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 hardening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4초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수화도와 온도 및 습도분포 해석 (Determination of Degree of Hydration, Temperature and Moisture Distributions in Early-age Concrete)

  • 차수원;오병환;이형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813-822
    • /
    • 2002
  • 본 연구에서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단면 내 수화도와 온도 및 습도분포를 구하는 3차원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수화도에 따른 재료 모델을 제시하고, 수치해석 절차에 관하여 정립하였다. 재료물성이 급격히 변화하는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거동을 모사하는 과정에서 온도 및 습도에 관련된 재료 물성이 수화도에 따라 결정하였다. 또한 수분거동 연구는 경화한(mature)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지만,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전달계수, 수분용량에 관한 연구는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보통콘크리트에서 무시되는 수분감소항은 고강도 및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건조(self-desiccation)와 관련된 자기수축(autogenous shrinkage)을 유발하고, 이는 구조물의 장기 내구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중요한 관심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온도 및 수축에 의한 응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강도 및 고성능 콘크리트를 포함한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온도 및 수분거동을 적절히 표현하는 수학적 재료 모델을 제시하고, 콘크리트의 단면 내 수화도와 온도 및 습도분포를 결정하는 3차원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치해석 결과는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CSA계 팽창재 및 수축 저감제의 혼입에 따른 UHPCC의 초기 수축 거동 평가 (Evaluating Early Age Shrinkage Behavior of Ultra High Performance Cementitious Composites (UHPCC) with CSA Expansive Admixture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 류두열;박정준;김성욱;윤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41-448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실리카퓸 및 수축 저감제, 팽창재, 고성능 감수제의 혼입을 변수로 한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체(UHPCC)의 초기 수축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학수축 및 자기수축 실험을 수행하고, 응결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UHPCC의 자기건조 시작 시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실리카퓸 및 수축 저감제는 초기 화학수축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성능 감수제는 시멘트와 배합수의 수화 반응을 지연시키고 화학수축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축 저감제와 팽창재를 조합하여 적용한 경우 약 49%의 자기수축 저감 효과를 보였으며, 팽창재는 경화를 촉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UHPCC는 다수의 섬유 혼입과 낮은 물-결합재비에 의해 초결 이전부터 자기건조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phological Studies of Developmental Stages of Oculotrema hippopotami (Monogenea: Polystomatidae) Infecting the Eye of Hippopotamus amphibius (Mammalia: Hippopotamidae) Using SEM and EDXA with Notes on Histopathology

  • Rubtsova, Nataliya Yu.;Heckmann, Richard A.;Smit, Willem J.;Luus-Powell, Wilmien J.;Halajian, Ali;Roux, Francois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463-475
    • /
    • 2018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histopathological effects of Oculotrema hippopotami Stunkard, 1924 infection in the eye of Hippopotamus amphibius, as well as to reveal new details of morphology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is monogenean and its comparison between 2 age stages of the parasite. This was done using both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EDXA) and histopathology. The presence of a mixture of different generations (adult and sub-adult) in one host individual is common for Oculotrema Stunkard, 1924 in contrast to Polystoma Zeder, 1800. New metrical and graphical information obtained for adults and sub-adults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Here we show the presence of genital papillae in adults, metrical data on the distal part of the vas deferens. SEM micrographs of sperm ejaculatory structures and information about the flattened dorsal side of the body provided for the first time. Histopathological changes, such as necrosis and hemorrhage in host tissues as a result of O. hippopotami attachment structures are described. Structural analysis of different body parts of O. hippopotami of both age groups are also included. We show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presence of hardening ions (S, P, Ca) in attachment structures (oral and haptor suckers) that increase with the age of the worm. The presence of sub-adults and adults on the same host, together with high levels of infection without high pathogenicity may account for Oculotrema being one of the most successful parasites among the Monogenea.

