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onist

검색결과 1,043건 처리시간 0.025초

A549 폐암세포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티록신 및 당질 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의 상승 효과 (Synergic Effect on Adipocytic Differentiation by a Combination of Thyroxine andGlucocorticoid in A549 Cells)

  • 김현지;문선하;이성호;전병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93-702
    • /
    • 2023
  • 이 연구는 우리 몸에서 포도당 및 에너지 대사에 관련된 호르몬으로 알려진 티록신 및 당질코르티코이드를 지방분화배양액에 단용 혹은 혼용 첨가하여 A549 폐암세포주가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지방분화배양액에서 A549세포를 2주 동안 배양한 후, A549세포의 세포 성장률과 말단효소 복원효소를 비교하였을 때, 기본 지방분화배양액이나 PGZ기반 지방분화배양액에서 티록신 및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단용으로 첨가된 경우보다, 두 호르몬이 혼용으로 첨가되었을 때, 세포의 성장의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포내 축적된 지방 분자를 염색할 수 있는 Oil Red O 염색과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여러 아디포카인의 발현을 조사하여 각 지방분화배양액에서 A549 세포의 지방분화능력을 비교하였다. 지방세포로의 분화 능력 역시 티록신 및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단용으로 첨가된 경우 보다, 두 호르몬이 혼용으로 첨가되었을 때, Oil Red O 염색액으로 염색된 세포내 지방 과립의 수와 크기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아디포카인의 발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549 세포에서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때, 포도당 대사 관련 두 호르몬의 혼용 처리가 더욱 더 세포 분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여러 다른 암세포주를 두 호르몬을 혼용하여 첨가한 지방분화배양액에서 처리하여 지방 분화 유도에 의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체내의 다른 세포, 특히 미분화 줄기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L-carnitine 투여가 흰쥐의 심근 Field Potential과 ATP-dependent K+ channel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carnitine on Field Potential and ATP-dependent K+ Channel of Rat Cardiac Muscles)

  • 김지연;심영제;장현경;김창주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1
    • /
    • 2009
  • Ergogenic aids는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운동선수들이나 혹은 일반 사람들일지라도 기대 수준 이상으로 운동수행능력을 개선시키거나 향상시키기 위하여 흔히 사용하는 여러 가지 물질이나 처치들을 말한다. L-carnitine은 장시간 운동을 하는 동안 근육세포의 지질산화 자극에 의해 운동수행능력 증진과 유산소능력을 증진시키며 운동 수행력 증진제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 심근에서 유발된 field potential에 대한 L-carnitine의 작용을 통해, 심장 세포들 사이의 네트워킹으로 유도되는 세포활성 작용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Field potential은 multi-channel extracellular recording system(MED64 system)으로 측정하였고, L-carnitine을 100 nM, 1 μM, 10 μM, 그리고 100 μM의 농도로 처리하여 대조군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와 비교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심근세포에 L-carnitine을 투여 시 field potential이 증가하였다. L-carnitine과 ATP-dependant K+ channel 길항제인 glibenclamide을 투여 시에는 field potential의 증가가 유지된 반면, L-carnitine과 ATP-dependent K+ channel 효현제인 diazoxide을 투여 시에는 증가된 field potential이 다시 감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carnitine이 ATP-dependant K+ channel을 억제하여 field potential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L-carnitine의 ergogenic aids로서의 새로운 기전으로 제시될 수 있다.

거세한우 육량향상을 위한 알칼로이드계열 천연물 이용 사료첨가제 개발 (Development of Natural Alkaloid-feed Additive for Enhancing Yield Grade of Hanwoo Steers)

