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Traffic Control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8초

효율적인 항공교통흐름을 위한 항로 연산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Route Calculation Algorithm For Effective Air Traffic Flow Management)

  • 김용균;조윤현;윤진원;박동화;최상방;박효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61-169
    • /
    • 2010
  • 최근 항공교통량의 증가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항공교통흐름제어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항공관제를 위하여 항공기의 흐름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알고리즘 기법을 연구하였다. 항공교통 환경은 일반 교통 환경과는 다르게 항공기 기종에 따른 수평 및 수직 분리 간격이 존재한다. 빈센티 공식을 이용하여 항로의 거리를 산출하고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항로의 거리에 교통량을 적용하여 가중치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항공기가 연료 및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항로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기존의 항로 연산 알고리즘의 단순한 최단항로 산출과는 달리 제안된 알고리즘은 교통량 파악을 통한 최적항로를 선택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항공교통관제를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율비행기술 동향 (Development Trend of the Autonomous Flight Control Technology)

  • 성기정;김응태;김성필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6권2호
    • /
    • pp.143-15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자율비행(Autonomous Flight)의 연구동향 및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자율비행은 항공기의 예기치 않은 임의상황 발생에 대해서도 항공기가 스스로 인지하고, 판단 한 후 대처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의 자율비행기술은 무인기를 위주로 개발되고 있으나, 차세대 항공교통관제 시스템 도입과 무인기의 활용성 증대 요구에 따라 자율비행기능이 항공교통관제시스템과 결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현 항공교통관제 시스템의 주요 개요와 향후 변경될 차세대 항공교통관제 시스템의 주요 사항들을 살펴보았고, 자율비행기술 개발 현황을 기술하였으며 향후 발전방향을 전망하였다.

  • PDF

항공이동통신환경에서 항공교통량에 따른 우선순위 할당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y Allocation Algorithm According to Air Traffic in Aeronautical Communication Environment)

  • 조윤현;김용균;김상욱;박효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91-100
    • /
    • 2010
  • 최근 항공교통량의 증가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항공교통흐름제어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항공교통흐름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항공통신 환경은 일반 통신 환경과는 다르게 스테이션(항공기) 사이에 직접적인 통신 기능이 필요하며, 안전성을 위한 메시지의 우선순위가 매우 엄격하게 요구된다. 게다가 넓은 서비스 지역은 높은 전파지연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CSMA/CA 매체접속제어(MA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항공교통상황(혼잡 공항 지역, 접근관제구역, En route구역, 대양 항행)에 따라 메시지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러한 우선순위가 높은 메시지가 보다 더 높은 접속 확률을 갖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였다. 항공기 대수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기존 방식보다 더 높은 채널 사용 효율 및 전송확률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심장박동수 측정을 통한 항공교통 관제사의 피로와 스트레스 (Air Traffic Controllers' Fatigue and Stress based on Heart Rate Measurement)

  • 박진한;안덕배;백호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90-98
    • /
    • 2017
  • 본 연구는 교대근무를 수행하는 항공교통 관제사들의 피로와 스트레스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연구이다. 기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관제사의 피로와 스트레스는 근무경과시간, 관할 항공기의 수, 시정 등과 같은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으며, 또한 관제사의 피로와 스트레스는 심장 박동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교통관제사의 피로와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근무경과시간, 관할 항공기의 수, 시정을 설정하고, 각 요소와 피로와 스트레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심장박동수에 대한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정한 결과 항공교통관제사의 심장 박동수는 관할 항공기의 수와 근무시간경과에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동일한 대수의 항공기를 관제하는 경우에도, 근무 시간이 경과에 따라서 관제사의 피로와 스트레스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지과제분석(Cognitive Task Analysis)을 통한 항공교통관제사의 전문성 확인 (Exploring Air Traffic Controllers' Expertise through Cognitive Task Analysis)

  • 송창선;권혁진;김경태;김진하;이동식;손영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5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expertise in ait traffic control by using cognitive skill analysis for novices and experts in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s. The result of study was to understand expertise in air traffic control tasks in terms of what cognitive processes are responsible for the expert's high performance levels. The problem solving task was difficult for novices, but performed relatively automatically by experts in a routine situation. The difficulty could indicate the presence of controlled processing. Rather than rules and strategies, novices focused more on environmental factors, which merely increase cognitive load. In a non-routine situation, novices showed that they did not categorize the information consistently and alternative resources were not available for them. Experts, however, performed automatically a task by arranging and organizing information related to problem solving components in contexts without regard to a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 Especially experts developed a stable representation and directed alternative resources for air traffic flow and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cognitive processes of experts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expert performance and analyze the learning process, which impl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xpertise systematically.

