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ing workers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1초

고령화 인력의 직무 특성, 직무만족도, 그리고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국내 상용직 근로자와 비상용직 근로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Life Quality of Aging Workfor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 임승준;이정호;류춘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99-211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직면하여 기업 및 사회의 고령화 인력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이들 삶의 질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수집한 고령화 6차 패널 자료를 통해 국내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 연구 문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선, 고령화 인력의 자발적 복리후생 유무, 임금 수준, 법정 복리후생 유무, 관행적 퇴직 권유 수준, 그리고 직무적합도는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 간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용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비상용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비상용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는 임금 수준과 삶의 질 간 매개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으로 하여금 고령화 인력의 활용을 비용적 측면이 아닌 사회적 가치의 향상으로 인식할 필요성을 제시하며, 국내 기업과 정부의 정책입안자에게 국내 고령화 인력의 활용방안과 상용직 근로자와 비상용직 근로자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조사 (A Study on the Social Worker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Korea)

  • 이혜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9권
    • /
    • pp.266-289
    • /
    • 199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고, 사회복지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가형 종합사회복지관 부설 재가복지봉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전체를 표본으로 국내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노화사실 인지척도를 사용하여 이들의 노화사실에 관한 인지정도를 측정하고, 윤진(1988)의 척도를 재구성하여 노인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였다. 설문지의 회수율은 71.6%이며, 수집된 자료 129부는 주로 티검증(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1) 노화사실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지정도는 65.3%로서 간호사(65.0%)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2) 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는 평균 65.5점으로서 산술적으로 중간인 63.0점(최하 $1{\times}21$=21점과 최고 $5{\times}21$=105점) 보다 약간 긍정적이며, 대다수의 선행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간호사의 부정적인 태도와는 차이가 있었다. (3) 노인에 대한사회복지사의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복지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p<0.001), 노인과 동거경험(p<0.001), 노인대상 자원봉사경험(p<0.05)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 of Workload on Musculoskeletal Degeneration

  • Kim, Youngki;Kim, Jongeun;Kang, Dongmug;Park, Sooho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65-475
    • /
    • 2014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load on musculoskeletal degeneration. Background: It is important that workers maintain a health body for a long time as a measure of aging workers. In order do so, it is necessary to find out if workload can effect on musculoskeletal degeneration. Method: Epidemiological studies on workload or occupation and disc degeneration, osteoarthritis of knee were identified through database and bibliography searches. Results: Epidemiological studies showed that workload certainly effect on musculoskeletal degeneration. But we couldn't know which of individual factors and occupational factors further contribute to the musculoskeletal degeneration. And we could find that studies on workload and genetic factors were very few. In addition, there was also very few studies that it was possibl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factors as obesity and occupational factors as heavy manual lifting. Conclusion: Our reviews suggest that it need to conduct study between workload and genetic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egeneration. This further study can identify attributable risk of workload for musculoskeletal degeneration, and contribute to the measure of aging workers. Application: This paper can help to establish research plan for the measure of aging workers.

고령 근로자의 추락 재해 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Fall Accidents for Elderly Workers)

  • 김건희;정명진;김태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49-354
    • /
    • 2019
  • 건설현장에서 추락으로 인해 사망하는 근로자는 전체 사망자의 약 40%를 차지하며 사망사고 주요 발생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인구구성이 점차 고령화됨에 따라 건설현장에서도 고령화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신체기능 저하 인지능력 저하 등에 따른 추락재해가 점점 증가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고령 근로자 추락에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재해 당사자인 고령 근로자에 초점을 맞춰 보다 근본적인 추락 예방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고령 건설근로자의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Items for Preventing Accidents of Aged Construction Workers)

  • 이현철;송도흠;고성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0-59
    • /
    • 2009
  • Korea reached an aging society in 2000, and it is progressed quickly now. Government forecasts that the number of aged people over 65 years old will increase from 7.2%(2000) to above 14.3% among total population in 2018. Workers over fifty years old are increasing in construction field every year. These aged workers are exposed to various construction accidents, and also their accident rate is very high becaus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by aging. Specially, a disaster of aged workers more than 50 years old is fronted at the serious situ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has variable working environmen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ecaution by analysing disaster characteristics of aged construction workers. Also,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basic counter-plan according to important safety management list which is abstracted from the work, aged construction workers' accident rate is high.

