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for older adults: focused on perceived health status, mental health,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변수와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을 중심으로

  •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임정숙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미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정세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1.30
  • Accepted : 2016.03.31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to improve older people's life satisfaction from identifying factors, which were derived from exploring several variables (perceived health, mental health,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affecting perception on ageing positively and negatively. This study used data (400 people age 65 and over) from survey on ageism and age integration conducted by 'supporting project of enhancing humanities and social capacity'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ed; 1) older people negatively perceived psycho-social ageing; 2) older people had high level of depression; 3) showing slightly low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4) depression, perceived health and mental health literacy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e on perceived psycho-social aging. With these results, the ways were suggested to improve positive psycho-social ageing and quality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우울), 그리고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향후 이들의 노후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 지원사업의 '연령주의 및 연령통합에 대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변수인 우울이 높고, 건강정보이해력과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건강정보이해력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긍정적인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