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Operations Bas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DoDAF를 이용한 항모 항공지원시스템 아키텍처 개발 (The Development of Carrier Aviation Support System Architecture using DoDAF)

  • 이승도;박범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1권1호
    • /
    • pp.33-39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a development of aircraft carrier aviation support system architecture using DoDAF. The aircraft carrier, a warship performing a role of mobile sea air base in offensive and defense mission, is super system that is comprised of carrier itself and carrier-based airwing. Performing critical role in step with aviation operations in carrier-airwing interactions, the aviation support system of aircraft carrier is also system of systems. It requires a complex and integrated approach based on systems engineering in establishing concept of this complex systems. In this view, this study establishes an operational scenario and derives operational requirements by identifying aviation operations environment on deck of aircraft carrier. The study presents the operational architecture of the carrier aviation support system by using DoDAF and CASE tool CORE.

군 작전지원 임무 수행을 위한 드론 추천 및 관리 데이터 모델링 (The Modeling of Management Data and Drones Recommendation for Military Operation Support Mission)

  • 박근석;천상필;엄정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33-140
    • /
    • 2018
  •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 드론에도 적용됨에 따라 무인비행체 분야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며, 국내 외의 민간과 군사 분야의 활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드론의 활용 분야가 다양하고 그 기능을 군 작전지원 임무에 활용할 경우에 비용효과 측면에서 우수하고 군사적 활용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공군의 경우에 넓은 면적의 비행기지 내에서 항공기 검사, 군수품 보급, 기지경계, 조류 퇴치 등 다양한 항공작전 지원 임무를 드론으로 대체한다면 군사적 활용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군 작전지원 임무에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발굴하고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드론 추천 절차를 제시하며 데이터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즉, 민간 분야에서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드론과 탑재 장비 중에서 군 작전 지원임무에 가장 적합한 제원과 기능을 추천하며, 데이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방식으로 모델링한다.

  • PDF

객체인식 AI적용 드론에 대응할 수 있는 적대적 예제 기반 소극방공 기법 연구 (A Research on Adversarial Example-based Passive Air Defense Method against Object Detectable AI Drone)

  • 육심언;박휘랑;서태석;조영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19-125
    • /
    • 2023
  •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을 통해 드론의 군사적 가치는 재평가되고 있으며, 북한은 '22년 말 대남 드론 도발을 통해 실제 검증까지 완료한 바 있다. 또한, 북한은 인공지능(AI) 기술의 드론 적용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드론의 위협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에 우리 군은 드론작전사령부를 창설하고 다양한 드론 대응 체계를 도입하는 등 대 드론 체계 구축을 도모하고 있지만, 전력증강 노력이 타격체계 위주로 편중되어 군집드론 공격에 대한 효과적 대응이 우려된다. 특히, 도심에 인접한 공군 비행단은 민간 피해가 우려되어 재래식 방공무기의 사용 역시 극도로 제한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기술이 적용된 적 군집드론의 위협으로부터 아 항공기의 생존성 향상을 위해 AI모델의 객체탐지 능력을 저해하는 소극방공 기법을 제안한다. 대표적인 적대적 머신러닝(Adversarial machine learning) 기술 중 하나인 적대적 예제(Adversarial example)를 레이저를 활용하여 항공기에 조사함으로써, 적 드론에 탑재된 객체인식 AI의 인식률 저하를 도모한다. 합성 이미지와 정밀 축소모형을 활용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기법 적용 전 약 95%의 인식률을 보이는 객체인식 AI의 인식률을 제안기법 적용 후 0~15% 내외로 저하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제안기법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IEEE 802.16e 시스템에서 망 지원을 이용한 효율적인 펨토셀 스캐닝 방안 (An Efficient Femto-cell Scanning Scheme Using Network Assistance in IEEE 802.16e System)

