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obacterium tumefaciens

검색결과 364건 처리시간 0.029초

Agrobacterium tumefaciens의 염색체 DNA내에 존재하는 종양 유발 지역의 클로닝 (Cloning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chromosomal virulence region)

  • 심웅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4-108
    • /
    • 1990
  • Ti-plasmid에 의하여 식물체에 종양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맨먼저 Agrobacteriuin tumefariens가 식물세포에 부착되어야 하는데, 이에 필요한 유전자들은 세균의 염색체 DNA내에 존재한다. 이들 유전자를 클로닝하기 위하여 transposon 쑤5를 사용하여 A. tumefaciens A5512에 돌연변이를 유발시켰다. 그 결과 식물세포에 부착하지 못하며, 종양을 유발시키지 못하는 두개의 돌연변이체를 얻었다. 이 두 돌연변이체 중 하나로부터 세균이 식물세포에 부착하는데 관여하는 염색체 DNA내의 종양 유발 지역을 클로닝하였다.

  • PDF

인삼의 Crown Gall Tumor형성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Crown Gall Tumor in Panax ginseng C.A. Meyer)

  • 최광태;양덕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45-54
    • /
    • 1986
  • 인삼에 이용할 수 있는 vector system의 개발연구의 일환으로 우선 Agrobacterium spp.를 인삼의 잎, 줄기 및 뿌리에 접종하여 crown gall tumor의 형성 및 탈분화 그리고 Agrobacterium spp.의 opine화합물의 이용정도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grobacterium tumefaciens C58은 인삼의 모든 부위에서 crown gall tumor를 형성하였으나 secondary tumor나 teratoma는 형성하지 못했다. 2. Wild type Agrobacterium tumefaciens Y101, Y104, Y109는 crown gall tumor를 형성하였으며, tumor의 형태, 크기 그리고 생장 정도는 strain별로 차이가 있었다. 3. Agrobacterium tumefaciens Y194는 특히 amorphic tumor를 형성하였다. 4. 줄기에서 형성된 tumor조직에서 callus를 유기하고자 phytohormone free배지 및 2,4-D 첨가 배지에 접종한 결과 전혀 callus가 형성되지 않았다. 5. 뿌리에서 형성된 callus가 형성되긴 하였으나 출현빈도가 극히 낮았으며, 정상 조직과는 달리 2,4-D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6. Agrobacterium spp.에 의한 opone화합물의 이용능력을 조사한 결과, Agrobacterium tumefacciens Y104, Y110 과 C58은 nopaline type이었고 Y109는 octopine type이었으며, Y101은 nopaline과 octopine 어느것도 이용하지 못하였다.

  • PDF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대한 약용식물의 탐색 I (The Screening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Agrobacterium tumefaciens I)

  • 음진성;박영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87-1090
    • /
    • 2009
  • 본 연구는 약용식물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을 찾기 위하여 Glycyrrhiza uralensis, Dryopteris crassirhizoma, Dictamnus albus, Paeonia lactiflora, Angelica dahurica, Spirodela polyrhiza, Cimicifuga heracleifolia, Bupleurum falcatum, Magnolia kobus, Artemisia princeps, Arctium lappa, Aster tataricus, Hovenia dulcis, Citrus unshiu, Asparagus cochinchinensis, Gardenia jasminoides, Smilax china, Hovenia dulcis, Prunus sargentii, Scutellaria baicalensis등의 약용식물을 사용하였다. 총 20종류의 약용식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분리하여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Glycyrrhiza uralensis, Dryopteris crassirhizoma, Cimicifuga heracleifolia, Bupleurum falcatum,의 추출물이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 PDF

Agrobacterium tumefaciens 에 의한 민들레의 형질전환 (Transformation of Taraxacum mongolicum Hand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 여상언;노광수
    • KSBB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480-485
    • /
    • 2001
  •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민들레가 Agrobacteria 에 대한 숙주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 여러 가지 유용한 유전자를 민들레로 도입시키기 위해, 민들레잎 절편을 pBI121으로 형질전환된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와 10분동안 공동배양하여 형질전환시킨 후, 1$\mu$M IAA, 1$\mu$M BA. 50 $\mu$g/ML Km과 100$\mu$g/ML Cb이 함유된 MS 배지에서 약 2주후에 multiple shoot를 유가시켰다. 유기된 shoot로 부터 유식식물체를 얻었으며, 형질전환을 확인하기 위해 GUS활성을 측정한 결과 양성 반응을 보였다.

