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Environment

검색결과 5,375건 처리시간 0.032초

Phellinus pini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pini)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5
    • /
    • 2000
  • Phellinus pini는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진흙버섯속 버섯 중에서 항암저지율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중국본초도감). 온도별 배양결과 $25^{\circ}C$에서 34 mm/14일(PDA배지)로 생육이 가장 좋았고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에서 30mm/10일, MCM 배지에서 28mm/10일로 나타났으며 pH $5{\sim}6$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 +미강(4.5:4.5:1)과 참나무톱밥+소나무톱밥+미강(4.5:4.5:1)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고 균사밀도는 참나무톱밥+미강(9:1)과 소나무톱밥+미강(9:1) 배지가 가장 높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4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26%정도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110일 정도로 나타났다.

  • PDF

벼논에서 자동 챔버와 수동 챔버를 이용한 CH4 배출량 비교 (Comparison of CH4 Emission between Auto Chamber and Manual Chamber in the Rice Paddy)

  • 정현철;최은정;이종식;김건엽;이선일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77-384
    • /
    • 2018
  • The chamber method is widely used for measuring methane emission from paddy rice fields. The closed static chamber has advantages of easy installation and removal in the field and low manufacturing cost. However, the manual chamber method requires a lot of labor and has a limited sampling time and frequency.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manual chamber, the auto-chamber system is used for measuring methane emission.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methane flux between the auto-chamber and manual chamber. To investigate methane emissions by the two methods, a chamber was installed for each of the following treatments : control without rice straw (NA), spring plowing after autumn rice straw application (SPRA) and autumn plowing after autumn rice straw application (APRA). The total methane emission was lowest in the control and highest in APRA with both metho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methane emission between the methods, but dynamic fluctuation in methane with temperature change was accurately measured in the auto-chamber. Measuring methane emission with an auto-chamber system is expected to reduce uncertainty and increase accuracy, accompanied by labor reduction.

발효식품 추출물과 미생물을 활용한 참깨 종자전염성 병 방제 (Effect of Extracts and Bacteria from Korean Fermented Foods on the Control of Sesame Seed-Borne Fungal Diseases)

  • 김용기;홍성준;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박종원;박소향;지형진;김석철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297-308
    • /
    • 2015
  • 참깨 종자전염성 병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용미생물을 함유하는 김치, 고추장, 된장, 간장, 막걸리를 채집하여 식품 추출물을 조제하고 종자전염성병원균에 대한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가로 식품유래 미생물의 참깨 종자전염성 병해 억제 효과를 in vitro 및 in vivo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50개 식품추출물에 처리한 참깨 종자를 샤레상에 처리하였을 때 20개 식품추출물이 유묘썩음증상을 92% 이상 감소시켰고, 7개 식품 추출물 처리는 온실조건에서 지상부 출현율을 58.3-66.8%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발효식품으로부터 얻은 218종의 발효미생물 중 7종의 종자전염성 병원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던 29균주를 처리하여 종자소독효과를 검정한 결과, 20균주가 병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균주 중 13균주는 모썩음 증상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건전주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16S rDNA region의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균활성 및 종자소독 효과를 보인 식품유래 유용미생물 16종에 대한 동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4균주는 Bacillus 속 세균으로,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2균주는 Saccharomyces 속으로 동정되었다.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선발 균주는 대부분 B. amyloliquifaciens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발 균주 중 B. amyloliquefaciens Gcj2-1와 B. amyloliquefaciens Gcj3-1를 코팅제로 bentonite, kaolin, talc 및 zeolite를 첨가 혼화하여 제제화하였을 때 두 균주 공히 talc와 kaolin 제형이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고 그 다음이 zeolite 제형이었다. 그러나 bentonite 제형의 경우에는 타 제형에 비해 억제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선발된 발효식품유래 미생물은 in vitro와 온실조건에서 참깨 종자전염성병 방제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국내산 발효식품 추출물 및 발효식품 유래 미생물은 참깨 종자소독용 방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오이 유묘와 과실을 활용한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 검정 방법 (Screening Methods for Resistant Cucumber Cultivars against Cucumber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Using Cucumber Fruits and Seedlings)

