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ing data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31초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용한 경도인지장애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Using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 박효진;하주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1-199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 normal cognitive group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establish prediction model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research using data from "the 4th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 total of 6,405 individuals, including 1,329 individuals with MCI and 5,076 individuals with normal cognitive abilities, were part of the study. Based on the panel survey items, the research used 28 variables. The methods of analysis included a χ2-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cision tree analysis, predicted error rate, and an ROC curve calculated using SPSS 23.0 and SAS 13.2. Results: In the MCI group, the mean age was 71.4 and 65.8% of the participants was wome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and education in both groups. Predictors of MCI determined by using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gender, age, education,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 perceived health status, participation group, cultur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Decision tree analysis of predictors of MCI identified education, age, life satisfaction, and IADL as predictors. Conclusion: The accuracy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MCI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decision tree model.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diction model for MCI established in this study may be utilized to identify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risks of MCI. Therefore,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dementia.

활동적 노화의 관점에서 본 장기요양시설의 돌봄 유형 분석 (Analysis of Care Typ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rom the View of Active Ageing)

  • 김현정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85-105
    • /
    • 2021
  • 본 연구는 활동적 노화의 관점을 적용하여 장기요양시설에서의 돌봄 유형에 관한 다양한 인식유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WHO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건강, 안전, 참여 세 영역에서 장기요양시설의 돌봄에 관한 다양한 생각을 파악하기 위해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면접조사에는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 거주 노인의 성인자녀, 지역사회 거주 노인, 서비스 제공자, 장기요양 전문가 등 35명이 참여하였다. 451개의 Q모집단 중 63개의 Q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최종 자료분석에는 43개의 P표본 자료가 활용되었다.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요인구조(4개 유형)가 적합하며 이는 전체 변량의 30.1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장기요양시설의 돌봄은 보호 중심 돌봄(1유형), 참여 중심 돌봄(2유형), 의료연계 중심 돌봄(3유형), 인간 중심 돌봄(4유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요양시설에서 돌봄의 질적 변화를 위한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생체 환경 정보 센싱 모듈 및 농장 제어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스마트 낙농 관리 시스템 개발 (Smart Dairy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Using Biometric/Environmental Sensors and Farm Control Gateway)

  • 박용주;문준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5-20
    • /
    • 2016
  • Recently, the u-IT applications for plants and livestock become larger and control of livestock farm environment has been used important in the field of industry. We implemented wireless sensor networks and farm environment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pplying to the breeding barn environment by calculating the THI index. First, we gathered environmental information like livestock object temperature, heart rate and momentum. And we also collected the farm environment data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for calculating the THI index. Then we provide accurate control action roof open and electric fan in of intelligent farm to keep the best state automatically by using collected data. We believed this technology can improve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u-IT based smar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troduction for industry aversion and dairy industries labor shortages due to hard work and old ageing.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Attributes of Indigenous Sheep and Goats from Traditional Production System in Tanzania

  • Shija, Dismas S.;Mtenga, Louis A.;Kimambo, Abiliza E.;Laswai, Germana H.;Mushi, Daniel E.;Mgheni, Dynes M.;Mwilawa, Angello J.;Shirima, Eligy J.M.;Safari, John 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295-302
    • /
    • 2013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attributes of meat between male long fat tailed sheep (n = 17) and Small East African goats (n = 17) existing in Tanzania. Animals of 1.5 to 2 yrs in age and live body weight of $22.59{\pm}0.50$ kg were purchased from livestock auction markets. Animals were fasted for 18 h and slaughtered according to standard halal procedure. Left carcasses were dissected into muscles, fat and bone and the muscle and fat were mixed together and chemically analysed. Meat quality attributes were measured based on Muscle longissimus thoracis et lumborum excised from right sides of carcasses. Goat carcasses had significant higher (p = 0.0302) moisture content (70.65% vs 66.96%) and lower (p = 0.0027) ether extract (2.49% vs 5.82%) than shee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species differences in protein and ash content. Sheep had lower (p = 0.0157) ultimate pH (5.74 vs 5.88) and higher (p = 0.0307) temperature ($3.77^{\circ}C$ vs $3.15^{\circ}C$) than goat carcasses. Sheep meat had lower (p = 0.0021) shear force values (29.83 N vs 34.07 N) than goat. Within species, at day 9 of ageing, meat tenderness improved (p = 0.0001) by 44.63% and 34.18% for sheep and goat. Pooled data showed that at d 9 of ageing, meat tenderness improved (p = 0.0001) by 39.25% (from 39.54 N to 24.02 N) compared to tenderness of meat which was not aged at day one of slaught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attributes of meat existing between sheep and goats originated from East Africa.

은퇴 전후 세대 재정안정성 -노년기 삶의 수준에 대한 기대와 지원- (The Financial Stability of Before-and-after Retirement -Expectation and Support for the Quality of the Elderly Life-)

  • 김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61-85
    • /
    • 2014
  • 최근 들어 노인 빈곤층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중장년층 은퇴 전후 세대들의 소득과 소비를 중심으로 재정안정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고령화연구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은퇴자그룹과 비은퇴자그룹을 나누고, 연령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자그룹의 개인총소득은 비은퇴자그룹의 개인총소득에 비해 소득이 3배 이상 낮았다. 둘째, '공적연금소득' 수급비율은 은퇴자그룹은 전체의 30%에 불과하고, 공적연금의 비중은 개인총소득의 40% 이하로 나타났다. '개인연금소득'은 두 그룹 모두 수급비율이 1%내외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은퇴자그룹에서는 '사적이전소득'이 전체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소득이 줄어든 만큼 소비는 은퇴를 하더라도 크게 줄지 않기 때문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재정안정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가로부터의 노후생활 지원에 대한 기대감은 양 그룹 모두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은퇴자그룹의 공적연금소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비은퇴자그룹 개인 총소득에 미치는 주요 요인과 비교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건강상태가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은퇴 전후 세대의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공적연금 확대와 개인연금 활성화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한 점에서 기여도가 있다.