항공관제시스템 개발을 위한 현시시스템 연구 (The research of the Control Work Position for developing ATC)

  • 나상일;이준우;원인수;최상방;박효달;정동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1197-1198
    • /
    • 2008
  • The purpose of the Air Traffic Control(ATC) system is to provide a safe, efficient flow of air traffic from origin to destination. Therefor,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operational errors. Most of errors occurs from controllers. So, we suggest the human machine interface scheme for Air Traffic Control system.

  • PDF

A Study on the Observer Training and Implementation for Effective Normal Operation Safety Survey (NOSS)

  • Choi, Jin-Kook;Choi, Se-Jong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1-116
    • /
    • 2021
  • Normal Operation Safety Survey (NOSS) is a safety management tool used by air traffic control organizations to measure data related to threats and errors to proactively prevent accidents before they occur. NOSS was developed to be applied to the air traffic control fiel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Line Operation Safety Audit (LOSA) conducted by airlines to reduce human errors in the cockpits. Safety management based on data is crucial for the prevention of control-related accidents, and the competency of observers for this is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NOSS. Based on LOSA implementation experiences and expert interviews, this paper introduces the international NOSS methods and discusses the key factors required for effective observation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s and implications of NOSS observer training.

관제사 수행의 인지적 균형과 불균형의 관계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Air Traffic Controller's performance and cognitive imbalance)

  • 신현삼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18권
    • /
    • pp.105-13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항공교통관제사의 항공기 분리업무 수행중에 나타나는 복합적인 지각표상과 인지작용의 역동과정인 가설 여과와 순위부여의 예측과정을 심층 분석하였으며, 제한된 정보처리와 인지된 교통상황의 확증과정에서 표출된 인식수준의 편향과 교통 분규의 상관관계를 인지 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 PDF

궤적 기반의 항공 교통 관리를 위한 스케줄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cheduling System for Trajectory Based Air Traffic Management)

  • 오은미;은연주;김현경;전대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67-374
    • /
    • 2018
  • 차세대 통신링크를 활용한 항공로 교통 관리를 위해 궤적 기반의 관제 지원 스케줄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차세대 ATS (air traffic services) 데이터링크인 Baseline 2를 사용하는 4DTRAD (4-dimensional trajectory data link) 서비스 내용을 기반으로 항공로 상을 비행 중인 항공기를 대상으로 하는 궤적기반운용 수행 절차를 수립하고 기술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데이터 활용으로 인한 관제사의 업무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지상 시스템이 수신한 항공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궤적을 예측하고 관제 조언 정보를 제공하는 스케줄링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또한, 궤적 기반 항행을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여 개발 시스템에 대한 스케줄링 기능을 확인하였다.

항공관제 전문성 수준에 따른 시각정보 판독과 미래정보 예측 차이 (Expert-Novice Differences in Reading and Predicting Visual Information in Air Traffic Control)

  • 권혁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27
    • /
    • 2015
  •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having perception of spatial information is important for air traffic control officer (ATCO) since it helps them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edict the situation it leads to. However, little or no research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difference at the levels of expertise in perceiving spatial information and predicting a prospective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between expert and novice ATCO groups in how accurately each group of ATCO perceiv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altitude, speed, and flying direction, and predicting such information they will encounter shortly. In completing a task to watch the movement of airplanes displayed on the computer monitor as a blip,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redict the position, speed, and the altitude of the aircraft in a minute by marking on the sector map.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t group performed better in accuracy and had tendency to overestimate on position and altitud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reading a flying direction. Therefore reading a flying direction may not be a reliable indicator to judge expertise of ATCO. But the expert group shows better predicting performance by perceiving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irplane's position and altitude with feeling on time.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perceptive skills in ATCO training in improving their expertise in predicting accuracy traffic situation, preventing from air collision, and improving productivity for more efficient air traffic flow. A furthe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spatial information and the sense of time in predicting future information and effectiveness as an independent factor would contribute to providing more insights into expertise of ATC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