  • PDF

한국산 고감염 Agrobacterium spp의 분리 및 연초의 형질전환에 이용 (Isolation of Hypervirulent Agrobacterium spp from Korea and Application for Transformation of Tobacco)

  • 양덕춘;정재훈;이정명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7-217
    • /
    • 1998
  • 한국에서 자생한 자연산 tumor 조직과 근권토양으로부터 형질전환율이 높은 hypervirulent Agrobacterium spp를 분리하기 위해서 Salix, Diospyros, Populus 및 Malus에서 형성된 tumor 조직과 근권토양을 채취하괴 Schroth 선택배지와 New and Kerr 배지를 이용하여 78 균주의 colony를 특성에 따라 분리하였다. 이중에서 48 균주가 당근 disc에서 tumor를 형성하였으며 tumor를 형성한 균주중 형성시기가 빠르며 크기가 커 hypervirulent 균주로 생각되는 A. tumefaciens SP101을 biotype 1, 그리고 A. tumefaciens SM042를 biotype 2로 동정하였다. 토양중에서 선발한 A. tumefaciens SM042와 disarmed A. tumefaciens PC2760에 kanamycin 저항성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binary vector pGA643을 도입하여 conjugant인 A. tumefaciens SM643과 A. tumefaciens PC643을 kanamycin과 tetracycline이 함유된 최소배지에서 획득하였다. 연초의 형질전환을 위해서 conjugant Agrobacterium과 연초조직을 동시배양 후 2,4-D와 kanamycin이 함유된 선발배지에 치상하여 형질전환을 유도한 결과 A. tumefaciens SM643이 A. tumefaciens PC643보다 더 많은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A. tumefaciens PC643을 사용한 형질전환 캘러스는 대부분 friable한 캘러스로 유도되었으며 정상적으로 식물체로 생장하였으나 A. tumefaciens SM643을 사용한 캘러스는 매우 딱딱하며 둥그런 형태의 캘러스와 friable한 캘러스가 혼재한 상태로 생장하였으며, 이중에서 friable한 캘러스는 정상적인 shoot가 형성되었으나 딱딱한 캘러스로 유도된 형질전환체는 식물체로 형성되지 않고 반구형 미색의 전형적인 tumor 캘러스로 생장하였다. 한편 형질전환시 캘러스를 유도하지 않고 직접 shoot를 형성시킨 결과 disarmed Ti-plasmid를 사용하지 않고 wild-type Ti-plasmid를 사용해도 정상적인 형질전환체를 획득할 수 있었다.

  • PDF

Agrobacterium tumefaciens와 Tumor-inducing 플라스미드에 의한 virulence 유전자의 발현 (Effects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and Tumor-inducing plasmid on the virulence gene expression)

  • 음진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000-100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vir유전자의 발현에 있어서 페놀화합물, Ti 플라스미드들의 종류(cctopine, nopaline), A. tumefaciens 들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9종류의 페놀화합물들을 3종류의 A. tumefaciens들과 3종류의 Ti 플라스미드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Nopaline Ti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A. tumefaciens MW107에 존재하는 vir유전자는 4-hydroxyacetophenone, phenol, catechol, resorcinol, acetosyringone과 vanillin등 6종류의 페놀화합물들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높게 발현되었다. Octopine Ti 플라스미드들을 포함하는 A. tumefaciens MW105와 MW108의 vir유전자들은 acetosyringone에서만 발현되었다. 따라서 vir유전자의 발현을 유도시키는 요인들은 Ti 플라스미드 종류, A. tumefaciens와 페놀화합물들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르다는 결과를 얻었다.