  • 강동훈;박보혜;장선식;정기용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6권2호
    • /
    • pp.31-40
    • /
    • 2024
  • 표준물질 Alpha-chaconine과 alpha-solanine에 대한 LC-MS 분석을 통해서 농도별 기준을 정하고 추출시료의 농도를 정량분석 하였다. LC-MS 분석을 통한 정량선 작성 결과 두 화합물 모두 0.16~5,000ng/mL 농도 구간에서 검량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조시료에서 alphachaconine 2.05mg/g, alpha-solanine 0.60mg/g으로 총합 2.65mg/g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추출물의 경우 총합 2.23mg/g,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총합 0.52mg/g으로 알칼로이드 함량이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트로핀 표준물질에 대한 LC-MS 분석 결과 m/z 290의 SIM mode에서 검출하였다. 가지와 토마토 추출물에서 아트로핀 화합물이 미검출 되었으며, 실험에 사용된 시료에서는 아트로핀 화합물의 함유가 작아 정량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8에 나타나는 제1위 소화율 시험에서 감자와 Zilmax를 첨가한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소실이 진행되었고 가지의 경우 완만하게 소실되었다. 소실되는 건물내 존재하는 글라이코 알칼로이드 농도를 측정해 본 결과 α-solanine과 α-chaconine 농도 모두가 감소하였고 특히 섭취 후 8시간에서 12시간 내에 완전 소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알칼로이드 사료첨가물을 20일간 급여한 거세한우 32두의 혈액 내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유리지방산(NEFA)의 경우 가지처리구와 대조구에서는 다른 대사물질과 유사하게 증가하였는데 Zilmax와 감자 처리구에서는 반대로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감자추출물이 유리지방산에 작용기작이 β-adrenergic agonist인 Zilmax와 유사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화 저비중 리포 단백이 호산구와 호중구에 대한 화학주성 (Oxidized LDL is a Chemoattractant for the Eosinophils and Neutrophils)

  • 황영실;이종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3호
    • /
    • pp.211-223
    • /
    • 2001
  • 연구배경 : 기관지에 리노 바이러스(rhinovirus) 감염은 기관지혈관 내피세포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저비중리포단백(LDL) 같은 혈장단백의 유입을 초래한다. 그런데 산화 저비중리포단백(oxidized LDL)은 단핵세포 대식식세포에서 IL-1, GM-CSF 분비를 유발하고 화학주성과 또한 CD11b/CD18 intergrin을 증가시키며 L-selectin 표현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소견들은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이 proimflammatory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자들은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이 리노바이러스 감염시 기도에 과립구를 동원할것이라는 가설하에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에 의한 호중구와 호산구의 화학주성과 내피세포이동(transendothelial migration)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 저비중리포단백을 20-24시간 동안 5mM $CU_2SO_4$로 산화 시키고 conjugated diens 형성 방법으로 234nm에서 산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과립세포들의 화학주성측정은 $3-5{\times}10_5$ 세포들을 transwell 필터에 놓고 $37^{\circ}C$, 5% $CO_2$ 1시간 항온배양후 이동한 세포들을 혈구계로 계산하였다. 과립세포들의 내피세포이동은 인체 미세폐혈관 내피세포(human pulmonary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 들을 transwell 필터에 배양후 호산구와 호중구를 화학주성물질과 함께 놓은 후 3시간 항온 배양후 이동한 세포들을 혈구계로 계산하였다. 결 과 :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은 호산구와 호중구에 화학주성이있고 화학주성정도는 저비중리포단백의 농도와 산화 정도에 비례하였다. 또한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은 과립구의 인체 미세폐혈관 내피세포이동을 농도에 비례히여 자극하였고 호중구가 호산구보다 낮은 농도의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에 예민하게 반응하였다. 결 론 : 리노바이러스 감염으로 혈관투과정 증가로 저비중리포단백의 유입과 산화를 유발하고 이 산화 저비중리포단백이 기관지 간질세포에 호중구와 호산구이동을 유발하는 한 기전이며 또한 이과립구들이 산화 저비중단백과 함께 기도 염증을 초래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흡입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베타2 항진제의 병용요법으로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천식 환자에서 추가 montelukast의 효과 (The Efficacy of Added Montelukast in Persistent Asthmatics Who Were Not Completely Controlled on Inhaled Corticosteroids and Inhaled Long-acting β2-agonists)

