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Period-Cohort Model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5초

Age-Period-Cohort Analysis of Liver Cancer Mortality in Korea

  • Park, Jihwan;Jee, Yon H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589-8594
    • /
    • 2016
  • Background: Liver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in the world. In Korea, hepatitis B virus (HBV) is a major risk factor for liver cancer but infection rates have been declining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vaccination program.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ecular trends in liver cancer mortality to distinguish the effects of age, time period, and birth cohort. Materials and Methods: Data for the annual number of liver cancer deaths in Korean adults (30 years and older)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for the period from 1984-2013. Joinpoint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study the shapes of and to detect the changes in mortality trends. Also, an age-period-cohort model was designed to study the effect of each age, period, and birth cohort on liver cancer mortality. Results: For both men and women, the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 for liver cancer increased from 1984 to 1993 and decreased thereafter. The highest liver cancer mortality rate has shifted to an older age group in recent years. Within the same birth cohort group, the mortality rate of older age groups has been higher than in the younger age groups. Age-period-cohort analysis showed an association with a high mortality rate in the older age group and in recent years, whereas a decreasing mortality rate were observed in the younger birth cohort.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a decreasing trend in liver cancer mortality among Korean men and women after 1993. The trends in mortality rate may be mainly attributed to cohort effects.

연령, 시간, 코호트효과를 고려한 소득 불평등: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 (Income Inequality Decomposed by Age, Period and Cohort Effects: A Comparison of the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 정준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6-181
    • /
    • 2020
  • 본 논문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자를 대상으로 1998~2018년 한국노동패널(KLIPS) 조사자료의 APC(Age-Period-Cohort) 모형 분석을 통해 지역별 소득 불평등의 강도와 추세 및 소득 불평등의 지역 간 격차 추세를 비교·분석한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호트와 연령효과 양자의 경우 수도권에 거주하는 소위 베이비붐 및 '386세대'를 포함하는 50~60대는 비수도권의 다른 연령대 및 코호트와 비교해 상대적인 소득 불평등 완화 효과가 있다. 둘째, 소득 불평등의 지역 간 격차를 설명하는 데에 미시적인 개인 특성도 무시할 수 없지만, 그보다는 누락변수의 구조적·제도적 요인과 특성변수의 사회적인 차별 효과가 더 의미가 있다. 전반적으로 코호트 내 및 코호트 간 소득 불평등이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다.

위계적 APC모델을 활용한 가계부채결정원인 분석: 베이비부머세대 포함 중·장년·노년층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Household Debt using a Hierarchical Aging-Period-Cohort Model: Baby-boomers with Middle-Aged & Older Adults)

  • 김정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96-40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위계적 APC(Hierarchical Age-Period-Cohort)모형과 2006~2016년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베이비부머세대를 포함한 중장년 노년층(32~76세)의 가계부채규모 결정요인을 연령(Age), 기간(Period), 코호트(Cohort)로 구분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분석에 사용된 대상자는 총 86,056명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계부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효과와 기간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베이비부머세대를 포함하는 특정시기 출생연도별 코호트(Cohort)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이 한 단위 증가하면 가계부채도 353만원 증가하였지만 가계부채 증가폭은 연령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연령이외의 개인단위변수로 경제활동여부, 건강상태 등이 가계부채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취업자일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rends in Ischemic Heart Disease Mortality in Korea, 1985-2009: An Age-period-cohort Analysis

