전망을 정리하였다.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연직배수시스템의 지반공학적 특성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Prefabricated Vertical Drain System for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 신은철;박정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5-14
    • /
    • 2007
  • 개발사업과 산업발달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해화학물질과 유류사용량이 늘면서 화학물질과 유류를 저장하는 지하저장탱크에서의 오염물질 유출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산업지역, 공장지대가 밀집된 매립 지반에서는 투수계수가 낮아 오염물질 추출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 방안의 하나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직배수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복원기술인 진공추출공법, 토양세정공법의 효율을 증진시킨 연직배수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염된 토양의 복원을 목적으로 사용한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오염토양 복원시 오염지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지반공학적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연직배수재의 수두손실 및 통수능 측정 결과, 진공압력과 연직배수재의 폭이 증가할수록 통수능은 배수재의 통수 단면적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축척효과에 의해 단면을 축소시킨 폭이 2.5 cm인 배수재의 경우에는 영향반경이 대략 14cm에서 16cm를 넘어가면서부터 간극수압이 더 이상 감소하지 않고 일정해지는 유효 영향범위로 판단하였다. 또한, 투기계수는 등가직경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흐름률이 높을수록 압력수두는 더 정밀한 값을 나타내어 평균 투기계수 값인 3.152 Darcy에 가까운 공기흐름률은 1,500~2,000 $cm^3/s$일 때 가장 정확한 값을 나타내었다.

  • PDF

Optical Method for Measuring Deposition Amount of Black Carbon Particles on Foliar Surface

  • Yamaguchi, Masahiro;Takeda, Kenta;Otani, Yoko;Murao, Naoto;Sase, Hiroyuki;Lenggoro, I. Wuled;Yazaki, Kenichi;Noguchi, Kyotaro;Ishida, Atsushi;Izuta, Takeshi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6권4호
    • /
    • pp.268-274
    • /
    • 2012
  • To perform quick measurements of black carbon (BC) particles deposited on foliar surfaces of forest tree species, we investigated an optical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BC extracted from foliar surfaces and collected on quartz fiber filters. The seedlings of Fagus crenata, Castanopsis sieboldii, Larix kaempferi and Cryptomeria japonica were exposed to submicron BC particles for one growing season (1 June to 7 December 2009). At the end of the growing season, the leaves or needles of the seedlings were harvested and washed with deionized water followed by washing with chloroform to extract the BC particles deposited on the foliar surfaces. The extracted BC particles were collected on a quartz fiber filter. The absorption spectrum of the filters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with an integrating sphere. To ob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bance of the filter and the amount of BC particles on the filter, the amount of BC particles on the filter was determined as that of elemental carbon (EC) measured by a thermal optical method. At wavelengths below 450 nm, the absorption spectrum of the filter showed absorption by biological substances, such as epicuticular wax, resulting in the low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EC on the filter ($M_{EC}$, ${\mu}g\;C\;cm^{-2}$ filter area) and the absorbance of the filter. The intercept of the regression line between $M_{EC}$ and the absorbance of the filter at 580 nm ($A_{580}$) was closest to 0. There was a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A_{580}$ and $M_{EC}$ ($R^2$=0.917, p<0.001), suggesting that the amount of BC particles collected on the filter can be predicted from the absorbance. This optical method might serve as a simple, fast and cost-effective techniqu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BC on foliar surfaces.

음식쓰레기의 퇴비화공정의 적정운전조건 검토 (The study of Efficient Treatment Conditions on the Composting of Foodwaste)

  • 강창민;김병만;정일현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2호
    • /
    • pp.117-124
    • /
    • 2003
  • 음식물쓰레기 이용 퇴비화의 운전 및 염분저감을 위한 적정조건 검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이하의 결과를 얻었다. 음식쓰레기와 톱밥을 7:3, 6:4, 5:5, 4:6, 3:7 비율로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6:4에서 가장 안정화된 퇴비가 생산될 수 있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 톱밥의 혼합비가 7:3 및 음식물쓰레기 : 왕겨의 혼합비가 6.5 : 3.5 와 6:4의 경우는 초기 C/N비 자체가 낮게 나타나 적정 퇴비화를 이룩하기 어려웠다. Agent로 톱밥을 혼합한 경우와 왕겨를 혼합한 경우 모두 pH가 급격히 상승하다가 안정화되어 7.5~8.5를 유지하였다. 수분함량은 왕겨를 사용한 경우가 톱밥을 사용한 경우보다 수분감량율이 높게 나타나 톱밥보다 공극율 및 통기성이 원활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톱밥대체제로 이용가능 했다. 탄소화합물 함량은 톱밥의 경우 음식물쓰레기의 혼합 비율이 낮을수록, 왕겨의 경우 음식물쓰레기의 혼합 비율이 높을수록 높았다. 유해성분(납외7종)은 비료기준치 이하를 나타내 안전한 것으로 판별되었다. 염분의 경우 0.43-0.46%을 나타내어 비료기준치(1%)의 1/2로 저감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에 있어 음식물쓰레기와 Agent의 혼합비가 6:4 일 때, Agent로는 왕겨보다 톱밥을 혼합할 때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ethemoglobind의 약력학적(藥力學的) 작용(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harmacodynamic Action of Methemoglobin)

