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eement of Resident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7초

상박위(上膊圍)에 의(依)한 성장기(成長期) 아동(兒童)에 영양상태(營養狀態)의 판정(判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Nutritional Assessment of Early Childhood Using Mid-Upper-Arm Circumference)

  • 채범석;남롱강;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4호
    • /
    • pp.9-14
    • /
    • 1975
  • Growth retardation and a variable degree of body disproportion are recognized features of malnutrition, and mild and moderate protein-calorie malnutrition(PCM). Among the various body measurements suggest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all grades of PCM as judged by growth retardation and by body disproportion, the 'mid-upper-arm circumference'-abbreviated to 'arm-circumference' has been suggested as a potential useful simple field index for the assessment of PCM showing that the measurement would give composite information simultaneously on three important effects on PCM-deficit in the muscle protein reservoirs, availability of calorie stores in the form of subcutaneous fat, and growth failure. And this is selected because of its easy accessibility, and less involvement with clinical edema. This study is conducted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percentage of Korean weight for age standards and the percentage of mid-upper-arm circumference for age standards of 175 preschool children aged $3{\sim}72$ months who are selected among the low-income residents in Seoul. In this study,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the results obtained by expressing the observed weight of the child as a percentage of Korean standard, referred to as 'weight-for-age' and the observed arm-circumference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age-specific arm standard of Jelliffe, referred to as 'arm-for-age'. All the measurements were taken following the techniques described by Jelliffe. The left mid upper arm was measured using a glass-fibre tape and the Fairbanks Morse beam balance was used for weighing. 80% level of weight for age Korean standard and 85% level of arm for are Jelliffe standard were used as an upper borderline limit for PCM. Comparing the 80% weight-for-age and the 85% arm-for-age standard as an upper limit for PCM, for children aged $3{\sim}72$ months, results in 84.6% agreement with the sensitivity of 86.4% and its specificity of 83.5%. If arm circumference alone had been measured and judgement made on this basis, then only 5.1% of the children would have been 'wrongly' classified. And there is a moderately close correlation between arm circumference and weight for age as the data in Table 4 shows. The problem therefore lies in the standard for arm circumference in normal children and in determining what is the lower limit of normal. Once this is clearly difined, one can rely more confidently on arm circumference measurements alone for the nutritional assessment of early childhood.

  • PDF

우리나라의 환경분쟁조정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nvironmental Dispute Arbitration System in Korea)

  • 김상찬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1권3호
    • /
    • pp.89-114
    • /
    • 2011
  • Environmental disputes not only posses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collectivity and plural value relativity but it also possesses the unique features of difficulty to prove cause and effect as well as the structural maldistribution of evidence and information. Therefore, the positive resolution of an environmental dispute can be brought about more easily with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which can take the form of talks, compromises, as well as arbitration or mediation rather than through a trial process. Such being the case, this paper first looks into the problems and effectiveness of the arbitration system of environmental lawsuits and then takes an even closer look at Korea's environmental dispute arbitration system and finally offer some reform methods. In Korea, the environmental dispute arbitrat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1991 and has been executed since then. Although this system does have positive features such as the high rate of coming to an agreement between the involved parties but unfortunately, most of the cases rely on decisions based on right and wrong which cannot but be far away from the intentions of the ADR system. It is heavily centered around claims regarding psychological compensation regarding noise and vibrations and the ratio of the actual amount of compensation is comparatively lower than the requested amount. In addition, with the limits in organization and manpower, it leads to a lack of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 problem of low usage with the low awareness rate. As reform measures against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in order to activate the arbitration process more fully, it proposes aggressive usage of compulsory arbitration as well as submission to arbitration, while at the same time raising ADR professionals to fill in the missing gaps. Secondl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concentration of related cases, making representative lawsuits of environmental organizations would be a good idea. It also states that in order to make the compensation amount more realistic, it should go out of the across-the-board decision making process and reach a decision about the compensation amount that takes the individual situation's dispute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boost the professionalism of the environmental dispute arbitration,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organization and manpower such as expanding the number of members of full standing, and increas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examiners. Also, to increase the usage rate of the ADR system, the paper suggests stationing a civilian consultant regarding environment, or activating the compulsory arbitration which is the premise for public participation on the part of the residents.

