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d 65 or older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29초

The Relationship between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and the Experi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 Kang, Jeong-Hee;Kim, Chul-W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5-10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Method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from the 2014~2015 Korean Health Panel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495 people aged 20 or older, and of them, there were 16,227 people aged 20 to 64 and 5,268 people aged 65 or older, which were surveyed between 2014 and 2015. The association between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was analyz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n 2015, 1.7% of people aged 20~64 years and 7.9% of those aged 65 or older experienced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In the 20~64 age group, people who repeatedly experience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10%,=20%)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than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for two years (OR=0.50, OR=0.41). However, in the 65-or-older group, people who repeatedly experience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20%)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than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for two years (OR=1.68). Conclusion: A greater percentage of the elderly repeatedly faced both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and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financial reasons compared to the non-elderly.

지역사회 노인의 연령군에 따른 낙상예측요인 (Predictors of Accidental Falls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by Age)

  • 박난주;신용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1-14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 factors of accidental falls by age in the Korean elderly.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10,242 community-dwelling elders aged 65 or over. The data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isk factors of accidental falls in the younger old group (aged 65~74) include fear of falling (OR=16.28, 95% CI: 12.03~22.03), depression (OR=1.24, 95% CI: 1.06~1.44), and hearing impairment (OR=1.20, 95% CI: 1.01~1.43). The risk factors of accidental falls in the older old group (aged 75~84) include fear of falling (OR=11.54, 95% CI: 7.04~18.93), muscle strength (OR=1.36, 95% CI: 1.15~1.60), number of chronic disease (OR=1.65, 95% CI: 1.09~2.50), and presence of spouse (OR=1.27, 95% CI: 1.06~1.51). The risk factors of accidental falls in the oldest old group (aged 85 years old or older) include fear of falling (OR=8.05, 95% CI: 1.85~34.98) and exercise (OR=2.91, 95% CI: 1.36~6.24). Fear of falling is defined as a common factor in the all age groups. Conclusion: Different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for age groups to prevent elderly falls with understanding of contributing factors of falls in each group.

Risk of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5 or over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 Hwang, Suji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7권3호
    • /
    • pp.139-145
    • /
    • 2018
  • Objective: Older persons with diabetes mellitus (DM) are particularly more likely to have fallen in the previous year than those without D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of falls and type 2 DM in older adults who are 65 years of age or above. Design: A systematic review. Methods: PubMed and other two databases were searched up to August 2, 2018. Observational and cohort studies evaluating fall risk in people who are 65 years of age or above with DM were included. This review extracted the following information from each study selected: first author's surname, year of publication, country, average follow-up period, sex, age at enrollment, study population, measurement variables, relative risk, 95% confidence intervals and controlled variables. Results: This review involved nine cohort studies with 3,765 older adults with DM and 12,989 older adults without DM. Six studies compared with or without DM and two studies compared fallers with non-fallers with DM. Risk factors for falls included impaired cognitive function, diabetes-related complications (peripheral nerve dysfunction, visual impairment), and physical function (balance, gait velocity, muscle strength, and severity of physical activities). Conclusions: People who are 65 years of age or above with DM have increased risk of falling caused by impaired cognitive function, peripheral nerve dysfunction, visual impairment, and physical function in community-dwellers. For adults who are 65 years of age or older with DM, research fields and clinical settings should consider therapeutic approaches to improve these risk factors for falls.

한국 노인의 폐렴구균 백신 접종률 및 관련 요인 (Pneumococcal Vaccination Rate and Related Factors in Older Adults in Republic of Korea)

