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Residue

검색결과 675건 처리시간 0.019초

청주지역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Wholesale and Traditional Markets in Cheongju)

  • 노현호;강경원;박영순;박효경;이광헌;이재윤;엽경원;이은영;진용덕;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
    • /
    • 2010
  • 청주지역에서 유통중인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매시장과 재래시장에서 총 120점의 농산물을 채취하여 GLC와 HPLC 및 GC-MSD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Procymidone과 penconazole 및 tetraconazole과 같은 3종의 살균제가 양파, 부추, 토마토, 풋고추에서 검출되었다. 도매시장에서 채취한 양파에서 살균제 penconazole이 검출되었으며, 재래시장의 경우는 살균제 procymidone이 부추와 토마토에서, 살균제 tetraconazole이 풋고추에서 검출되어 3.3%의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검출된 농약의 일일섭취추정량(EDI)은 일일섭취허용량(ADI)의 0.1% 미만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통 중인 관행 및 인증 농산물 중 곡류와 엽채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Cereals and Leafy Vegetables of Certificated and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 김효영;전영환;황정인;김지환;안지운;정덕화;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0-445
    • /
    • 2011
  • 유통되고 있는 관행농산물, 유기농산물, 무농약 농산물 그리고 GAP인증농산물 가운데 곡류(쌀, 보리)와 엽채류(상추, 들깻잎)의 농약잔류실태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2개의 지역의 백화점, 대형마트 및 재래시장에서 농산물을 구입하여 총 259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잔류농약의 검출율은 일반 농산물에서 4.6%, 유기농산물에서 1.5%, 무농약농산물에서 0% 그리고 GAP인증농산물에서 0.8%이었다. 보리 시료 63점에서는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고, 쌀 시료 69점에서는 isoprothiolane이 3점 검출되어 4.3%의 검출율을 보였다. 상추 시료 64점에서는 cypermethrin이 2건 검출되어 3.1%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들깻잎 시료 63점에서는 dichlorvos가 13건 검출되어 20.6%의 검출율을 보였다. 검출된 농약들은 모두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검출농약이 해당 농산물의 섭취로 인체에 유입될 잔류농약의 1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한 결과 ADI의 0.0003~0.04302% 수준이었다. 검출된 농약이 MRL 이하로 나타났거나 %ADI가 낮다고 하여 안전하다고 사료되지만 유기농산물인 들깻잎에서 농약이 검출된점 그리고 상추에서 검출된 cypermethrin은 해당작물에 대한 안전사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엇갈이배추 중 bistrifluron과 fluopicolide의 잔류 특성 연구 (Residual Characteristics of Bistrifluron and Fluopicolide in Korean Cabbage for Establishing Pre-Harvest Residue Limit)

  • 이동열;정동규;최근형;이득영;강규영;김진효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1-369
    • /
    • 2015
  • 본 연구는 엇갈이배추 중 bistrifluron과 fluopicolide의 잔류특성을 조사하여 약제별 잔류량 감소추이와 생물학적 반감기를 바탕으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온실 재배 중인 엇갈이배추에 안전사용기준 농도로 희석한 bistrifluron과 fluopicolide를 다른 두 지역의 포장에 각각 살포 후 0 (2시간), 1, 2, 4, 6, 8, 10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엇갈이배추 중 두 성분의 잔류농약은 acetonitrile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Florisil SPE cartridge로 정제한 후 HPLC/DA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시험농약의 정량한계는 $0.03mg\;kg^{-1}$이었고, 시험분석법의 회수율은 0.1 및 $0.5mg\;kg^{-1}$ 두 수준에서 87.2%~110.6%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5% 미만이었다. 두 지역의 시험포장에서 엇갈이배추 중 각 시험농약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bistrifluron의 경우 3.9일과 4.2일이었으며, fluopicolide의 경우 4.9일과 4.2일로 나타났다. 잔류회귀감소식을 이용하여 엇갈이배추 중 bistrifluron과 fluopicolide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은 수확 10일 전 $3.83mg\;kg^{-1}$$3.23mg\;kg^{-1}$으로 제안하였다.

