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lift bioreactor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8초

Effect of Triton X-100 on Compactin Production from Penicillium citrinum

  • Park, Du-Bok;Cho, Ki-An;Cha, Wol-Suk;Ryu, Seong-Ryeol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3호
    • /
    • pp.171-178
    • /
    • 2004
  • Glucose alone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carbon source for producing compactin. An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of 40 g/L gave the highest compactin concentration of 250mg/L. Among the various nitrogen sources, when 5g/L of pharmamedia and soybean meal as the sole nitrogen source were used, respectively, the compactin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250mg/L.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mixture of 6 g/L of pharmamedia and 8 g/L of soybean meal, the compactin concentration was 400mg/L. To select the best surfactant for effective compactin production, various surfactants were investigated. When Triton X-100 was used, the maximum compactin concentration was 445mg/L. With the initial concentration ranging from 1.5 to 2.0 g/L, the compactin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at 465-450mg/L. The cell concentrati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without the addition of Triton X-1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 4.0 g/L of Triton X-100 were used, the cell concentration decreased. Using the based results, the continuous fed-batch cultures by adding the Triton X-100 were carried out for 10 days in an air-lift bioreactor. When 1.5 g/L of Triton X-100 was added to the culture broth at 0, 4, and 8 days of culture, respectively, the compactin production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ulture time. The maximum compactin concentration after 10days of culture was 1,200mg/L, which was about 2.0-fold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without the addition of Triton X-100.

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방부처리재의 중금속 제거 (II) - CCA, CCFZ 처리재에서 중금속 제거 -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Treeated Wood by Biological Methods (II) -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CCA and CCFZ- treated Wood -)

  • 손동원;이동흡;강창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8
    • /
    • 2004
  • 갈색부후균 Tyromyces palustris를 이용하여 CCA처리 목재와 CCFZ처리 목재에서 중금속을 제거하였다. 전처리 방법으로써 증기압처리와 수산처리가 검토되었다. 수산 전처리에 의한 균처리의 제거율 상승 영향과 일정 균체량에 대한 방부처리재의 폭로양의 차이에 따른 처리율의 변화정도를 검토하였다. 배양방법을 달리하여 방부처리재의 유효성분 제거량을 비교하고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를 실시하였다. 크롬과 비소는 수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나 구리는 농도의 증가에 따른 제거율이 크게 향상되지 않았다. T. palustris는 균체량 287 mg으로 크롬과 비소는 시료무게 3 g까지 6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냈고 구리는 5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진탕배양에서는 크롬, 구리, 비소의 제거율이 60% 이상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정치배양에서는 구리의 제거율이 진탕배양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물반응기 적용 시 7일 배양이후 제거율은 크롬 72%, 구리 61%, 비소는 59%이었다.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황근 부정근의 대량증식과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활성 평가 (Mass Proliferation of Hibiscus hamabo Adventitious Root in an Air-lift Bioreactor, and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y of the Extract)

  • 이종두;현호봉;현혜진;장은비;고민희;윤원종;함영민;정용환;최훤;오유진;오대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35-444
    • /
    • 2022
  • 황근(Hibiscus hamabo Sieb. et Zucc., 노랑무궁화)은 주로 제주도 전역과 전남 남부지역에 자생하는 우리나라 유일의 야생 무궁화속의 낙엽성 반관목식물이다. 최근 무분별한 자생지 파괴에 따른 개체수 감소로 환경부 지정 한국적색목록 내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황근의 종자발아, 생태 및 유전적 특성, 내염성 등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황근 부정근의 대량증식,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조사하여 기능성 원료 활용 평가를 실시하였다. 황근 종자 및 식물체는 사전 환경부 채취 허가를 받은 제주시 구좌읍 관내지역에서 채집하였으며, 표면살균 후 MS 등 배지 조성을 조절하여 기내 세포주로 도입하였다. 그 결과, 종자의 전반적인 반응율이 지상부 신초 발생 및 지하부 뿌리 발근 측면에서 51.17~51.83%로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000 mL 생물반응기에서 황근 부정근의 증식에 유리한 배지 조건의 경우, 1/2 MS (Murashige and Skoog, 1962), 30 g/L 자당(sucrose), 2 mg/L IBA (indole-3-butyric acid)에서 8주 동안 배양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페놀 화합물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및 멜라닌 함량 분석을 통해 바이오매스 및 2차대사산물 축적의 연관관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황근 부정근의 대량증식,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은 고부가가치 향장품 산업의 고품질 소재개발과 연계하여 추가적인 생리활성물질 연구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가압식 분리막을 이용한 Side-Stream MBR 공정의 비정상 운전조건에서 막 오염 저감 (Fouling Mitigation for Pressurized Membrane of Side-Stream MBR Process at Abnormal Operation Condition)

  • 고병곤;나지훈;남덕현;강기훈;이채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23-328
    • /
    • 2016
  • 공기주입형 가압식 MBR 공정은 일반적인 침지식 MBR 공정과 마찬가지로 정상 운전조건에서 막 오염에 대한 제어 및 관리 기술뿐만 아니라 저유량, 저부하 조건과 같은 비정상 운전조건에서도 시설의 운영에 지장이 없도록 막 오염에 대한 제어 대책이 필요하다. $85m^3$/일 규모의 공기주입형 가압식 MBR 실증시설 운영을 통해 공기주입에 의한 분리막 오염 저감효과와 비상 시 운전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막 오염 문제를 고찰하였다. 가압식 분리막에서 공기의 주입은 분리막 표면에서 공기방울에 의한 scouring 효과에 의해 TMP 상승 기간을 연장시키고 처리의 안정성과 높은 효율의 플럭스($40L/m^2{\cdot}h$ 이상)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정상 운전조건에서는 생물반응조에 PACl (53 mg/L as Al)을 주입한 경우 19%의 TMP 상승 감소효과가 있었으나 MBR 공정의 비정상 운전조건 지속에 따른 반복적인 PACl의 주입은 질산화 미생물의 활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궁극적으로 질소 처리효율이 악화될 수 있음을 회분식 배양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생물반응조에 PAC (0.6 g/L)을 주입한 경우에서는 연속운전 5일 동안 TMP 상승 없이 운전 초기 TMP인 $0.2kg/cm^2$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운전이 가능하였다. 이것은 미생물의 성장 저해조건에서 막 오염 원인물질을 유발하는 EPS와 같은 고분자 물질의 흡착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