  • 최재인;남진규;서원경;조유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B호
    • /
    • pp.21-2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6e 기반의 펨토셀 환경에서 이동단말이 매크로셀에서 펨토셀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긴 스캐닝 지연 시간과 큰 배터리 소요를 줄이고자 한다.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이동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인접한 기지국들을 스캐닝 해서 적절한 후보 기지국들을 선정하는데, 펨토셀이 도입되면 인접한 펨토셀의 수만큼 추가적으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동단말의 스캐닝 지연 시간 몇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삼각 측위법과 펨토셀의 모니터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이동단말의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하나의 펨토셀을 찾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동단말은 선정된 하나의 펨토셀에 대해서만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스캐닝 지연 시간 및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 안 방안으로 동작할 경우 실제 이동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펨토셀을 찾을 수 있는 확률이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스캐닝 대상 펨토셀을 줄임으로써 기존 방안보다 스캐닝 지연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Efficiency Evaluation of Nozawa-Style Black Light Trap for Control of Anopheline Mosquitoes

  • Lee, Hee-Il;Seo, Bo-Youl;Shin, E-Hyun;Burkett, Douglas A.;Lee, Jong-Koo;Shin, Young-Hac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159-165
    • /
    • 2009
  • House-residual spraying and insecticide-treated bed nets have achieved some success in controlling anthropophilic and endophagic vectors. However, these methods have relatively low efficacy in Korea because Anopheles sinensis, the primary malaria vector, is highly zoophilic and exophilic. So, we focused our vector control efforts within livestock enclosures using ultraviolet black light traps as a mechanical control measure. We found that black light traps captured significantly more mosquitoes at 2 and 2.5 m above the ground (P<0.05). We also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rap spacing within the livestock enclosure. In general, traps spaced between 4 and 7m apart captured mosquitoes more efficiently than those spaced closer together (P>0.05).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d that each black light trap in the livestock enclosures killed 7,586 female mosquitoes per trap per night during the peak mosquito season (July-August). In May-August 2003, additional concurrent field trials were conducted in Ganghwa county. We got 74.9% reduction (P<0.05) of An. sinensis in human dwellings and 61.5% reduction (P>0.05) in the livestock enclosures. The black light trap operation in the livestock enclosures proved to be an effective control method and should be incorporated into existing control strategies in developed countries.

포대/대대 별 재구성 가능한 전술작전화면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Reconfigurable Tactical Operation Display Framework by Battery and Battalion)

  • 이상태;이승영;위성혁;조규태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5호
    • /
    • pp.476-485
    • /
    • 2017
  • 미래 대공 유도무기체계 전술작전센터는 미래 공중위협, 전술정보, 통합전장 환경 생성 및 관리, 교전통제 및 지휘통제 알고리즘 연구를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통합전장상황 생성 및 처리, 전술작전 자동화 처리 핵심 기능요소에 대한 개발을 위해서는 다역할(포대/대대) 전술작전 통제 및 재구성 설계가 가능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능 별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전술작전화면 소프트웨어, 장비들 간 연동을 위한 링크 소프트웨어를 데이터 중심 설계를 통해 재구성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포대/대대 별 전술작전 운용화면에 재구성이 가능한 전술작전화면 프레임워크를 소개한다. 전술작전화면 프레임워크는 포대/대대 및 임무별 다역할 전술작전화면을 재구성 가능한 구조를 위해 공통데이터 모델설계와 MVC패턴을 이용한 화면구성도구를 개발하였다. 화면구성도구를 이용하여 화면 개발을 위한 전술작전화면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전술작전화면 프레임워크를 이용하게 된다면 공통기반의 구조를 통해 화면 설계를 재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쉽고 빠르게 재구성이 가능한 화면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모 조선업체 아크 용접 작업자의 공기중 6가 크롬 및 니켈 노출에 관한 연구 (Welder's Exposure to Airborne Hexavalent Chromium and Nickel during Arc Welding in a Shipyard)