생산단계 비름 중 Emamectin benzoate의 잔류허용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of Emamectin benzoate during Cultivation of Amaranth)

  • 김경진;김다솜;허성진;함헌주;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7-83
    • /
    • 2013
  • 본 연구는 소면적 재배 작물인 비름에 대한 emamectin benzoate의 수확 전 최종 농약 살포일로부터 수확일까지 농약 잔류량 감소추이를 파악하여, 생산단계 농산물의 농약 잔류 특성과 수확 예정일의 잔류량 예측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비름 재배 중 emamectin benzoate를 안전사용기준의 희석배수에 준하여 1회 및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후, 0, 1, 2, 3, 5, 7, 10, 14일 총 8회의 시료를 채취하여, 약제의 잔류양상을 분석한 뒤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비름 중 emamectin benzoate는 acetonitrile로 추출하고 dichloromethane을 사용하여 분배하였으며, SPE kit (PSA, GCB, $MgSO_4$)로 정제한 후 LC-ESI/MS/MS로 분석하였다. 시험농약의 정량한계(LOQ)는 0.01 mg/kg이었고, 정량한계의 10배와 50배 수준으로 농약을 처리하여 수행한 결과 emamectin benzoate의 평균 회수율은 $B_{1a}$에 대해서 각각 $93.3{\pm}0.7%$$93.2{\pm}7.7%$였고, Blb에 대해서 각각 $106.6{\pm}1.9%$$80.5{\pm}6.6%$의 회수율을 보였다. 비름 중 emamectin benzoate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1회 및 2회 처리구에서 각각 2.0일, 1.7일이었으며, 시험농약의 잔류량을 바탕으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을 추천한 결과 수확 10일 전에 0.84 mg/kg 이하이면, 수확 시에는 잔류농도가 MRL (0.05 mg/kg, 시금치(유사농산물 기준)) 수준 이하로 잔류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Responses of Soil Rare and Abundant Sub-Communi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fter Application of Different Chinese Herb Residue Soil Amendments

  • Chang, Fan;Jia, Fengan;Guan, Min;Jia, Qingan;Sun, Yan;Li, Zh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564-574
    • /
    • 2022
  • Microbial diversity in the soil is responsive to changes in soil composition. However, the impact of soil amendments on the diversity and structure of rare and abundant sub-communities in agricultural systems is poorly understoo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Chinese herb residue (CHR) soil amendments and cropping systems on bacterial rare and abundant sub-communiti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bacterial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se sub-communities in soil had a specific distribution under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soil amendments. The CHR soil amendments with high nitrogen and organic matter additiv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lative abundance and stability of rare taxa, which increased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redundancy of soil bacterial communities. Rare and abundant sub-communities also showed different preferences in terms of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as the former was enriched with Bacteroidetes while the latter had more Alphaproteobacteria and Betaproteobacteria. All applications of soil amendments significantly improved soil quality of newly created farmlands in whole maize cropping system. Rare sub-communitiy genera Niastella and Ohtaekwangia were enriched during the maize cropping process, and Nitrososphaera was enriched under the application of simple amendment group soil. Thus, Chinese medicine residue soil amendments with appropriate additives could affect soil rare and abundant sub-communities and enhance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pplying soil composite amendments based on CHR in the field could improve soil microbial diversity, microbial redundancy, and soil fertility for sustainable agriculture on the Loess Plateau.

2006~2008년 부산지역 농산물도매시장 경매 전 농산물의 잔류농약 조사 (Pesticide Residues Survey on Agricultural Products before Auction at Whole Market in Busan Area during 2006~2008)

  • 권순목;박은희;강정미;조현철;진성현;유평종;류병순;정기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6-94
    • /
    • 2010
  •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부산지역 농산물도매시장으로 유입되는 경매 전 농산물 7,237건에 대해 다종농약다성분법으로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1,164건 (16.1%)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231건 (3.2%)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기준초과된 농산물은 대부분 해당 농산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잠정기준을 적용받는 경우로서 기준초과된 231건 중 181건으로 78.4%가 이에 해당한다. 농약성분별로 endosulfan, procymidone, chlorothalonil, ethoprophos, chlorpyrifos, diethofencarb, kresoxim-methyl, EPN 순으로 잔류허용기준이 초과되었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1,164건의 농산물 중 211건에서 두 종류 이상 농약이 검출되었고 이 중 37.9%에 해당되는 80건이 기준초과되었다. 본 연구에서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요인은 해당 농산물에 대한 미적용 농약의 사용, 두 종류 이상의 농약사용으로 나타났다.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Tricyclazole Residues in Rice Grain, Rice Straw, and Soil