  • 최정희;박해심;이관호;심재정;어수택;이상표;이용철;최원일;이재호;김주인;이명구;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4호
    • /
    • pp.337-345
    • /
    • 2007
  • 연구배경: 천식 치료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흡입용 스테로이드제에 대한 반응은 천식 환자마다 다양하다. 또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천식의 기도염증에서 중요한 매개체인 류코트리엔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베타2 항진제의 병용요법으로도 증상이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지속성 천식 환자에서 montelukast를 추가하였을 때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4주간의 준비기간을 거쳐서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베타2 항진제의 병용요법으로도 증상이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지속성 천식 환자 198명을 선정하여 8주 동안 montelukast 10mg 정을 1일 1회 취침 전 복용토록 하였다. ACQ 증상 점수와 $FEV_1%$ 치를 montelukast 치료 전후로 각각 측정하였으며, 치료 후에 환자와 연구자 각각 천식과 비염에 대하여 '호전되었음, 변화없음, 악화되었음' 중의 하나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결과: 8주간 montelukast를 추가한 후 ACQ 증상 점수의 평균 변화량은 -4.8점[95% CI (-5.7,-3.9)]으로, 유의하게 천식 증상이 호전됨을 보였다 (p<0.001). $FEV_1%$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방문 2시점에서 시행한 천식에 대한 환자와 연구자의 종합 평가에서 각각 약 60%의 환자와 연구자가 '개선되었음'으로 평가하였으며(${\kappa}=0.85$), 비염의 종합 평가에서 각각 55%의 환자와 51%의 연구자가 '개선되었음'으로 평가하였다(${\kappa}=0.93$). 결론: 흡입용 스테로이드 및 지속성 베타2 항진제의 병용제제로도 천식증상이 완전히 조절되지 않는 중등증 이상의 지속성 천식 환자에서 류코트리엔 조절제의 추가는 천식의 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영(水泳)-스트레스에 의한 혈장 Corticosterone 함량 및 뇌(腦) Catecholamine대사(代謝)의 변동(變動)에 미치는 Thyroxine 및 Propylthiouracil의 영향 (Effect of Thyroxie and Propylthiouracil on the Responses of Plasma Corticosterone and Brain Norepinephrine to Swim-Stress)

  • 신경호;홍기남;김형건;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21
    • /
    • 1989
  • 수영-스트레스로 나타나는 뇌 catecholamine대사 및 혈장 corticosterone 함량의 변동에 대한 clonidine(500 ug/kg)의 억제작용을 propylthiouracil(0.01% 용액으로 5주간 마시게함) 및 1-thyrorine(4 mg/kg/day로 5일간 복강내에 주사)로 처치한 웅성-마우스에서 실험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마우스의 일과성 자발운동량의 변동은 갑상선-홀몬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수영스트레스(SS)로 나타나는 혈장 corticosterone(CS)의 증가가 propylthiouracil 전처치 (PTU) 및 1-thyroxine 전처치 (T4)로 각각 다소의 감소 및 증강됨을 보였으나, SS에 의한 혈장 CS증가에 대한 clonidine의 억제작용은 PTU 및 T4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S부하로 뇌 3-methoxy-4-hydroxyphenylglycol 함량(MHPG)가 유의하게 증가되고 clonidine에 의하여는 MHPG가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뇌 norepinephrine 함량(NE)은 별 변동을 보이지 않아서 MHPG/NE비는 SS와 clonidine에 의하여 각각 현저한 증가 및 감소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PTU및 T4은 각각 뇌NE을 유의하게 감소 또는 증가시켰으나 뇌 MHPG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lonidine은 SS에 의한 뇌 MHPG 및 MHPG/NE비의 증가를 모두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그 억제작용은 PTU 및 T4에 의하여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서, 마우스의 일과성 자발운동양상 및 스트레스반응으로 나타나는 혈장 corticosterone의 증가현상등이 갑상선-홀몬의 변동에 별 영향을 받지 않으며,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계의 활성화가 시상하부의 norepinephrine성 신경-흥분에 매게되어 나타나는 바, 스트레스성 혈장 corticosterone 증가에 대한 clonidine의 억제작용이 그의 절전-${\alpha}_2-adrenoceptor\;agonist$ 작용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급성 천식발작시 혈장 및 요중 Endothelin 농도 변동 (Changes in Plasma and Urine Endothelin Levels During Acute Exacerbation of Asthma)

  • 장중현;신태림;우가은;김종선;홍은순;서기열;차주현;김미선;김영선;조영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44-852
    • /
    • 1997
  • 연구배경 : 최근의 기관지천식 병인과 관련한 여러 연구에서 천식 발작중에 폐장에서 과도하게 유리된 endothelin(ET)이 기관지 수축을 유발시키는 주요한 펩티드임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급성발작의 경과에 따른 혈장 몇 요중치의 변동 및 상호 연관성을 관찰함에 있다. 방 법 : 연구대상은 16명의 급성 천식악화로 입원한 환자에서 내원당일과 치료 2주후의 2회의 혈장 및 24시간 요를 채취하였다. 정상대조군은 신체건강한 성인 10명으로 정하였다. 모든 천식환자는 입원당시 부신피질호르몬제, 베타-2 교감신경작동제, 아미노필린 제제를 투약받았다. ET은 방사면역측정법에 외해 측정되었으며 교차반응성에 있어 ET-1과는 100%, ET-2와 67%, ET-3와 84%, Big-ET과 8% 이었다. 결 과 : 혈장 ET은 천식환자의 및대조군의 수치와 비교하여 천식악화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요중 ET은 천식악화시 및 치료후에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정상대조군에 비해서는 둘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혈중 및 요중 ET치는 폐기능 및 저산소혈증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 천식의 급성악화시에 증가한 혈장의 ET은 폐장에서의 ET 유리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천식발작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요중 ET의 배설이 증가하여 있었으나 치료 2주후까지는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천식발작시의 요중 ET의 변동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좀더 긴 관찰기간 및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포괄적인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조기사춘기 여아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가 예측성인신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nRH analogue on predicted adult height in girls with early puberty)