  • 김광연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9-69
    • /
    • 1966
  • For the purpose of stydying the pharmacodynamic action of methemoglobin, the author made the following experiments: 1. Preparation of hemoglobin and methemoglobin solutions: Red cell suspension from rabbit blood was hemolys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divided into two portions. One portion was dialysed through cellophane paper and made isotonic with the proper amount of sodium chloride. The second portion was treated with sodium nitrite to convert hemoglobin to methemoglobin, dialysed through cellophane paper and made isotonic. 2. The concentration of methemoglobin in solution, plasma and urine was determined by Horecker and Brackette's method, and that of hemoglobin by the cyanmethemoglobin method. 3. The concentration of methemoglobin and hemoglobin in the plasma and urine of rabbits was measured at several intervals of time after infusion of the above samples. 4. The blood pressure and respiration of rabbits were recorded on a kymograph, and the effects of the samples on them were observed. 5. The effects of the samples on the movements of the in-situ heart and the isolated intestine of rabbits were studied. 6. The kidneys of rabbits were excised 4 to 5 hours after injection of the samples,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were made. These experiment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When methemoglobin solution was allowed to stand in room air, there was no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methemoglobin. 2. When methemoglobin solution was mixed with whole blood and incubated at $37^{\circ}C$, the concentration of methemoglobin decteased gradually. 3. After the infusion of methemoglobin and hemoglobin solutions, the rate of disappearance of methemoglobin in the plasma was more rapid than that of hemoglobin in the plasma. The higher the initial concentration in the plasma, the larger was the rate of disappearance of methemoglobin. 4. The rate of disappearance of methemoglobin was exceedingly rapid for 30 minutes after the infusion. 5. The urinary excretion of methemoglobin was more rapid than that of hemoglobin. 6. It would seem that the circulating blood contains substances which are promptly mobilized in the plasma to reduce methemoglobin to hemoglobin. 7. Moderate amounts of methemoglobin solution caused some rise in the blood pressure and a transient acceleration of the respiration of the rabbits. These effects of methemoglobin were milder than those of hemoglobin. 8. The movements of the in-situ heart and the isolated intestine of rabbits were accelerated by methemoglobin. These accelerating effects were milder than those of hemoglobin. 9. In the kidneys of rabbits treated with methemoglobin solution, hyperemia of the glomeruli, cloudy swelling and hemoglobin deposit in the tubular epithelium, hemoglobin casts in the tubular lumina of the proximal tubules, and interstitial congestion were constantly observed.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between the histological findings in the rabbit kidneys injected with methemoglobin, and those injected with hemoglobin solutions.

  • PDF

베네수엘라분선충 (Strongvloides venezuelensis)의 충란, 감염자충 및 성충의 실험관 내 배양 (Viability of eggs, filariform larvae and adults of Stronglyloides venezuelensis (Nematoda: Strongyloidea) maintained in vitro)

  • 백병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2호
    • /
    • pp.99-108
    • /
    • 1998
  • 베네수엘라분선충의 충란, 자충 띤 성충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배양환경에 대한 연구를 수헝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변 내의 충란은 $4^{\circ}C$ 에서 25일간, 실온에서는 15일간 생존하였으며, 분변에서 분리한 충란은 $4^{\circ}C$의 생리적 식염수에 서 24시간 생존하였으나, 상실배기의 충란은 건조한 공기에 민감하여 12시간 내에 환성을 잃었다. 감염형 자충을 polyvinylbag에 넣어 $20^{\circ}C$에 보관하였을 경우, 분변 물질이 첨가된 0.12% 영양배 지에서는 45일, 영양배지는 28일간 생존하였다 한편, 영양배지에서 배양된 감염 자충은 상수에서 는 32일간, 멸균 식염수에서는 22일간 생존하였다. 인공감염시켜 얻은 성충은 $37^{\circ}C$에서 9일간, 9:1배지 (10% 쥐 혈청을 첨가)와 혈청을 첨가하지 않은 영양배지를 매일 교환하여 주어도 4일동안 밖에 생존하지 못하였다. 성충 암컷은 실험관 내에서 산란하고, 자충으로 부화되었지만 혈청을 첨가한 배지에서도 감염자충으로 발육하지 못하였다.