  • Lee, Hye-Ah;Park, Hye-Soo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5권5호
    • /
    • pp.323-328
    • /
    • 2012
  • Objectives: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help to improve the average life expectancy, but the western diet and rapid conversions to poor lifestyles lead an increasing risk of major chronic diseases. Coronary heart disease mortality in Korea has been on the increase, while showing a steady decline in the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An age-period-cohort analysis can help understand the trends in mortality and predict the near future. Methods: We analyzed the time trends of ischemic heart disease mortality, which is on the increase, from 1985 to 2009 using an age-period-cohort model to characterize the effects of ischemic heart disease on changes in the mortality rate over time. Results: All three effects on total ischemic heart disease morta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the period effect, the mortality rate was decreased slightly in 2000 to 2004, after it had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the late 1980s that trend was similar in both sexes. The expected age effect was noticeable, starting from the mid-60's. In addition, the age effect in women was more remarkable than that in men. Women born from the early 1900s to 1925 observed an increase in ischemic heart mortality. That cohort effect showed significance only in women. Conclusions: The future cohort effect might have a lasting impact on the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women with the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and a national prevention policy is need to establish management of high risk by considering the age-period-cohort effect.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Osaka, Japan: Future Trends Estimation with an Age-Period-Cohort Model

  • Utada, Mai;Ohno, Yuko;Shimizu, Sachiko;Ito, Yuri;Tsukuma, Hideak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3893-3898
    • /
    • 2012
  • In previous studies we predicted future trends in cancer incidence for each prefecture in order to plan cancer control. Those predictions, however,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efecture. We therefore used the results of age-period-cohort analysis of incidence and mortality data of Osaka, and estimated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cancers at all sites and selected sites. The result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saka, which has and is expected to have large number of patients with liver cancer. We believe our results to be useful for planning and evaluating cancer control activities in Osaka. It would be worthwhile to base the estimation of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each prefecture on each population-based cancer registry.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에 대한 출생코호트 접근과 해석 : 진주시를 사례로 (A Birth Cohort Approach to the Household Life-Cycle Model of Residential Mobility: The Case of Jinju City)

  • 이정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5-95
    • /
    • 2011
  • 이 연구는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의 횡단면적 접근과 분석이 가지는 한계의 대안으로서 출생코호트 접근을 하였다. 1970년부터 2005년까지 진주시를 사례로 5세 연령 간격으로 출생코호트를 구분하고 각각의 주거이동을 탐색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주거수요로서 인구변천과 출산력, 주거공급으로서 주택재고와 주거지역 입지 등 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형이 강조하고 있는 연령효과 이외에도 코호트효과와 기간효과가 확인되며, 이로 인해 각 출생코호트의 주거이동 궤적에 차이가 있었다. 한편 모형이 제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가구주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연령효과가 감소하였고 이동은 감소, 안정되었다. 이에 대한 해석은 출생코호트 간의 주거승계가 미약하거나 단절되고 있고, 결과적으로 연령집단이 주거를 서로 달리하는 가족지위보다 출생코호트를 주거분화 요인 중 하나로 제시할 수 있다.

  • PDF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출산력 가정치의 설정 (Development of Fertility Assumptions for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 전광희
    • 한국인구학
    • /
    • 제29권2호
    • /
    • pp.53-8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장래인구추계를 위하여 논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코호트별 출산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의 추정과 추계를 위하여 Coale-McNeil 모형을 일반화한 로그감마분포모형을 선택한다. 다음은 보정형의 연령별 출산율 모형을 재생산을 완료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젊은 출생코호트를 포함하는 실적치 자료에 맞추기 위하여, 출산력 파라메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일련의 출생코호트의 출생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을 역출하여, 장래의 특정연도 대하여 연령별 출산율을 추계한다. 가령, 2010년의 20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90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0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이고, 2010년의 21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89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1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에 해당한다. 결국 2010년에 태어난 코호트까지의 연령별 출산율의 추계치를 얻게 되면, 2055년도 까지의 기간별(연도별_령별 출산율에 대한 가정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와 통계청의 2005년 장래인구 특별추계의 가정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것은 털 연구의 출산예측모형에서 혼인연령의 상승과 독신여성의 증가로 인한 출산력 저하의 최근 추세를 제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래인구추계와 관련하여, 출산력 가정치 설정을 위한 출산예측모형의 본질적 과제는 어떻게 기간효과(를 슬기롭게 다루느냐 하는 것이다. 코호트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실적치를 바탕으로 약간의 기간적 수정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간효과를 별도로 취급하기는 쉽지 않다.