산업구조의 변화와 고령인력의 고용 (Changing Industrial Structure and Employment of Older Workers)

  • 이철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35권1호
    • /
    • pp.55-88
    • /
    • 2012
  • 이 논문은 각 산업의 인력고령화 실태를 살펴보고 산업구조의 변화가 고령자에 대한 노동시장 수요 및 고령자의 고용안정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2001~2010년 사이 고령근로자를 많이 고용한 산업의 고용규모는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고령근로자에 대한 노동시장의 상대적인 수요가 감소하였다. 또한 2001~2010년 발생한 산업구조의 변화는 고령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을 낮추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논문의 결과는 고령인력의 고용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고령자의 노동시장 여건이 전반적으로 호의적이지 못하다는 점과 각 산업의 고령자 고용여건이 매우 이질적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A Study on Work Ability among Aging Workers in Korea

  • Kim, Day Sung;Park, Jae Oh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23-432
    • /
    • 2014
  • Objective and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related factors, lifestyle factors, and health problems with work ability among aging workers in Korea. Method: In this cross-sectional survey,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594 workers who had participated in a voluntary health promotion center and private workplace. Participants completed the work ability index. Results: The mean WAI score was 37.4, while the mean age of the sample was 43.25. In the age group over 50 showed 36.26.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rated their work ability as 'good' to 'excellent', one-third moderate and about 7.5% poor. Work ability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among the men. The younger group had higher scores on the work ability index than the age group over 50, except for mental resources. By work characteristics, work ability was analyzed to be the lowest in the case of work handling heavy stuff. Lastly, as a result of health factors analysis, the good management and retention of current health status can be the measure helpful to the improvement of work ability. Conclusion an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can be a basic principle to devise and enforce preventive measures on the factors for which improvement or action is possible, together with workplace-level systematic approach, in order to improve work ability. For such measures to be realized, it is necessary to check trends in change for several years.

건설현장 장년 근로자의 안전보건 실태조사 및 재해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Actual Condition and Mitigation Plan for aging Workers' Health and Safety at Construction Sites)

  • 김판기;방성덕;김경석;김형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7-47
    • /
    • 2017
  • 대한민국 총 인구에서 50세 이상 준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29.2%에서 2015년 34.8%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전체 건설근로자 대비 50세 이상 건설근로자의 비율은 2010년 20.1%에서 2015년 27.0%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노령화 시대에 맞추어 건설업계에서는 장년근로자들에 대한 재해예방대책을 주어진 사업목표, 예산집행 등을 절차에 맞게 충실히 수행해왔으나 근본적인 재해예방에 한계가 있었다. 이는 건설재해예방의 대책들이 아직까지 장년근로자보다는 전 연령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의 장년근로자의 안전보건실태를 조사하고 재해감소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장년근로자의 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관련문헌 및 안전규정과 산업재해원인통계, 산업재해현황통계 등을 고찰하고, 전국 건설현장에서 공사활동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근로자 3,54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안전보건 실태를 조사, 그간의 재해예방사업 추진현황 및 문제점 분석 등을 통한 재해감소 종합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대책을 실제 정책에 반영할 수 있다면 점진적으로 증가추세인 건설현장에서의 장년근로자 재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부 근로자의 심폐지구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Effecting to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on the Workers)

  • 서기순;이동배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4-173
    • /
    • 2001
  •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of some workers in Taejon area, cardiorespiratory fitness indices, blood pressure(BP), total cholesterol level(TC), body mass indices(BMI) and life style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blue collar workers and 106 white collar worker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0. 1. Cardiorespiratory fitness indices wer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aging(p <0.05), but thes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blue collar workers and white collar workers. 2. Thes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ypes of workers by BMI, BP, blood total cholesterol level, regular exercise, alcohol drinking, smoking and psychosocial stress. 3. Age and BMI were selected affecting factors to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indices in blue collar worker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ut no affecting factors selected the white collar workers.

  • PDF

가정봉사원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 : 급여유무별 비교 (A Study on the Home Helpers' Knowledge about Facts on Aging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Korea)

  • 이혜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3권
    • /
    • pp.358-38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home helpers' knowledge about facts on aging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their attitude. Four hundred and thirty eight home helpers working in a home help agency were given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the Kyung San Facts on Aging Quiz to measure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aging and Yoon (1988)'s scale to find the direction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nalyzed as follows: (1) The home helpers' level of knowledge about aging was 59.1%, which was lower than nurses' level (65.0%) and social workers' level (65.3%). And the paid home helpers' level of knowledge about aging was 61.2%,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unpaid home helpers' level (57.0%). (2) Using 5 points scale, mean of home helper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2.56 (51.2%), which was different from nurses' attitude (40.6%) and social workers' attitude (62.0%). And the paid home helpers' attitude toward the elderly's action (29.9%)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unpaid home helpers' attitude (32.6%). (3)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ome helpers' levels of knowledge about aging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to explain the home helper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e other variables that a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home helpers' attitude were sex, voluntary experience for the elderly, age, city size, and personal experience with the elderly. Especially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the paid home helpers' attitude were their levels of knowledge about aging and city size. On the other hand,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the unpaid home helpers' attitude were sex and a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and education methods for making home helper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more positive are also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