  • PDF

농촌공간계획 데이터 수급에 대한 이해당사자 인식조사 (Stakeholder Awareness of Rural Spatial Planning Data Utilization Based on Survey)

  • 리재웅;이상현;이성윤;김진성;취뤼;배승종;김수진;김상범
    • 농촌계획
    • /
    • 제29권3호
    • /
    • pp.25-37
    • /
    • 2023
  • According to the 「Rural Spatial Reconstruction and Regeneration Support Act」, enacted on March 29, 2024, all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establish a 'Rural Spatial Reconstruction and Regeneration Pl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ural Spatial Plan'). In order for the 'Rural Spatial Plan' to be appropriately established, this study analyzed the supply and demand of spatial data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stakeholders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rural spatial planning data utilization. In conclusion, three key recommendations come from this result. Firs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DB for rural spatial planning data. This can solve the problem of low awareness of scattered data-providing websites, reduce the processing time of non-GIS data, and reduce the time required to acquire data by securing the availability of data search and download. In particula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establishment of a spatial analysis simulation system to support stakeholders' decision-making, considering that many stakeholders have difficulty in spatial analysis because spatial analysis techniques were not actively used in rural projects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rural agreement system in 2020. Secondly, research on how to improve data acquisition should be conducted in each data sector. The data sector group with the lowest ease of receiving are 'Local Community Domain',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and 'Provision and Utilization of Daily Life Services'. Lastly,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raise each rural spatial planning data supply stakeholder to the position of player. Stakeholders of 'University Institutions' and 'Public Enterprises and Research Institutes' should give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formulation of rural spatial plans access to the raw data collected for public work. Stakeholders of 'Private company' need to come up with realistic measures to build a data pool centered on consultative bodies between existing private companies and then prepare a step-by-step strategy to fully open it by participating various stakeholders. In order to induce 'Village Residents and Associations' stakeholders to play a leading role as owners and producers of data, personnel should be trained to collect and record data related to the village. In addition,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continue these activities.

지형공간정보분석에 따른 환경친화적 최적 도로노선 선정 (Environment-Friendly Optimum Route Selecting With Geo-spatial Information Analysis)

  • 김상석;장용구;최수근;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9-77
    • /
    • 2005
  • 도로건설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제도는 대부분의 사업이 타당성조사와 병행하여 실시하지 않고 계획이 확정된 후 사업실시단계에서 주로 오염의 저감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입지의 타당성 등 근본적인 친환경적인 개발의 유도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9개의 사전환경성 검토요소에 대한 지리정보체계의 공간분석기능을 도입하였으며, 개별 요소들의 평가결과를 통한 종합적인 검토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전 환경성검토 GIS 의사결정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전환경성 검토 GIS 의사결정시스템과 기 구축된 GIS 데이터 활용을 통해 환경성 검토에 객관성 충족 및 시간비용 절감이 기대되어 사업초기에 도로 노선선정 시 사전환경성 검토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을 통하여 수치적이고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한 평가로 주민의 합의를 보다 용이하게 이끌어 낼 수 있고, 사업초기에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 도로건설에 따른 환경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민간인통제선 변화에 따른 접경지역 마을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of Villages in Border Region according to Change in Civilian Control Line)

  • 정해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1-101
    • /
    • 2021
  • 본 연구는 기존 민북마을의 사회공간적 분포 및 변화 등 거시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를 민통선 변화에 따른 민북마을의 시공간적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전협정문 제2권 지도와 구글어스, 수치지적도, 행정구역도 등을 공간 자료로 활용하고, 통계연보와 국방부 및 철원군 고시 자료, 토지이용규제시스템, 지적도 속성정보 등을 정리하여 속성자료로 구축하여 민간인통제선의 조정에 따른 민북마을의 변화를 시계열로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사시설보호법 제정 이후 민간인통제선이 그려진 1976년 통계연보를 기준으로 20년 단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75년부터 2015년까지 철원의 민간인통제구역 총면적은 105.8km2가 감소하였고, 민북마을 총 14개 중 9개 마을이 해제되고 6개 마을만 존재하게 되었다. 미입주 마을은 기존 조사되거나 통계상의 마을 보다 10개 적은 14개 마을로 분석되었다. 민통선 북상은 민북마을의 고유특성을 사라지게도 할 수 있지만 현재 주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보전 차원에서의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민북지역과 민북마을의 기초가 되는 시·공간 분석을 실시한 데에 의의를 가지며 후속 분석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Pilates Exercise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the Elderly