pTi-12를 함유한 한국산 Agrobacterium tumefaciens KU12의 숙주범위 (Host Range of pTi12 Contained Agrobacterium tumefaciens KU12 Isolated from Korea)

  • 전경아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2호
    • /
    • pp.97-104
    • /
    • 199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ost range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KU12 containing pTi-12, 28 species of dicotyledonous plants were infected with KU12, A136 without Ti plasmid and A348 containing pTi A6, respectively. KU12 and A348 induced tumor in 20 species and 14 species, respectively. This results showed that KU12 has a wide host rang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KU12 and pTi-12 are very useful for developing plant vector system having a broad host range.

  • PDF

여러 종류의 Agrobacterium tumefaciens에서 vir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페놀화합물 (Influence of Phenolic Compounds on vir Gene Expression in Various Agrobacterium tumefaciens)

  • 음진성;박영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3-260
    • /
    • 2000
  •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존재하는 Ti 플라스미드의 virulence(vir)유전자들은 상처난 식물세포에서 분비되는 페놀화합물에 의해서 발현이 유도된다. 본 연구에서는 3종류의 A. tumefaciens들을 대상으로 8종의 페놀화합물들 중에서 vir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페놀 화합물들의 종류와 이들 균주에서 발현되는 vir유전자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A. tumefaciens MW102에 존재하는 vir유전자는 4-hydroxyacetophenone, phenol, catechol, resorcinol과 vanillin등 5종류의 페놀화합물들에 의해서 높게 발현된 반면, 다른 A. tumefaciens Mw105와 Mw108의 vir유전자들은 이들 페놀화합물들에 의해서 매우 낮게 발현되거나 또는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A. tumefaciens Mw102는 A. tumefaciens Mw105와 Mw108의 vir유전자를 매우 높게 발현시키는 acetosyringene에 의해서는 매우 낮게 발현되었다. 따라서 vir유전자의 발현을 유도시키는 능력은 Ti 플라스미드들의 종류와 페놀화합물들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르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과적으로 vir유전자 유도능력의 차이는 vir A 유전자에서 발현되는 sensor단백질의 차이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감나무 근두암종병(Agrobacterium tumefaciens)의 발생실태 (Epidemiology of the Crown Gall (Agrobacterium tumefaciens) of Persimmon Tree)

  • 김승한;임양숙;최성용;김동근;최성국;윤재탁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27-230
    • /
    • 2004
  • Occurrence and epidemiology of crown gall caused by A. tumefaciens in persimmon tree was investigated. Persimmon tree was more sensitive to crown gall disease than peach and jujube tree. Over 80% persimmon trees were infected to crown gall in all investigated region with no relation to planted years. Yield of infected tree was severely decreased to 54%. Incidence of crown gall in nursery field of persimmon tree was also severe and the infection rate of persimmon seedlings collected from market was 34%. It was guessed that the primary inoculum of crown gall caused by A. tumefaciens is infected persimmon seedlings.

한국산 Agrobacterium tumefaciens KU12so Ti-plasmid의 vir 유전자 발현 유도 물질 (Inducers for the vir Gene Expression of Ti-Plasmid in Korean Agrobacterium tumefaciens KU12)

  • 김준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3호
    • /
    • pp.245-251
    • /
    • 1991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enolic compounds inducing the expression of Ti-plasmid vir genes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KU12, we tested whether the eighteen phenolic compounds known as vir gene inducer have the activity to induce vir operon of the Ti-plasmid in A. tumefaciens KU12 transformed with pSM358cd. Also, the phenolic compounds in some tumor-uninduced dicotyledons and the attachment ability of a. tumefaciens KU12 on such dicotyledonous plants were investigated in an effort to analyze the reason why no tumor is formed on the plants. As results, fifteen among eighteen phenolic compounds known as vir gene inducer induced the expression of the Ti-plasmid vir genes. Some dicotyledonous plants which do not form the tumor have the phenolic compounds inducing the vir genes, but have less ability of the attachment than the dicotyledonous plants forming tum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