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ing Senior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31초

노인인권침해지각이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 -노인관련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Human Rights Violation of the Elderly on Ageism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ces elated to the elderly-)

  • 장경애;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68-175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관련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인권침해지각이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산 일부 지역의 치위생(학)과 학생 143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4일부터 약 2개월간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노인관련경험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노인인권침해지각은 노인차별주의(r=-.310)와 노인관련경험(r=.185)에, 노인차별주의는 노인관련경험(r=-.323)에 유의미하게 나타나 노인관련경험이 노인인권침해지각과 노인차별주의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교육에 노인관련경험의 필요성을 재고하여 초 고령화 사회의 치위생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간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Care System Using Real-time Object Tracking Technology)

  • 김혜정;강민구;이혜규;고동범;김정준;박정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43-250
    • /
    • 2018
  • 본 논문은 독거노인을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최근 의학, 생활수준, 환경의 급속한 개선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령 인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증가하는 독거노인 비율은 노인 케어 시스템, 응급 상황 알림과 같은 서비스의 제공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기존의 응급상황알림을 위한 기술들은 고정된 CCTV 영상을 분석하기 때문에 CCTV 사각지대에서의 모니터링에 대한 어려움과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로 이동하는 등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활동을 할 경우 실시간으로 케어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이동이 가능한 로봇과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이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응급상황시 빠르게 도움을 요청해 보호자 및 도우미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시니어 인지능력과 신기술 수용 행태 분석 :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ognitive Ability and Technology Acceptance Behavior for the Elderly : Towards the Use of Wearable Healthcare Devices)

  • 박지혜;문재윤;김진우;김건하;김보리;배현아;홍세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1호
    • /
    • pp.21-38
    • /
    • 2019
  • 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 "Are people of the age 60 and over equally 'old?' "As the aging population has rapidly become a global issue, it is a timely question to think about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classify people aged 60 and over as senior citizens monolithically based on their chronological age.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ever-increasing life expectancy, there may be more differences than we thought in terms of cognitive and behavioral patterns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order to further investigate this question, this study focuses on technology acceptance behavior of 132 participants over the age of 60 towards a wearable healthcare devic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interesting behavioral differences among participants depending on their cognitive capabilities. More specifically, participants with high cognitive capability (Superagers) consider the usefulness and the social aspects (social norm and image) of using wearable healthcare technology. Whereas for those with relatively low cognitive capability (non-Superagers), usefulness of using the technology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and they mainly considered social norm and image. Our findings imply that the current monolithic application of chronological age to classify the elderly population should be carefully reconsidered because people aged over 60 years old may not always share homogeneous cognitive and behavioral patterns.

고령자 맞춤 능동적 상호작용의 AI스피커 개발 (Development of AI Speaker with Active Interaction Customized for the Elderly)

  • 정재헌;장지훈;문미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23-1230
    • /
    • 2020
  •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노인 인구가 늘어나고,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AI스피커는 일상적으로 사람과 사람 간에 이루어지는 대화보다는 사용자의 명령어에 반응하는 형태이다. 독거노인이 먼저 얘기를 하지 않으면 AI스피커의 사용성은 떨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령자 맞춤 능동적 상호작용의 AI스피커 개발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본 스피커는 독거노인의 움직임과 주변 상황을 파악하여 능동적으로 말을 걸어줄 수 있으며, 대화의 내용에 맞는 감정표현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AI스피커를 의인화하게 되어 친근감을 느낄 수 있고 감성 대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외로움을 달랠 수 있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치유적 환경의 관점에서 고령친화 커뮤니티 환경디자인의 평가체계 연구: 중국 고령자 중심으로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Environmental Design for an Age-Friendly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a Healing Environment: Focus on the Elderly in China)

  • 사린;정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96-308
    • /
    • 2022
  • 코로나-19 사태에서 60세 이상 노인들은 우울, 불안,공포 등 다양한 심리건강 문제가 생겼고, 커뮤니티는 노인 활동의 유일한 공간이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FGI 인터뷰와 계층 분석법 AHP를 활용하여 치유적 고령친화 커뮤니티 환경디자인 평가체계를 제시하였다. 평가체계는 3차원 공간, 10개 상위 계층과 68개 하위 계층이다. 또한 전문가 설문조사와 SPSS 프로그램 분석를 통해 평가체계의 각 지표의 가중치를 배분하였다. 첫째, 물질 공간 환경디자인은 노인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공용공간 활동시 쾌적성과 건강성을 충족시켜야 한다. 둘째, 사회적 공간환경 디자인은 노인들의 교류와 사회적 연계를 촉진한다는 취지로 디자인을 한다. 셋째, 운영 공간 환경디자인은 커뮤니티 운영회사의 운영체제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이를 통해 노인의 주거환경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기술적 근거와 행동지침을 제공하여 고령자 심리의 건강 향상을 기대해 본다.