  • PDF

즉석팥죽 제조를 위한 가공조건 및 제품의 품질 (Preparation Condition and Product Quality of Precooked Redbean Porridge)

  • 김종태;김복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5-309
    • /
    • 1994
  • 이축압출성형기를 사용하여 붉은 통팥과 옥수수전분을 원료로 하여 압축성형하고 이를 건조, 분쇄, 배합하여 즉석팥죽 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이때의 제조공정과 제품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원료의 수분함량 $24{\sim}26%$, 압출성형온도 $150{\sim}155^{\circ}C$, 스크류의 회전속도 350 rpm 및 원료투입량 60 kg/hr의 압출성형조건으로 제품을 생산하였을 경우 팥죽 고유의 냄새와 색상을 유지하는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압출성형중 분말원료에 가해지는 가수량이 6 kg/hr에서 2 kg/hr로 감소됨에 따라서 압출성형온도는 $150^{\circ}C$에서 $198^{\circ}C$로, 기계적소모에너지는 134 kwh/ton에서 144 kwh/ton으로 증가하였다. 건조분말상태에서 caking이 형성이 되지 않는 수분함량인 4% 이하로 건조되는 열풍건조 조건은 건조온도 $80^{\circ}C$ 에서는 4시간, $100^{\circ}C$ 에서는 1.5시간 이었다. 압출물의 분쇄후 분말의 입도분석은 체목이 0.5 mm인 것을 사용하였을 경우 약 80%가 65 mesh 체를 통과하였고, 1 mm인 체목인 경우는 약 65%가 65 mesh 체를 통과하였다. 최종배합제품의 수분흡수속도는 설탕배합구가 100% RH하에서 13시간이 경과된 후 caking이 형성되었다. 팥압출물분말, 옥수수전분 및 설탕의 배합비를 달리한 제품의 기호도 검사에서 팥의 함량이 줄어듬에 따라 팥죽냄새가 감소하여 기호성이 저하되었다.

  • PDF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방풍망에 의한 수도의 풍해경감방법 (Studies on the Reducing Methods of Cold Wind Damage of Rice Plant by Installation of Windbreak Net in the Eastern Coastal Area)

  • 이승필;이광석;최대웅;손삼곤;김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3-172
    • /
    • 1987
  •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풍해상습지에 대한 방풍망설치방법과 설치시기에 의한 풍해 경감 효과를 구명하고자 1983년부터 1985년까지 3개년간 경북영덕지방에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해안 냉조풍지대의 1954년부터 1985년까지 32년 동안 강풍 발생빈도는 8월 10일부터 9월 10일 사이에 높아 이 지역의 수도 안전출수한계기는 8월 10일 이전 안전하다고 생각된다. 2. 이 지대에 주로 풍해를 유발시키는 바람은 태백산맥을 넘어오면서 휀(Fohn) 현상에 의한 고온건조한 편서풍과 해양에서 내륙으로 부는 한냉과습한 냉조풍이었으며 도작기간중 발생빈도가 각각 25 %였다. 3. 방풍망 설치에 따른 1차 효과는 감풍효과였으며 방풍망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1m에서는 23.9%, 10m에서는 35.8%, 20m에서는 26.9% 감풍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설치된 방풍망 높이의 10배 거리까지 있었다. 4. 방풍망 설치에 따른 2차 효과는 기온, 지온, 수온의 상승효과였으며 무방풍구에 비해 기온은 최고 0.7$^{\circ}C$, 최저 0.4$^{\circ}C$, 평균 0.1$^{\circ}C$ 상승되었으며 수온은 최고 0.3$^{\circ}C$, 최저 0.3$^{\circ}C$ 상승되었고 지온도 0.3$^{\circ}C$ 상승효과가 있었다. 5. 방풍망 설치에 따른 3차 효과는 생육촉진 감수경감, 품질향상의 효과가 있었으며 무방풍구에 비해 출수기가 2~5일 단축되었고 간장, 주당수수, 수당영화수, 임실율의 증가로 20~28%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완전중의 비율도 높았다. 6. 벼알의 변색정도가 심할수록 등숙율과 정조 1,000 입중이 현저하게 떨어졌으며 그 감소정도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7. 방풍망 설치방법별로는 한냉과습한 냉조풍과 고온건조한 편서풍을 모두 방풍할 수 있는 종합방풍시설이 가장 효과가 컸으며 방풍망 설치시기별로는 수잉기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