  • 박소향;홍성준;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박종원;지형진;김석철;김용기
    • 식물병연구
    • /
    • 제22권1호
    • /
    • pp.18-24
    • /
    • 2016
  • 본 연구는 검은별무늬병균의 배양적 및 병원학 특성을 구명하고, 81개 시판 오이 품종의 저항성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균은 2015년 3월 말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시설 오이 재배농가에서 채취한 병든 과실로부터 분리하였고 PDA상에서 배양하면서 형태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검은별무늬병균(C. cucumerinum PT1)으로 동정되었다. 상처 유무와 과실 크기가 검은별무늬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과일 크기를 유과(10 cm 미만), 중과(10-20 cm), 대과(20 cm 초과)로 구분하고 과실 크기별로 상처와 무상처 조건으로 오이 과실표면에 $1{\times}10^5$ 포자/ml 농도의 병원균을 접종하였다. 작은 과실에서는 표면 상처 여부에 관계없이 심한 수침상의 병반과 빠른 병원균 생장을 보이면서 피해정도가 매우 컸던 반면, 중과와 대과에서는 상처 부위와 무상처 표면 모두에서 경미한 수침상의 병반이 나타났지만 식물체 안쪽 조직으로 병이 진전된 것은 상처 낸 과실에서 뿐이었다. 오이 유묘와 유과에 검은별무늬병균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여 81개 시판 오이 품종의 병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미니오이와 피클오이 품종군은 대부분 저항성이었다. 특히 '처음처럼' 품종은 아무런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나머지 품종들은 저항성-중도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품종군의 오이 품종은 대부분 감수성 품종으로 판명되었다. C. cucumerinum PT1에 대한 오이의 병 저항성은 품종 간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일부 품종에 있어서 유묘 검정과 유과 검정 간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서 오이 유묘 검정과 유과 검정을 병행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선발된 저항성 품종을 농가에 적용한다면 오이 검은별무늬병 방제를 위한 실질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향신식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on Herbs and Spices)

  • 배호정;김운호;정유정;이유나;문경은;김정선;채경석;이진희;도영숙;최옥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92-399
    • /
    • 2021
  • 본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 향신식물 114건을 수거하여 잔류농약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GC-MSMS, GC-ECD, GC-NPD, LC-MSMS, LC-PDA, LC-CAS를 이용하여 다종농약 다성분분석법으로 잔류농약 341종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36건의 검출이 있었으며 검출률은 31.6%이었다. 이 중 7건은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부적합률은 6.1%이었다.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품목은 고수(2건), 민트(2건), 바질(1건), 로즈마리(1건), 서양자초(1건)이었다. 잔류농약 341종을 분석한 결과 22종의 농약 성분이 52회 검출되었고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성분은 8종이었다.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성분은 etofenprox, flufenoxuron, fluquinconazole, iprodione, lufenuron, paclobutrazol, phenthoate, spiromesifen 이었다.

농촌지역의 공공시설 및 도로 상황을 반영한 도로 우회계수 산정 (Calculation of Road Circuity Factors Considering Public Facilities and Road Condition in Rural Area)

  • 전정배;박미정;윤성수;서교;김은자
    • 농촌계획
    • /
    • 제23권2호
    • /
    • pp.55-65
    • /
    • 2017
  •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ircuity factors which can be used to assess for public facilities accessibility and analyze traffic in the area. We set the rang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by Si Gun Gu unit and Eup Myeon Dong unit (more subdivided unit than Si Gun Gu unit). The average circuity factor in Si Gun Gu unit is 1.364 (maximum 2.953 and minimum 1.711). The region indicated the highest value of circuity factor is wando-gun in jeollanam-do, which area consists of 4 island and is connected to the bridges. Having to use the bridges for using public facilities hinders its accessibility. In the case of Eup Myeon Dong unit, the average circuity factor is 1.353 (maximum 2.950 and minimum 1.154). The region indicated the highest value of circuity factor is buksan-myeon in chuncheon-si, Gangwon-do. This region also has to use bridges for using public facilities because there is the largest lake, called Soyangho. This circuity factor is used to analyze the location of public facilities and assess vulnerability of accessibility. And also the factor can be applied to some policies, such as rural public service planning based on spatial big data.