  • Park, Ji-Hye;Lee, Joong-Sook;Yang, Jeong-Ok;Lee, Bom-Jin;Bae, Kang-Ho;Shin, Jin-Hyung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7-405
    • /
    • 2016
  • Objective: Pilates is a low/mid-intensity exercise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elderly individuals as it is an individual body-oriented exercise. It is also a cardio workout that can be performed anywhere to develop strength and flexibility.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8 week Pilates program on the balancing ability of elderly individuals.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elderly residents in B city. Ten individuals voluntarily signed an agreement to undergo free measurements as well as to participate in the workout program. (Height: $157.1{\pm}11.9cm$, Weight: $61.7{\pm}8.0kg$). The Pilates exercise was performed 60 minutes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eight weeks. The measurement variables used to test balance were the vestibular test, 5 m habitual and maximum walk test and 3 m tandem walk test. A series of paired t-test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to analyze all the research data colle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balance ability of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ilates program. Additionall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or all analysis was set to ${\alpha}=.05$. Results: In the vestibular test, some meaningful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length envelope area (ENV) while standing on one foo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NV, rectangle(REC), root mean square, and total length. Results also reveal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the 5 m habitual and maximum walk test, as well as the 3 m tandem walk test. Conclusion: To summarize the findings, the 8 week Pilates program employed in this study significantly improved the dynamic balance of the elderly participants. Thus, elderly individuals that frequent perform Pilates are expected to enjoy positive benefits such as increased balance and fewer falling accidents.

뉴욕시 퍼시픽 파크 개발의 진행과정에 대한 분석적 고찰 -개발 진행상의 변화 및 위기대응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ss of Pacific Park Development in NYC -Focusing on the Changes & Responds Shown in the Development Process-)

  • 이우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45-752
    • /
    • 2020
  • 본 연구는 미국 뉴욕시 브루클린에 위치한 퍼시픽 파크(구 아틀란틱 야드)개발의 진행과정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퍼시픽 파크는 맨해튼의 허드슨 야드 개발과 함께 철도상부 공중권 개발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뉴욕시의 대표적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이다. 과거의 대규모 개발사업의 부활과 동시에 그 진보된 형태를 보여주어 큰 사회적 관심을 받았다. 특히 개발은 지역주민과 협력하여 혜택을 나누는 지역혜택협약을 활용한 모범적인 개발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재 다양한 어려움으로 인해 사업초기 목적한 완공시기와 사업내용에서 벗어나 힘겹게 진행되고 있음으로 사회적 우려와 비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 개발과정을 심도있게 살펴봄으로 위기유발 요인 및 대응을 위해 시도된 다양한 개발사업자와 공공부문의 대응을 중심으로 본 사업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2장에서 미국 도시재개발사업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연구대상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변화과정과 사업내용의 주요사항을 분석하고, 제4장은 개발과정상의 변화와 대응을 중심으로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개발사업자의 유연성 확보 및 강제성 부여, 2)개발부지에 대한 종합적 제어, 3)공공과의 소통 및 대응 방식, 4)추가 사업재원의 확보 방식, 5)기술부문의 신중한 검증

전부 피개관의 치아 형성 시 축면 경사각에 대한 조사 (Clinical Convergence Angle of Prepared Tooth for full Veneer Crowns)

  • 김성진;배아란;우이형;김형섭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1호
    • /
    • pp.21-32
    • /
    • 2010
  •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는 치관 수복물의 유지와 저항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다양한 구강 내 환경과 술자의 능력에 따라 이상적인 경사도를 얻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이상적으로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와 실제 임상에서 삭제된 치아의 경사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실험의 연구 자료는 K대학 부속 치과병원 중앙 기공실을 통하여 보철과 전공의가 시술한 환자의 모형과 일반 기공소를 통해 일반 개업의가 시술한 환자의 모형을 수집한다. 연구 방법은 각 치아의 근원심면과 협설면을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뒤 'ImageJ' 프로그램 상에서 치아의 삭제 각도를 측정 한 뒤 항목별( 1. 술자 집단별 분류, 2. 치열궁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분류, 3. 삭제 양식에 따른 분류 )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사한 결과 국내 임상가의 지대치 형성시 축면 경사각의 평균은 $15.02^{\circ}$ 표준 편차는 ${\pm}10.13^{\circ}$였다. 1. 술자 집단별 분류에 대한 분석 일반 치과의 집단의 측면 경사각과 보철과 전공의 집단의 축면 경사각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2. 치열궁 내에서의 위치에 따른 분석 치아의 근원심면과 협설측면에 따라 일반 치과의 집단의 경우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치아의 전후적인 위치에 따라 일반 치과의 집단의 경우 전치부와 소구치부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p>0.05) 두 부위와 대구치부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의 경우 전치부와 소구치부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두 부위와 대구치부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상악과 하악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경우 일반 치과의 집단에서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사각에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협설측면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도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사각에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협설측면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악궁을 좌측과 우측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경우 일반 치과의 집단과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 각각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삭제 양식에 따른 분석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와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 치과의 집단에서 근원심면의 경우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p<0.05) 협설측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우 각각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보철과 전공의 집단에서는 협설측면의 경우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근원심면과 전체적인 축면의 경우 각각 단일 치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과 3본 고정성 부분 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에서 임상에서 치아 삭제시 이상적인 축면 경사각을 얻기 힘들며 이는 술자의 경험과 악궁 내에서의 위치, 삭제 양식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