록볼트의 타설 직후의 강도발현 과정 및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rock reinforcement process and the effect of produced strength right after rockbolt installation)

  • 이토 준;박해균;김동완;김재권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89-198
    • /
    • 2003
  • 터널의 대단면화에 따라 각 암반 지보의 역할과 그 보강효과를 확인하고 보다 합리적인 지보구조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굴착직후 숏크리트에 의한 지보효과가 효과적이지 못한 터널에서는 지보 매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강도가 발생하지 않는 터널이 가장 불안한 상태에 있을 때의 지보구조는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약재령 (若材令)시 록볼트에 의한 보강효과를 볼트 그라우트재의 경화를 고려하여 모의암반에 의한 실험 및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시간의존에 따른 그라우트재의 압축강도와 재령, 부착강도와 재령, 부착강성과 재령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것으로 굴착직후의 록볼트의 암반보강 효과를 검토하고, 약재령시 록볼트의 모델화 및 물리정수를 산정하였다. 또 그라우트재의 효과를 가지지 않고도 해결되는 수압팽창형 프리쿠션볼트에 의한 굴착직후의 암반보강효과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슬립폼 시스템 상승속도 결정에 요구되는 콘크리트에서의 초기경화시간 결정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etting Time of Concrete in the Determination of Slip-up Speed for Slip-Form System)

  • 김희석;김영진;진원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A호
    • /
    • pp.295-302
    • /
    • 2011
  • 초장대교 콘크리트 고주탑 시공시에 사용되고 있는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속도를 결정하는 요소인 초기경화시간은 콘크리트가 거푸집에서 안전하게 빠져나올 수 있는 굳기를 갖게 되는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시간으로서, 배합 시 단위시멘트량 및 타설시 여러 현장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초기경화시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슬립폼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 및 콘크리트면의 유지관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초기경화시간 결정을 위한 콘크리트 경화정도를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더구나 슬립폼 공법은 연속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거푸집 탈형 전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연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초음파를 이용한 기법은 콘크리트면에 초음파를 투과시켜 투과된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는 방법으로 정량적이며 연속적으로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표면파 속도를 이용하는 기법은 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표면파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표면파 속도의 변화를 통해 콘크리트 경화정도를 알 수 있으며, 주탑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이 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면파 속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경화정도를 추정함으로서 슬립폼 시스템의 상승속도를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슬립폼 시스템 상승속도와 초기경화시간과의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표면파 진행문제의 수치해석 결과를 연속웨이블릿변환 하여 표면파 속도를 추정하였다. 이때 탄성파 발생위치와 두 개의 수신점 거리에 따른 추정된 표면파 속도의 정밀도를 조사하였으며, 추정된 표면파 속도와 탄성계수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변형률 및 열응력 이력 계측을 통한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컴플라이언스 함수 추정 (Identification of Compliance Function for Early-Age Concrete Based on Measured Strain & Thermal Stress Histories)

  • 오병환;신준호;최성철;차수원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662-669
    • /
    • 2003
  • 최근 들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및 사용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초기 재령 콘크리트의 거동에 대하여 실험 및 해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거동에 대하여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대부분의 실험이 실내 실험에 국한되어 실제 구조물 내에서 발생하는 거동에 대한 분석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구조물의 변형 및 열응력 이력의 계측을 통하여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응력 예측에 사용되는 컴플라이언스 함수를 추정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컴플라이언스 함수를 재하재령 및 재하기간에 따라 기존의 컴플라이언스 함수와 비교하였으며 기존의 함수는 초기 콘크리트의 변형을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안된 함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시간에 따른 응력을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응력은 기존의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된 응력이 실제 응력을 과대평가하는것과는 달리 계측된 응력과 거의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컴플라이언스 함수는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시간에 따른 응력을 합리적으로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분 첨가량을 달리한 백복령 가루 첨가 절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un Containing Baekbokryung (White Poria cocos Wolf) Powder Based on Water Content)

  • 이경희;박정은;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2-29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basic data on Jeolpyun added with Baekbokryung powder to aid the product's commercial production. Initially a sensory test was performed with consumers to the identify preferred amount of Baekbokryung powder to add according to ag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ose in their 20's to 40's preferred the 3% treatment, while those 50 and older preferred the 5% treatment. Next, the optimum water content of Jeolpyun was chosen by examining select quality characteristics in samples containing 20, 25, 30, 35 and 40% water while the amounts of added Baekbokryung powder were fixed at 3% and 5%, respectively, as based on the sensory panel results. For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lightness(L), redness(a) and yellowness(b) value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dded amount of water regardless of the Baekbokryung level. However, the ${\Delta}E$ values of the samples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long with the darkening of their surfaces. The samples with high moisture contents, such as the 35 and 40% treatments, maintained a relatively softer texture during 24 hr of storage as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Also noted was an initial slow increase in hardness up to 12 hr of storage, and then accelerated hardening until 24 hours of storage.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th 30% treatment received low scores: the 40% treatment was especially disliked in terms of mashing of the product due to the excess water. Overall, for a soft and moderately chewy product, the optimum Baekbokryung powder and moisture level for Jeolpyuns were suggested as 3 to 5% ranges and 35% respectively.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possible commercialization of a Jeolpyuns product that contains added Baekbokryung.