  • 신용철;이광용;이나루;오세민;강성규;문영한;이기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9-223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elders' exposure to hexavalent chromium (Cr(VI)) and nickel (Ni) during welding operations in a Korean shipyard. The airborne Cr(VI) and Ni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during metal inert gas (MIG) welding on mild and stainless steel, and manual metal arc (MMA) welding on mild steel. The geometric mean (GM) of Cr(VI) concentrations inside the welding helmet during MIG welding on mild steel were $0.0018mg/m^3$ inside a ship section, and $0.0015-0.0026mg/m^3$ at the welding shops. All of the personal breathing zone air samples were below the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Threshold Limit Value ($TLV^{(R)}$) of $0.01mg/m^3$. Conversely, eighty-eight percent(21 of 24) of the personal breathing zone air samples exceeded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recommended exposure limit of $0.001mg/m^3$. Ni was not detected on 20 of 23 air samples collected during MIG welding on mild steel. The three Ni samples above the limit of detection ranged from 0.015 to $0.044mg/m^3$. The GM of Cr(VI) concentrations during MMA welding on mild steel were $0.0013mg/m^3$, but Ni was not detected in the air samples during this operation. It is assumed that the airborne Cr(VI) and Ni during mild steel welding were derived from the base metals which contained about 0.03% Cr and 0.03% Ni. The GM of airborne total Cr, Cr(VI) and Ni concentrations during MIG welding on stainless steel were 4.02, 0.13 and $0.86mg/m^3$, respectively, and the levels of Cr(VI) and Ni were above the ACGIH-$TLV^{(R)}$. Cr(VI) comprised about 35.5% of the total chromium(Cr) from MIG welding on mild steel, and about 8.4% of total Cr from MIG welding on stainless steel. The ratios of Cr(VI) to total C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welding shops. It was concluded that welders were exposed to high levels of Cr(VI) and Ni during welding on stainless steel, and were exposed to low levels of Cr(VI) even during welding on mild steel.

  • PDF

반환미군기지 기능별 토양오염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oil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the returned U.S. military base)

  • 오창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481-489
    • /
    • 2013
  • There are U.S. troops with a force about 290,000 strong stationed all around the world, approximately 150 countries. Among the troops, USFK has performed principal part with its stationing for 50 years against the military threat of North Korea. However, as a result of an investigation made into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several bases which were restituted from US to ROK by the Land Partnership Plan in the process of relocation of USFK, it was found that the area was contaminated by not only TPH and BTEX caused by diesel fuel and JP-8 but also various heavy metal over the standard level according to the operations of corps. Among these bases, 4 corps, each of which has different duties and function, were chosen to be analyzed for the characteristics and degrees of soil contamination. Fisrt of all, in armored camp the soil was contaminated by TPH and heavy metal (Zn, Ni, Pb) due to the repairing activities of tracked vehicles and shooting exercises. In army aviation camp, the soil was contaminated by TPH, BTEX and heavy metal (Zn, Cd) due to repairing activities of aircrafts. Also, in engineer camp there was contaminated area polluted by TPH and heavy metal (Zn, Pb) caused by open-air storage of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and TPH, BTEX and heavy metal (Zn, Pb, Cu) contamination of aircraft shooting area in shooting range camp were detected. Managing environment will be more effective when we identify the contaminative characteristics and take necessary measures in advance.

협업 설계관리를 통한 건설 프로젝트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Project Expected Effect Collaboration Business Design Management)

  • 남혜원;이종식;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89-592
    • /
    • 2007
  • 최근 들어 건설사업관리에서 설계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협업업체간의 협업설계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건축 설계업무 능력 향상을 위하여 설계관리 업무에 관련된 설계 프로세스의 흐름에 대한 파악, 관리요소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둘째, 현업에서의 협업설계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설계 프로세스 관리요소를 바탕으로, 공기의 최소화, 각 회사 간의 협업부족에 따른 도서간의 불일치, 설계 변경 시 설계정보 추적 어려움등의 개선을 통하여 설계 최적화를 목적으로 한 협업 설계 관리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협업설계에 관한 체계적인 활용을 통해서 협업 설계관리를 통한 건설 프로젝트의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비행안전구역의 사용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손실 보상 의무의 존부 -서울고등법원 2018. 10. 11. 선고 2018나2034474 판결- (The Obligation of Return Unjust Enrichment or Compensation for the Use of Flight Safety Zone -Seoul High Court Judgment 2018Na2034474, decided on 2018. 10. 11.-)