  • 안병훈;한헌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552-557
    • /
    • 2006
  • 목 적 : 최근 성조숙증에서 사춘기를 중단시킴으로써 성인신장을 증가시킬 수 있으리라는 기대로 조기 사춘기로 인하여 신장에 대한 예후가 불량한 소아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의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 사춘기로 예측 성인신장이 저하된 여아에서 이 약제의 신장 증가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소아과 외래에 조기 사춘기와 예측성인신장이 저신장으로 예측되는 36명의 여아를 대상으로 GnRHa를 6개월 이상 사용한 제 1군과 6개월 미만 사용한 제 2군으로 나누어 치료 시작시와 치료 후의 역연령, 골연령, 신장 및 표준편차치, 예측성 인신장 및 표준편차치, 표적키 및 표준편차치, 혈청 IGF-1, IGFBP-3 치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군의 평균 치료기간은 $1.37{\pm}0.92$년, 2군은 $0.41{\pm}0.08$년이었고, 전체적으로는 $0.89{\pm}0.81$년이었다. 치료 시작시 두군 간에 역연령, 골연령, 신장, 표적키, 예측성인신장, 혈청 IGF-1 및 IGFBP-3 치의 차이는 없었고, 마지막 추적시 두 군간에 역연령, 골연령, 신장, 예측성인신장, 혈청 IGF-1 및 IGFBP-3치의 차이도 없었다. 두 군 사이에 성장속도와 치료기간에 따른 예측성인신장의 증가분은 2군이 의미 있게 높았다. 이는 2군이 치료기간이 짧아 사춘기의 성장속도가 충분히 억제되지 않은 결과로 보인다. 치료 시작시에 비하여 마지막 추적시의 예측성인신장은 의미 있게 증가하여 단기간의 치료에도 어느 정도의 효과($3.7{\pm}3.2cm$)는 있었다. 전체 대상아에서 표적키($157.3{\pm}3.1cm$)와 치료 시작시 예측성인신장($148.5{\pm}5.8cm$) 사이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마지막 추적시의 예측성인신장($152.2{\pm}5.9cm$) 사이에도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검사 소견에서 혈청 IGF-1과 IGFBP-3는 치료 시작시에 비하여 마지막 추적시에는 의미 있게 감소하여 GnRHa의 사용으로 성장호르몬-IGF 축이 다소간 억제되는 것으로 보인다. 결 론 : 사춘기가 조기에 시작하여 골연령이 역연령에 비하여 증가되어 예측성인신장이 표적키에 못 미치는 경우에 단기간의 GnRHa의 사용으로 예측성인신장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표적키에는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으며, 성장호르몬-IGF 축의 억제가 동반되는 점에서 GnRHa 치료시 예측성인신장이 표적키에 이르기 위해서는 성장호르몬의 동시 사용이 필요하겠다.