  • PDF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변수와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for older adults: focused on perceived health status, mental health,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 정순둘;임정숙;이미우;정세미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123-14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우울), 그리고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향후 이들의 노후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 지원사업의 '연령주의 및 연령통합에 대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변수인 우울이 높고, 건강정보이해력과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건강정보이해력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긍정적인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기혼자녀와의 거주근접성과 부모의 정신 및 신체건강 (Intergenerational Residential Proximity and Older Paren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 남보람;최희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6호
    • /
    • pp.69-85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bidirectional associations between intergenerational residential proximity and older paren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e data were drawn from first three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06, 2008, 2010),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adults 45 years or older and their spouses. The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2,391 parents aged 60 years or older with at least one child who were continuously married between 2006 and 2010. Intergenerational residential proximity was measured with travel time between parental residence and that of the oldest of the continuously married children. For statistical analysis,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s were estimated using AMOS. Findings suggest that intergenerational residential proximity may have bidirectional associations with functional health, and an unidirectional association with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a closer distance to a married son or daughter reported in 2006 was associated with poorer functional health of the parent in 2008. An older parent's greater number of functional limitations in 2006 was also related to a closer residential proximity to the married child in 2008. A greater residential proximity to a son, but not a daughter, reported in 2006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parental life satisfaction in 2008.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having nearby a married adult child, particularly a married son, may help maintain parental health.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가 빈곤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Poverty of People over 45 years old with Disability: Comparison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

  • 송인욱;원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26-235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중고령 장애인의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소득, 노동, 건강, 주거, 교육, 사회참여의 6가지 사회적 배제요인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여 이 요인들이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와 농어촌 거주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및 빈곤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 4차년도 자료에서 45세 이상 중고령 장애인 640명을 추출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배제요인 중 노동, 주거, 교육이 중고령 장애인의 빈곤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도시 지역의 경우, 나이가 적고, 배우자가 없으며, 일을 하지 않고, 집을 소유하지 않은 중고령 장애인이 빈곤에 처할 확률이 높았다.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중고령 장애인은 나이가 적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 빈곤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및 빈곤 감소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Contrasting rice sub-populations to tocols ratio associated with seed longevity

  • Lee, Jae-Sung;Kwak, Jieun;Yoon, Mi-Ra;Lee, Jeom-Sig;Hay, Fiona R.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1-31
    • /
    • 2017
  •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to overcome or prevent seed ageing deterioration during storage is of fundamental interest to seed physiologists. Vitamin E (tocols) is known as a key metabolite to efficiently scavenge lipid peroxy radicals which cause membrane breakdown resulting in seed ageing. However, in rice research this hypothesis has been tested for very few lines only without considering intraspecific variation in genomic structure. Here, we present a correlation study between tocols and seed longevity using a diverse rice panel. Seeds of 20 rice accessions held in the International Rice Genebank at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representing aus, indica, temperate japonica and tropical japonica subpopulations, were used for tocols analysis (quantification of ${\alpha}$-, ${\beta}$-, ${\gamma}$-, ${\delta}$-tocopherol/tocotrienol by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storage experiments at $45^{\circ}C$ and 10.9% seed moisture content (sample taken for germination testing every 3 days up to 60 days). To examine interactions between DNA sequences and phenotype, the 700k high-density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 data-set was utilized. Both seed longevity (time for viability to fall to 50%; $p_{50}$) and tocols content varied across subpopulations due to heterogeneity in the genetic architecture. Among eight types of tocol homologues, ${\alpha}$-tocopherol and ${\gamma}$-tocotrieno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_{50}$ (negatively and positively, respectively). While temperate japonica varieties were most abundant in ${\alpha}$-tocopherol, indica varieties recorded 1.3 to 1.7-fold higher ${\gamma}$-tocotrienol than those of other subpopulations. It was highlighted that specific ratio of tocol homologues rather than total tocols cont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eed longevity mechanism.

  • PDF

연령에 따른 교육수준과 만성질환의 관계 (Differential Effects of Educational Attainment on Chronic Diseases with Age)

  • 이민아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179-198
    • /
    • 2011
  • 본 논문의 목적은 연령과 교육수준이 한국인의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이 2006년에 수집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에 참여한 45세 이상의 한국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먼저 연령과 만성질환이 비선형 관계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응답자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을 확률도 증가하나 약 74세를 기준으로 다시 감소한다. 또한 이러한 연령과 만성질환의 관계는 교육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이른 나이에 만성질환이 발현하여 70대 초까지 상대적으로 만성질환에 노출될 확률이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격차는 수렴현상(convergence)을 보이다가 70대 초반 이후부터 역전되어 다시 분기(divergence)한다. 즉, 고령층에서는 오히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만성질환을 가질 확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만성질환에 상대적으로 더 젊은 나이에 노출되고 결국에는 이른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