DTS (Days Transformed to Standard temperature) 생육 모델을 활용한 군위 지역의 '후지' 사과 성숙기 예측 (Predicting Harvest Maturity of the 'Fuji' Apple at the Gunwi Province of the South Korea using DTS Phenology Model)

  • 최인태;심교문;김용석;정명표;윤경담;김수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547-1550
    • /
    • 2015
  • Fuji apple variety introduced in Japan has excellent storage quality and good taste so it is most commonly culti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Accurate prediction of harvest maturity allows farmers to more efficiently manage their farm, such as working time, fruit storage, market shipment and labor distribution so it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dict the harvest maturity of 'Fuji' apple using DTS (Days Transformed to Standard temperature) model based on the Arrhenius law in the Gunwi province of the South Korea. Input data are daily average temperature and apple harvest maturity. Predicted the harvest maturity of Fuji apple after estimating the optimal parameters by using the Nelder-Mead method. The differences of observed and predicted harvest maturity day are approximately 1 to 4 days and the RMSE is 2.9.

판별분석을 통한 농촌유역 소하천의 수질등급모형(WQLM)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ater Quality Level Model (WQLM) for the Small Streams of Rural Watersheds with Discriminant Analysis)

  • 김진호;최철만;류종수;정구복;신중두;한국헌;이정택;권순국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0-265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lement water quality standards and to establish new concept for water quality standards reflecting current state of water quality in small streams. By this purpose,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and Water Quality Level Model (WQLM) was developed using the data such as EC, BOD, $COD_{Mn}$, SS, T-N, T-P, $NH_3-N$ in 224 agricultural streams. To give water quality level for water quality parameters, it divided into 20%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excellent water quality. On the basis of the lowest water quality level, water quality level of small streams is granted. As a result of it, number of stream corresponding to Level I was no, Level II was 2 streams, Level III was 22 streams, Level IV was 70 streams, and Level V was 130 streams. Average of water quality in each level was the highest in Level V. EC, SS, and T-N of 7 parameters were selected in variance concerned water quality level. By standardized canonical discriminant function coefficient, EC of three variances was the highest in 0.625 at the discriminant power. The next was T-N (0.509), SS (0.414). By discriminant function for water quality level, Level II was equal to $-2.973+19.376{\times}(EC)+0.647{\times}(T-N)+0.009{\times}(SS)$, Level III was equal to $-3.288+19.190{\times}(EC)+0.733{\times}(T-N)+0.041{\times}(SS)$, Level IV was equal to $-4.462+27.097{\times}(EC)+0.792{\times}(T-N)+0.053{\times}(SS)$, and Level V was equal to $-9.117+40.040{\times}(EC)+1.305{\times}(T-N)+0.111{\times}(SS)$. As a result of test at real agricultural watershed of Jeongan and Euidang in Gongju city, the fitness of WQLM was high to 88.78%. But, to get accomplished water quality assessment more exactly in agricultural streams, we had to concentrate and get vast data, and WQLM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continually.

잡곡 농산물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tudy on the Safety of Residual Pesticides in Cereal Grains and Pulses Agricultural Products Excluding Rice)

  • 한나은;김재관;윤희정;강민성;조영선;송지원;김병태;이성남;최옥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 2월부터 7월까지 잡곡 106건을 수거하여 잔류농약 실태조사를 하였다. 대형, 중소형 및 온라인 유통매장을 중심으로 국내 잡곡 40건과 수입 잡곡 66건을 수거하였고, GC/MSMS, GC/ECD, GC/NPD, LC/MSMS, UPLC/PDA, HPLC/FLD를 이용하여 다종농약 다성분분석법으로 잔류농약 341종을 분석하였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잡곡은 대형유통매장 1건, 중소형 유통매장 2건, 온라인 유통매장 5건으로 총 8건(7.5%)이었고, 5건(4.7%)에서는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이들 잡곡에서는 MGK-264, chlorpyrifos, thiamethoxam, malathion, piperonyl butoxide, pirimiphos-methyl 등 6종의 농약 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잡곡은 강낭콩(1건), 녹두(6건), 수수(1건)이다. 검출된 잡곡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품목은 수입 녹두(5건)로 미얀마산이었고, 초과한 농약 성분은 thiamethoxa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