냉간압연접합법에 의해 제조된 AA1050/AA6061/AA1050 층상 복합판재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성질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A1050/AA6061/AA1050 Complex Sheet Fabricated by Roll Bonding Process)

  • 안무종;유효상;이성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388-392
    • /
    • 2016
  • A cold roll-bonding process was applied to fabricate an AA1050/AA6061/AA1050 laminate complex sheet. Two AA1050 and one AA6061 sheets of 2 mm thickness, 40 mm width and 300 mm length were stacked up after surface treatment that included degreasing and wire brushing; material was then reduced to a thickness of 3 mm by one-pass cold rolling. The laminate sheet bonded by the rolling was further reduced to 1.2 mm in thickness by conventional rolling. The rolling was performed at ambient temperature without lubricant using a 2-high mill with a roll diameter of 210 mm. The rolling speed was 5.0 m/sec. The AA1050/AA6061/AA1050 laminate complex sheet fabricated by roll bonding was then hardened by natural aging T4) and artificial aging (T6) treatments. The microstructures of the as-roll bonded and the age hardened Al complex sheets were revealed by optical microscope observation;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tensile testing and hardness testing. The strength of the as-roll bonded complex sheet was found to increase by 2.9 times compared to that value of the starting material. In addition, the hardness of the complex sheets increased with cold rolling for AA1050 and age-hardening treatment for AA6061, respectively. After heat treatment, both AA1050 and AA6061 showed typical recrystallization structures in which the grains were equiaxed; however, the grain size was smaller in AA6061 than in AA1050.

Microstructure of Non-Sintered Inorganic Binder using Phosphogypsum and Waste Lime as Activator

  • Kim, Ji-Hoon;An, Yang-Jin;Mun, Kyung-Ju;Hyung, Won-Gil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5-312
    • /
    • 2018
  •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a non-sintered binder (NSB) which does not require a sintering process by using the industrial by-products Phosphogypsum (PG), Waste Lime (WL) a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BFS). In this report, through SEM analysis of the NSB paste hardening body, micropore analysis of paste using the mercury press-in method and microstructure observation were executed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formation of the pore structure and the distribution of pore volume on strength,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1) Pore structure of NSB paste of early age is influenced by hydrate generation amount by GBFS and activator. 2) Through observing the internal microstructure of NSB binder paste, it was found that the strength expression at early age due to hydration reaction was achieved with a large amount of ettringite serving as the frame with C-S-H gel generated at the same time. It was confirmed that C-S-H gel wrapped around ettringite, and as time passed, the amount generated continually increased, and C-S-H gel tightly filled the pores of hardened paste, forming a dense network-type web structure. 3) For NSB-type cement, the degree of formation of gel pores below $10{\mu}m$ had a greater influence on strength improvement than simple pore reduction by charging capillary pores, and the pore size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strength was micropores with diameter below $10{\mu}m$.

Reassessment of viscoelastic response i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

  • Miranda, Marcela P.;Tamayo, Jorge L.P.;Morsch, Inacio B.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1권5호
    • /
    • pp.617-631
    • /
    • 2022
  • In this paper the viscoelastic responses of four experimental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 subjected to highly vari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investigated by means of a finite element (FE) model. Concrete specimens submitted to stepped stress changes are also evaluated to validate the current formulations. Here, two well-known approaches commonly used to solve the viscoelastic constitutive relationship for concrete are employed. The first approach directly solves the integral-type form of the constitutive equation at the macroscopic level, in which aging is included by updating material properties. The second approach is postulated from a rate-type law based on an age-independent Generalized Kelvin rheological model together with Solidification Theory, using a micromechanical based approach. Thus, conceptually both approaches include concrete hardening in two different manners. The aim of this work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umerical prediction in terms of long-term deflections of the studied specimens according to both approaches. To accomplish this goal, the performance of several well-known model codes for concrete creep and shrinkage such as ACI 209, CEB-MC90, CEB-MC99, B3, GL 2000 and FIB-2010 are evaluated by means of statistical bias indicators. It is shown that both approaches with minor differences acceptably match the long-term experimental deflection and are able to capture complex oscillatory responses due to variabl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Nevertheless, the use of an age-independent scheme as proposed by Solidification Theory may be computationally more advantage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