  • 이석구;전소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2호
    • /
    • pp.67-77
    • /
    • 2021
  • 65세 이상 노인의 폐렴구균 국가무료 백신 접종은 2종류 중 한 개에 대해서만, 그것도 보건소에서만 접종이 가능하여 다른 국가예방접종 감염병과 달리 전산등록 자료에 의한 백신 접종률 파악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권고되고 있는 2종의 폐렴구균 백신 모두에 대하여 백신 접종률을 파악함과 동시에 백신 접종 이유나 미접종 이유, 백신 접종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65세 이상 노인이 되며, 최종 분석대상자수는 총 1,150명이었으며 컴퓨터 전화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내용은 폐렴구균 백신 접종현황(접종여부-2회, 접종일자, 백신종류, 접종기관종류, 접종비용 지불여부, 자료원), 백신 접종을 한 이유, 백신 접종에 대해서 알게 된 정보원,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이유, 백신 접종 관련 요인이었다. 65세 이상 노인의 폐렴구균 백신 접종률은 56.2%로 미국(2017년) 69.0%, 영국(2019년) 69.2% 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폐렴구균 백신 접종 관련 요인으로는 여자가, 연령이 낮을수록, 시부 거주자가, 직업이 없을 때, 고학력자가, 의료보장이 있을 때, 기혼자가, 동거가족이 있을 때에 백신 접종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국가 권고 성인 예방접종을 인지하고 있을 때, 의사에게 성인 예방접종의 필요성을 설명 받은 경험이 있을 때, 본인의 성인 예방접종 기록을 보관하고 있을 때, 성인 예방접종이 감염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높게 인지하고 있을 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성인 예방접종 홍보 경험이 있을 때 백신 접종률이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국가지원 대상이 아닌 성인 예방접종에 대해서도 정확한 접종기록 관리를 위한 대안의 개발이 필요하며, 국가의 감염병관리 정책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성인 예방접종률 산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Relationship between diet quality and sarcopenia in elderly Koreans: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Na, Woori;Kim, Jiyu;Chung, Bong Hee;Jang, Dai-Ja;Sohn, Cheongm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4호
    • /
    • pp.352-364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Given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Korean population that is aged 65 years and older,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quality and sarcopenia in elderly persons by using data from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SUBJECTS/METHODS: Data for 3,373 persons aged 65 years and over (men: 1,455, 43.1%) were selected from the 2008-2011 KNHANES. Sarcopenia assessments are based on a formula that divides a subject's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ASM) by their weight (wt) and multiplies that result by 100 ([ASM/wt] × 100). Sarcopenia is present if the subject's result was less than one standard deviation (SD) below the sex-specific mean for a young reference group. For evaluation of diet quality, data obtained via the 24-hour recall method were used to calculate the Diet Quality Index for Koreans (DQI-K). A general linear model was applied in order to analyze general information and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sarcopenia status. Fo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quality and sarcopenia, a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ndertaken. RESULTS: The sarcopenia prevalence rate among the study subjects aged 65 years and over was 37.6%. The DQI-K of those without sarcopenia was 3.33 ± 0.04 points, while that of those with sarcopenia was 3.45 ± 0.04 points (P < 0.05).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quality and sarcopenia revealed that subjects aged 75 and older had a poor diet quality, and their odds ratio (OR) of sarcopenia pres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OR: 1.807, 95% confidence interval: 1.003-3.254, P < 0.05).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poor diet quality was related to sarcopenia presence in Koreans aged 75 and older. In order to improve the diet quality of the elderly (aged 75 and old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etary improvement guidelines.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Depression with Periodontitis in Older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 Youn, Ha-Young;Shin, Hae-Eun;Cho, Min-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5-212
    • /
    • 2019
  • Background: Sleep disorder is a precursor to depression, which is on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that, in turn, affects general and periodontal healt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depression, and periodontitis in older people aged over 65 years. Methods: A total of 2,002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ir general and health aspects, including smoking, drinking, diabetes, hypertension, and depression, were investigated. Periodontitis was examined using the 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mplex sampling design method. Frequency and crossover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eriodontit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pression on periodontiti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Regarding depression and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x, economic activity, smoking habit, and CPI (p<0.05). In the presence of depression, the odds ratio for periodontitis was 1.84, and the adjusted odds ratio for age, sex, economic activity, residence type,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smoking habit, drinking, hypertension, and diabetes was 1.72, represen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eriodontitis in older persons and confirm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s the population of older adults increase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ir mental and oral health as well as systemic diseases. Various programs for the health promotion of older persons need to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people.