Time Trends of Esophageal Cancer Mortality in Linzhou City During the Period 1988-2010 and a Bayesian Approach Projection for 2020

  • Liu, Shu-Zheng;Zhang, Fang;Quan, Pei-Liang;Lu, Jian-Bang;Liu, Zhi-Cai;Sun, Xi-B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501-4504
    • /
    • 2012
  • In recent decades, decreasing trends in esophageal cancer mortality have been observed across China. We here describe esophageal cancer mortality trends in Linzhou city, a high-incidence region of esophageal cancer in China, during 1988-2010 and make a esophageal cancer mortality projection in the period 2011-2020 using a Bayesian approach. Age standardized mortality rates were estimated by direct standardization to the World population structure in 1985. A Bayesian age-period-cohort (BAPC)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ge, period and birth cohort on esophageal cancer mortality in Linzhou during 1988-2010 and to estimate future trends for the period 2011-2020. Age-adjusted rates for men and women decreased from 1988 to 2005 and changed little thereafter. Risk increased from 30 years of age until the very elderly. Period effects showed little variation in risk throughout 1988-2010. In contrast, a cohort effect showed risk decreased greatly in later cohorts. Forecasting, based on BAPC modeling, resulted in a increasing burden of mortality and a decreasing age standardized mortality rate of esophageal cancer in Linzhou city. The decrease of esophageal cancer mortality risk since the 1930 cohort could be attributable to the improvements of socialeconomic environment and lifestyle.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es of esophageal cancer should decrease continually. The effect of aging on the population could explain the increase in esophageal mortality projected for 2020.

통일의식에 대한 코호트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hort Effects of Unification Consciousness of South Korean)

  • 강동선;우경봉
    • 분석과 대안
    • /
    • 제8권2호
    • /
    • pp.31-64
    • /
    • 2024
  • 최근 한국 국민의 통일필요 의식의 하락 추세는 선명하다. 통일필요 의식 하락 추세에 있어 출생 코호트 효과는 존재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필요 의식에 있어 출생 코호트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모형으로 위계적 연령-기간-코호트(HAPC) 모형을 채용하였으며 2007~2021년 기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통일의식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출생 코호트 수준에서 경제불평등의 진행이 통일 필요성 인식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가 관찰되었다. 소득과 자산의 양극화 진행으로 인해 사회 진출 과정에서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1980년대 출생 코호트는 막대한 재원이 투입되는 남북통일에 대해, 1960년대와 1970년대 출생 코호트와 비교해 선명하게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Breast Cancer in Lopburi, a Province in Central Thailand: Analysis of 2001-2010 Incidence and Future Trends

  • Sangkittipaiboon, Somphob;Leklob, Atit;Sriplung, Hutcha;Bilheem, Suricha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359-8364
    • /
    • 2016
  • Background: Thailand has come to an epidemiologic transition with decreasing infectious diseases and increasing burden of chronic conditions, including cancer. Breast cancer has the highest incidence rates among females throughout Thaila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burden and the future trends of breast cancer of Lopburi, a province in the Central Thailand.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cancer incidence data from the Lopburi Cancer Registry to characterize and analyze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 Central Thailand. With joinpoint and age-period-cohort analyses,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 the province from 2001 to 2010 and project future trends from 2011 to 2030 was investigated. Results: Age-adjusted incidence rates of breast cancer in Lopburi increased from 23.4 to 34.3 cases per 100,000 female population during the period, equivalent to an annual percentage change of 4.3% per year. Both period and cohort effects played a role in shaping the increase in incidence. Joinpoint projection suggested that incidence rates would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with incidence for women ages 50 years and above increasing at a higher rate than for women below the age of 50. Conclusions: The current situation where early detection measures are being promoted could increase detection rates of the disease. Preparation of sufficient budget for treatment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both in surgical and medical oncology, is essential for future medical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