  • Lee, Young-Deuk;Lee, Jung-Hu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8호
    • /
    • pp.595-599
    • /
    • 1998
  • An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tricyclazole residues in rice grain, straw, and soil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ultraviolet absorption detection. Tricyclazole was extracted with methanol from moist rice grain, straw, and soil samples. n-Hexane washing was employed to remove nonpolar co-extractives during liquid-liquid partition. Tricyclazole was then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from alkaline aqueous phase, while acidic interferences remained in the phase. Dichloromethane extract was further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ior to HPLC determination. Reverse-phase HPLC using an octadecylsilyl column was successfully applied to separate and quantitate the tricyclazole residue in sample extracts monitored at ${\lambda}_{max}$ 225nm. Recoveries from fortified samples averaged $95.5{\pm}3.0%\;(n=6),\;87.5{\pm}20.%\;(n=6),\;and\;84.3{\pm}2.8%$ (n=12) for rice grain, straw, and soil, respectively. Detection limit of the method was 0.02 mg/kg for rice grain and soil samples while 0.05 mg/kg for rice straw samples. The proposed method was reproducible and sensitive enough to evaluate the safety of tricyclazole residues in rice grain, straw, and soil.

  • PDF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잔류 살충제 Imidacloprid 분석용 시료전처리 기술개발 (Development of the Sample Pretreatment Technique using Microwave for Analysis of Insecticide Imidacloprid Residues)

  • 안순용;조한근;이은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extraction efficiency by microwave technique in comparison with sonication technique for extraction of insecticide residue in pear. In the analysis of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microwave for a pear spiked with imidacloprid, the extraction efficiency by microwave power of 300 W with extraction temperature of $80^{\circ}C$, heating time of 1 to 3 minute was shown to be similar with the extraction time 20 minutes by sonication. The optimal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economical condition and treatment time, for microwave extraction of imidacloprid in the pear were 300 watts of power supply, $100^{\circ}C$ of extraction temperature, 1 minute of heating time and 10 mL of acetone volume. A new microwave vessel was developed to rapidly process the sample of the insecticide imidacloprid residues in the pear. This vessel was designed to include a reaction chamber and a filtration equipment, and a gathering chamber. The system could curtail a pretreatment time to 21 minutes than sonication and 7.9 minutes than the previous microwave vessel.

Determination of Abamectin Residue in Paprik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Xie, Wen-Ming;Ko, Kwang-Yong;Kim, Sung-Hun;Chang, Hee-Ra;Lee, Kyu-Se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9-364
    • /
    • 2006
  •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echniques were developed to quantify abamectin (ABM) in paprika (Capsicum annum). Separation was achieved on a $C_{18}$ ODS column with a mobile phase of acetonitrile/water (96/4, v/v) mixture in an isocratic elution at the flow tate of 1.2 mL/min for avermectins (AVMs). The retention times were 8.0 and 9.7mins for AVM $B_{lb}$ and AVM $B_{1a}$, respectively. Residual AVMs (sum of AVM $B_{1a}$, AVM $B_{1b}$ and 8,9-Z-AVM $B_{1a}$) in the vegetable were extracted with acetonitrile, and the silica solid-phase extraction cartridges were used to purify the extract. AVMs were derivatized using trifluoroacetic acid and 1-methylimidazole, and the derivatives were determined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excitation at 365 nm and emission at 470 nm). High and consistent recoveries, ranging from 93% to 115%, were obtained for AVM $B_{1a}$ and 8, 9-Z-AVM $B_{1a}$ at fortified levels of $20{\mu}g/kg\;and\;200{\mu}g/kg$ for paprika.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was $2{\mu}g/kg$. The residual levels of AVMs in paprika in a field experiment from one day to seven days after the last application decreased from 18.40 to $7.59{\mu}g/kg$. The half-life $(T_{1/2})$ of AVMs in paprika was 1.47 days.

비가림과 시설 재배조건시 포도 중 Azoxystrobin과 Cyenopyrafen의 잔류 특성 (Residue Patterns of Azoxystrobin and Cyenopyrafen In Grape between Rainshield and Plastic House Conditions)

  • 이초롱;홍지형;임종성;이규승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7-103
    • /
    • 2011
  • 재배방법에 따른 농약의 잔류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가림과 시설 재배조건에서 포도 중 azoxystrobin과 cyenopyrafen의 잔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azoxystrobin의 경우 기준량은 $0.54-0.9\;mg{\cdot}kg^{-1}$, 배량은 $0.92-2\;mg{\cdot}kg^{-1}$이었고, cyenopyrafen의 경우 기준량은 $0.55-0.64\;mg{\cdot}kg^{-1}$, 배량은 $0.97-1.27\;mg{\cdot}kg^{-1}$이었다. 이를 통해 산출한 반감기는 azoxystrobin은 기준량은 13.28-15.58일, 배량은 10.81-13.67일이었으며, cyenopyrafen은 7.99-12.65일, 배량은 7.92-14.65일로 나타났다. 두 재배조건 간에 잔류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시설 재배조건이 비가림 재배조건보다 두 약제 모두 분해가 더 빨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