국내 독감백신 투여현황과 투여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Influenza Vaccination in Koreans)

  • 정주연;정선영;곽혜선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93
    • /
    • 2005
  •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influenza vaccination coverage in 2004 in Korean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vaccination. Documentation of vaccination status and baseline data was conducted by a survey using questionnaire sheets. Baseline data and vaccination status were documented on 1465 people out of whom 60.1% received the influenza vaccine. Forty-seven percent of the responders were male; 4% were aged 1-12, 32% were aged 13-39, 32% were aged 40-64 and 32% were aged 65 or older. Twenty-three percent reported a chronic illness, increasing their risk for complications from influenza. Predictors of influenza vaccination were: older age (OR=11.7, 95% CI 5.1-26.8), the presence of chronic illness (OR=2.3, 95% CI 1.1-4.7), previous vaccination (OR=1.8, 95% CI 1.1-2.8), belief that influenza vaccine is effective in preventing influenza (OR=2.5, 95% CI 1.1-5.7) and education level (OR=1.7, 95% CI 1.0-2.7). Immunization rates were much higher in those who will take immunization again (OR=10.4, 95% CI 5.5-19.6).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on immunization were self-determination (43.6%), public relations (24.1%), recommendation from family members or friends (22.4%) and consulting with health professionals (5.8%). The main reason not to take influenza vaccine was the thought that they are healthy (50.1%). Overall, influenza vaccine coverage was high in those aged 65 or older. Immunization against influenza was influenced more by existing medical problem and belief about the vaccine's effectiveness, rather than sex or residence.

  • PDF

중·장년, 노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8) 활용 (Influence Factor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iddle-aged and Elderly: Utilized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8))