The Role of Adenosine Receptors on Acetylcholine Release in the Rat Striatum

  • Kim, Do-Kyung;Kim, Hyeon-A;Choi, Bong-Ky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1호
    • /
    • pp.1-12
    • /
    • 1997
  • A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depolarization induced acetylcholine (ACh) release is modulated by activation of presynaptic $A_1$ adenosine heteroreceptor and various evidence suggest that indicate the $A_2$ adenosine receptor is present in the striatum,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lineate the role of adenosine receptors on the striatal ACh release. Slices from the rat striatum were equilibrated with $[^3H]$choline and then the release amount of the labelled product, $[^3H]$ACh, which was evoked by electrical stimulation (rectangular pulses, 3 Hz, 2 ms, 24 mA, $5\;Vcm^{-1}$, 2 min), was measured, and the influence of various agents on the evoked tritium outflow was investigated. And also, quantitative receptor autoradiography and drug-receptor binding assay were performed in order to confirm the presence and characteristics of $A_1$ and $A_2$ adenosine receptors in the rat striatum. Adenosine $(10{sim}100\;{mu}M)$ and $N^6$-cyclopentyladenosine (CPA, $1{sim}100\;{mu}M)$ decreased the $[^3H]$ACh rel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changing the basal rate of release in the rat striatum. The reducing effects of ACh release by adenosine and CPA were abolished by 8-cyclopentyl-1,3-dipropy-Ixanthine (DPCPX, 2 ${mu}M$), a selective $A_1$,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 treatment. The effect of adenosine was potentiated markedly by 3,7-dimethyl-1-propargylxanthine (DMPX, 10 ${mu}M$), a specific $A_2$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 2-P-(2-carboxyethyl)phenethylamimo-5'-N- ethylcarboxamidoadenosine hydrochloride (CGS-21680C), in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01 to 10 ${mu}M$, a recently introduced potent $A_2$ adenosine receptor agonist, increased the $[^3H]$ACh release in a dose related fashion without changing the basal rate of release. These effects were completely abolished by DMPX $(10\;{mu}M)$. In autoradiograrhy experiments, $[^3H]$2-chloro-$N^6$-cyclopentyladenosine ($[^3H]$ CCPA) bindings were highly localized in the hippocampus and the cerebral cortex. Additionally, lower levels of binding were found in the striatum. However, $[^3H]$CGS-21680C bindings were highly localized in the striatal region with the greatest density of binding found in the caudate nucleus and putamen. Lower levels of binding were also found in the nucleus accumbens and olfactory tubercle. In drug-receptor binding assay, binding of $[^3H]$ CCPA to $A_1$ adenosine receptors of rat striatal membranes was inhibited by CPA ($K_i$ = 1.6 nM) and N-ethylcarboxamidoadenosine (NECA, $K_i$ = 12.9 nM), but not by CGS-21680C ($K_i$ = 2609.2 nM) and DMPX ($K_i$ = 19,386 nM). In contrast, $[^3H]$CGS-21680C binding to $A_2$ denosine receptors was inhibited by CGS-21680C ($K_i$ = 47.6 nM) and NECA ($K_i$ = 44.9 nM), but not by CPA ($K_i$ = 2099.2 nM) and DPCPX ($K_i$ = 19,207 nM). The results presented here suggest that both types of $A_1$ and $A_2$ adenosine heteroreceptors exist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ACh release in the rat striatal cholinergic neurons.

  • PDF

${\alpha}$-독으로 처리한 토끼창간막동맥에서 Norepinephrine과 GTP에 의한 마이오신 인산화의 증가에 대한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의 역할 (The Role of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on the Norepinephrine and GTP-Increased Myosin tight Chain Phosphorylations in Rabbit Mesenteric ${\alpha}-toxin$ Permeabilized Artery)

  • 안희열;김헌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116
    • /
    • 1994
  • 수용체작동약물과 GTP에 의한 수축단백질의 칼슘이온의 감수성의 증가에 대하여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의 역할을 ${\alpha}$-독으로 처리한 토끼장간막동맥에서 조사하였다. $0.3\;{\mu}M$의 칼슘이온은 마이오신의 인산화를 시간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5분 이후부터 평형에 도달하였다. 한편, $10\;{\mu}M$의 norepinephine과 $10\;{\mu}M$의 GTP는 칼슘이온 존재하에 칼슘이온 단독에 의한 것 보다 더 마이오신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는데, 5분 후에 최대에 달하였고 그 후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20분 후에는 칼슘이온 단독에 의한 마이오신 인산화 증가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억제제인 KN-62를 전처치하여 norepinephrine과 GTP에 의한 마이오신 인산화 증가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10\;{\mu}M$ KN-62는 1분에서 norepinephrine과 $10\;{\mu}M$ GTP에 의한 마이오신의 인산화의 증가를 억제하였다. 그러나 5분에서 관찰되는 norepinephrine과 GTP에 의한 마이오신 인산화의 증가의 최대치에는 영향이 없었고 그 이후에도 KN-62는 아무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때 norepinephrine과 GTP에 의하여 일어나는 평활근 수축단백의 칼슘이온의 감수성의 증가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마이오신 인산화의 증가에 기인하며 이 증가는 일과성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의 역할은 시간의존적으로 norepinephrine과 GTP의 자극 초기에 관여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이후에는 관여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