향기치유기반 융·복합 사회서비스 전문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 -광주광역시 중심으로- (Aromatherapy Healing-based Fusion, Complex Social Service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ase Study - Gwangju is the center of the city -)

  • 정숙희;박희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03-112
    • /
    • 2022
  • 노년층의 삶의 질 개선과 높은 수준의 간병·요양서비스 및 니즈를 충족시킬 대안으로 향기치유기반 융·복합 사회 서비스 전문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적용하여 개선안을 마련하는 기초 사례가 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거주자 중 교육생 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14일부터 16일간 교육 전 선호도 조사 및 만족도 조사를 2021년 9월 23일부터 7일간 설문지조사를 진행한 결과 교육 선호도 에서는 향기요법 교육이 42.1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후 향기요법과 정의 필요성은 50%, 만족도는 48%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 친화 산업활성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시니어 간병·요양서비스의 집적화 및 고부가가치 융·복합 사회서비스 관련 우수인력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시니어 낙상예방을 위한 기능성 서포터 착용에 따른 근기능 및 균형감각과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연구 (Impact of Wearing Functional Supporters that Prevent Seniors from Falling on Muscle Function, Sense of Balance, and Overcoming Fatigue)

  • 엄성흠;장선우;박문환;이승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6-163
    • /
    • 2022
  • Loss of leg muscle and muscle weakness, which are caused by aging, affect muscle function and sense of balance. As a way of preventing seniors from falling, we developed the idea of wearing functional supporters based on graduated compression technique and in the form of a taping supporter. Their impact on power, sense of balance, overcoming fatigue, and subjective wearing sensation was investiga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fter wearing functional compression supporters, body temperature increased from 24.5 ± 0.5℃ to 26.3 ± 0.6℃. Calf size, which assesses the level of edema, decreased from 26.1 ± 1.8cm to 25.7 ± 1.8cm. The result of dynamic balance test, which helps estimate the fall prevention effect, increased from 6.4 ± 0.9sec to 7.1 ± 0.6sec. Lactate level, which indicates the level of fatigue, decreased from 8.1 ± 0.6mmol/L to 7.3 ± 0.8mmol/L. Standing long jump record, which assesses power, increased from 110.1 ± 3.1cm to 112.0 ± 2.8cm.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closed, which assesses sense of balance, increased from 4.2 ± 1.1sec to 6.5 ± 0.8sec. Ankle angle, which assesses joint stability, increased from 75.3 ± 4.0° to 80.1 ± 1.7°. In metabolism and physical performance testing, which assesses keep, the score increased from 26.3 ± 1.7 to 28.8 ± 1.2. Muscle supporting score, which assesses joint stability, increased from 7.3 ± 0.6 to 7.8 ± 0.4. In the category of body type, which assesses wearing sensation and body shaping function, the score increased from 5.7 ± 1.4 to 6.4 ± 1.2

친환경 농산물 소비자의 집단별 소비특성 및 정책에 대한 인식연구 (Study of Consumers' Perceptions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Policies by Group)

  • 이태겸;김은솔;최진아;김상범;이재호
    • 농촌계획
    • /
    • 제28권4호
    • /
    • pp.83-91
    • /
    • 2022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sprea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hich have been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lately, as a way to improve food safety and quality. As a result of the increased labor input, increased production costs, and an aging population,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is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farmers to expand their enterprises. In the meantime, consumers find it difficult to spread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their high expectations for safety and quality, as well as the desire to purchase products at a reasonable price.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ers and consumer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divided consumer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age, purchase history, health concerns, etc.), and different policies were proposed in order to increase purchasing factors for each group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gather information for this study, general citizens were asked about their perceptions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uture purchase intentions and awareness, reliability, necessity, purpose, and information sources. A two-step cluster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ominal and continuous variables simultaneously. The paper presents the three derived group differences (senior organic interest group, middle-aged organic interest group, and indifferent young organics) as well as group differences for the purchasing/non-purchasing factor analysis and policy improvement for each group. A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proposal was made at the end of this article.

Evaluation of Sex and Ag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iagnosis of Oral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Eun-Ha Jung;Sun-Young Ha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8-388
    • /
    • 2023
  • Background: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in old age, aspects of oral aging are being considered. The Korean Academy of Geriatric Dentistry recently proposed the diagnostic criteria for oral frailty in older adult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cross-sectional survey of factors related to oral frail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d identify differences in oral frailty status according to age and sex. Methods: Among 217 older adults aged ≥60 years who visited a senior center in Wonju, 206 completed all tests for oral frailty. Among them, data from those with a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score ≥90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fter evaluating oral frailty diagnostic factors such as chewing ability, occlusal force, tongue pressure, oral dryness, oral cleanliness, and swallowing function, oral hypofunction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al frailty diagnostic criteria. Subsequently, the evaluation results were compared based on sex and ag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ewing ability, maximum occlusal pressure, and maximum tongue pressure were observed between sexes. However, these differences did not affect oral frailty diagnosis. All diagnostic factors of oral frailty, except for the risk of oral dryness and swallowing dysfun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ag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revalence of oral frailty.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no relationship between sex and oral frailty factors using the oral frailty diagnostic criteria. However, it also found that age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n oral frailty diagnostic indicator, in addition to oral dryness and swallowing function. Conclusion: Sex and age did not affect oral frailty diagnosis. However, patients' chewing ability, occlusal force, and tongue pressure were affected by sex and age. Therefore, sex and age should be considered when diagnosing and intervening in oral frailty in the future.

대한민국 과연 생산적 복지가 가능한가? (Is productive welfare possible in Korea?)

  • 김도현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33-38
    • /
    • 2024
  • 생산적 복지는 복지 수혜자를 단순한 지원의 대상에서 벗어나, 그들이 사회와 경제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구성원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 복지 정책의 한 형태이다. 이는 교육, 직업 훈련, 취업 지원 서비스를 포함하여 개인의 자립능력을 향상시키고, 결국 사회 전체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에서 생산적 복지가 가능한지를 고찰함으로써, 사회적, 경제적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생산적 복지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한민국은 빠른 경제 성장과 함께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경험해 왔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청년 실업률의 증가, 사회적 격차의 확대 등은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복지 요구를 낳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산적 복지는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서, 수혜자가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에서 생산적 복지의 구현 가능성을 고찰하고, 그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사회복지 정책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