  • 박해령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213-21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대상의 국민건강영양조사(2018년) 자료 중 30세 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나이, 신체활동 (걷기, 근력운동), 주관적 체형 인식, 체중의 변화가 주관적 건강 상태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과 연구방법은 제7기 3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2018년)를 이용한 이차분석연구이다. 나이, 1주일간 걷기 일수, 1주일간 근력운동 일수, 주관적 건강 상태, 주관적 체형 인식, 그리고 1년 동안 체중 변화 유무를 변수로 이용하여 주관적 건강 상태와의 상관성 분석을 SPSS를 활용하여 통계적 유의성 있는 결과를 활용하였다(p<.01). 7일(매일) 걷기를 한다는 응답율은 30-45세는 21.9%, 50-64세는 27.2% 그리고 65세 이상은 26.6%이며, 5일 근력운동을 한다는 응답율은 30-45세는 3.6%, 50-64세는 8.4% 그리고 65세 이상은 7.9%이다(p<.001). 주관적 건강 상태는 나이 (.091), 1주일간 걷기일수(.739), 1주일간 근력운동 일수 (.530), 주관적 체형인지(.256), 1년간 체중 변화(.303)에 대해서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 상태는 '나쁨'이라고 응답한 연령대는 65세 이상이 21.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50-64세는 15.7%, 30-45세는 11.0%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걷기, 근력운동을 함으로써 주관적 건강 상태가 좋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령에 따른 개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 향상을 위한 건강 관련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50세 이상 한국인의 성·연령군별 우유류와 두류 섭취량과 골 건강과의 관련성 : 2008~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Sex- and age group-specific associations between intakes of dairy foods and pulses and bone health in Koreans aged 50 years and older: Based on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서현비;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3호
    • /
    • pp.165-178
    • /
    • 2016
  • 본 연구는 50세 이상 한국인을 성 연령군으로 나누어 골밀도에 근거한 골 건강상태와 우유류와 두류 섭취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1년)에 참여한 만 50세 이상 남성 3,201명과 여성 3,581명을 대상으로 '50~64세 남성', '50~64세 여성', '65세 이상 남성', '65세 이상 여성' 성 연령군 집단으로 나누어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의 골 건강상태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을 비교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우유류와 두류 섭취빈도에 따른 골다공증 오즈비를 구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9.3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처리는 층화, 집락, 가중치를 고려한 복합표본설계 자료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50~64세 남성 1,721명 중 3.8%, 65세 이상 남성 1,480명 중 13.1%가 골다공증이었으며, 50~64세 여성 1,950명 중 15.9%, 65세 이상 여성 1,631명 중 63.0%가 골다공증이었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4~5배 정도 골다공증 비율이 높고, 남녀 모두 연령 증가와 함께 골다공증 발생이 증가 하였다. 모든 성 연령군 집단에서 대상자의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순이었다. 에너지, 단백질, 나트륨, 칼륨, 칼슘 및 비타민 C 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순이었으며, 여성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칼슘 섭취량의 사분위 섭취량에 따른 골다공증 오즈비 (OR)가 연령, BMI, 에너지 섭취량에 의한 보정 후 50~64세 여성과 65세 이상 남성에서 4사분위 섭취량이 1사분위 섭취량에 비해 유의하였으며, 칼슘섭취량이 많을수록 골다공증이 감소하는 경향성 (p for trend = 0.01)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음주, 흡연, 신체활동도 포함하여 보정한 후 경향성은 각각 p값이 0.055, 0.051 수준으로 낮아졌다. 50~64세 남성에서 골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우유류와 우유 섭취량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50~64세 여성에서는 골다공증군의 우유류와 우유 섭취량이 골감소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두류와 두부 섭취량은 모든 성 연령군에서 골 건강상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 및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50~64세 남성에서 우유 섭취빈도는 골다공증 위험 감소와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이지 않은 반면에 65세 이상 남성에서는 우유 섭취빈도가 월 1회 미만에 비해 주 2회 이상일 경우 골다공증 위험 (OR 0.45, 95% CI 0.24~0.85)이 감소하였고, 감소하는 경향성 (p for trend = 0.022)을 보였다. 50~64세 여성에서 우유를 월 1회 미만 섭취하는 것에 비해 월1회~주1회 (OR 0.63, 95% CI 0.41~0.98) 섭취할 경우 오즈비가 유의하게 낮았다. 요구르트의 경우 50~64세 여성에서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골다공증 위험이 감소하는 경향성 (p for trend = 0.019)을 보였다. 모든 성 연령군에서 두부 섭취빈도와 골다공증 위험과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두유를 주 2회 이상 섭취한 65세 이상 여성군에서는 골다공증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혈청 25-hydroxy vitamin D 농도는 50~64세 여성에서 골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뚜렷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여성의 경우는 50~64세 연령 시기에 칼슘 섭취량, 우유 및 요구르트 섭취와 골다공증 위험 감소 사이에 연관성이 있으며, 남성의 경우 65세 이후 칼슘 섭취량과 우유 섭취와 골다공증 위험 감소 사이에 연관성이 있었다. 반면 두부, 두유 등 두류 섭취는 골다공증 위험 감소에 효과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50세 이상 한국인에서 성 연령군에 적절한 골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식생활 및 생활습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5세 이상 고령자에서 대사증후군 예측을 위한 지질비율 지표의 유용성 비교 (Comparison of the Usefulness of Lipid Ratio Indicators for Predic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Elderly Aged 65 Years or Older)

  • 신경아;김은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99-40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진단을 위한 지질비율 지표의 유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서울지역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65세 이상 1,4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액검사를 통해 혈장 동맥경화 지수를 포함한 지질비율 지표를 측정하였다. 지질비율 지표의 사분위수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수신자 조작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곡선으로 지질비율 지표의 대사증후군 예측능력과 절단값을 추정하였다. 동맥경화 지수와 허리둘레의 상관성이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았으며(r=0.278, p<0.001 vs r=0.252, p<0.001), 지질비율 지표는 1사분위수와 비교하여 4사분위수에서 대사증후군 발병률이 높았다. 혈장 동맥경화 지수는 다른 지질비율 지표보다 ROC 곡선 아래의 면적(area under the ROC curve; AUC)값이 남녀 각각 0.826(95% CI=0.799-0.850), 0.852(95% CI=0.820-0.8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적 절단값은 남녀 모두 0.44였다(p<0.001). 따라서 지질비율 지표 중 혈장 동맥경화 지수는 65세 이상 고령자의 대사증후군 진단에 가장 유용한 지표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