  • 권창영;박수진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3-101
    • /
    • 2020
  • 우리나라는 국제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전국에 각종 군사가지를 설치하고, 군사기지의 보호와 비행안전을 위하여 군사기지 주변에 보호구역, 비행안전구역 등을 설정하고 있다(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국방부장관은 군사기지 주변에 비행안전구역(飛行安全區域)을 지정하거나 이를 변경 또는 해제할 수 있고, 비행안전구역 내에서 그 구역의 표면높이 이상인 건축물의 건축, 공작물·식물이나 그 밖의 장애물의 설치·재배 또는 방치행위는 금지된다. 대상판결에서는 국가가 비행안전구역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토지소유자는 국가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 또는 손실보상을 청구하였다. 이 글은 원고의 청구의 정당성에 관하여 기존 법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것으로,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행안전구역은 국가안전보장의 구체적 내용인 군사기지의 안전을 위하여 군사기지 인근 주변의 재산권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공용제한의 일종인 군사부담(軍事負擔) 중 군사제한(軍事制限)에 해당한다. 비행안전구역은 국가가 군용항공기의 이착륙에 있어서의 안전비행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아울러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 인근 주민들의 생명·신체·재산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지정하는 것으로서, 그 공공성과 사회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민법 제741조는 "법률상 원인 없이 타인의 재산 또는 노무로 인하여 이익을 얻고 이로 인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이익을 반환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대상사안은 침해부당이득에 해당하므로, 피고가 이익을 보유할 정당한 권원이 있음을 증명하여야 한다. 국가는 군용항공기의 안전한 이착륙을 위하여 군사기지법이 정한 적법한 절차에 따라 비행안전구역으로 지정된 토지의 상공을 사용할 권리가 있다. 따라서 피고가 법률상 원인 없이 이 사건 부동산 상공에 대한 차임 상당의 부당이득을 얻었다고 할 수 없다. 군사기지법에 이 사건과 같이 부동산 상공에 비행안전구역을 설정한 경우에 관한 손실보상규정은 존재하지 않는바, 위헌 여부가 문제된다. 헌법재판소는 토지소유자가 수인해야 할 사회적 제약의 정도를 넘는 경우에도 아무런 보상없이 재산권의 과도한 제한을 감수해야 하는 의무를 부과하는 경우에는 위헌이라고 판시하였다(헌법재판소 1998. 12. 24. 선고 89헌마214 결정). 한편 대법원은 구 군사시설보호법에 따른 보호구역의 설정과 그로 인한 토지소유자의 재산권 행사의 제한은 군사시설의 보호와 군작전의 원활한 수행이라는 공익을 위한 사회적 제약 내에 있는 것으로 손실보상규정이 없다고 하여 위헌이 되는 것이 아니라고 판시한 바 있다(대법원 1992. 11. 24.자 92부14 결정). 비행안전구역으로 지정되어 사용·수익이 제한된다고 하더라도 손실보상 규정을 두지 않는 것만으로는, 비행안전구역제도의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정성, 침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 등이 인정되므로, 위헌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공용제한으로 인한 손실보상에 대하여서는 공익사업법이 손실보상에 관한 근거법률이 되는 것이 아니라 공용제한을 규정한 개별 법률에 의하여 손실보상관계가 규율되는 것인바, 공용제한에 기한 손실보상의 규정이 없는 공익사업법을 근거로 손실보상을 구하는 원고의 주장은 부당하다는 대상판결의 결론은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