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latoxin M1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2초

Vitamin C가 방사선과 Aflatoxin $B_1$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중 Aflatoxin $B_1$ 잔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tamin C on Residual Aflatoxin $B_1$ in Rat Sera Treated with Radiation and Aflatoxin $B_1$)

  • 정도영;김한수;강진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74-382
    • /
    • 2011
  • Atlatoxin은 Aspergillus속 곰팡이로부터 생성되며 사람에게 있어서 간독성, 및 간암을 유발하는 잠재력을 가진 대표적 곰팡이 독소이며, 생체에 섭취된 $AFB_1$은 여러 가지 대사경로를 거쳐 동물 조직 내에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사선은 수술, 항암약물요법과 더불어 임상 시 중요한 치료방법이나 정상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와 과산화라디칼($OH{\bullet}$)을 생성하여 세포막의 불포화 지방산을 지질 과산화물로 변성시켜 세포 산화적 손상을 일으킨다. 본 연구는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AFB_1$에 노출되기 쉽고 이들 중 일부는 위, 간, 담도 암과 같은 상복부 암으로 진단되어 간을 포함하는 부위에 대해 방사선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경우를 생각하여 흰쥐에게 $AFB_1$을 투여하거나 방사선과 $AFB_1$을 병합처리하여 vitamin C가 흰쥐의 혈청중의 $AFB_1$ 잔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X-ray 조사는 실험기간 내 단 1회로 실험사육기간 첫 일에 조사 하였고 X-ray 조사 후 vitamin C를 투여하였으며 vitamin C 투여 1시간 후 $AFB_1$을 투여하였다. vitamin C와 AFB은 모두 복강투여로 실험 사육 첫 일부터 1회 시작하여 3일에 한번씩, 5회 반복 투였으며 실험동물 사육기간은 총 15일로 하였다. 실험이 끝난 마우스 혈청 중 $AFB_1$은 indirect competitive ELISA와 HPLC법으로 측정 후 비교하였다. ELISA 법에 의한 흰쥐의 혈청 중 $AFB_1$ 의 함량은 ELISA 실험에서 AFB1 단독 투여한 2군에서는 $5.17{\pm}0.34$ ng/mL 였으며, 2군에 vitamin C를 투여한 3군에서는 $3.23{\pm}0.76$ ng/mL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X선 조사와 $AFB_1$ 병합처리한 4군의 혈청 중 $AFB_1$ 함량은 $5.62{\pm}0.44$ ng/mL 이었으며 여기에 vitamin C를 함께 투여 한 5군에서는 $4.84{\pm}0.36$ ng/mL로 약간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HPLC 결과에서도 ELISA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AFB_1$ 단독 투여군(2군)과 X선 조사와 $AFB_1$ 병합처리군(4군)에서의 혈청 중 $AFB_1$ 함량은 각각 $4.82{\pm}0.17$ ng/mL, $5.36{\pm}0.42$ ng/mL 이었으나 여기에 vitamin C를 함께 투여한 3군과 5군에서는 각각 $2.77{\pm}0.23$ ng/mL, $4.33{\pm}0.14$ ng/mL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 vitamin C가 흰쥐의 혈청 중 $AFB_1$ 잔류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LISA 방법을 이용한 요중 아플라톡신 M1 측정 (Application of Competitive ELISA Method for Estimation of Urinary Aflatoxin M1 Level)

  • 김용대;김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6-310
    • /
    • 2013
  • 본 연구는 요중 아플라톡신 M1 (AFM1)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competitive ELISA 방법의 특성을 HPLC-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방법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ELISA 방법에서의 AFM1의 회수율은 105% (73-124%)였고 측정의 변이계수는 6.85%로 나타났다. ELISA 방법에서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20 pg/ml과 0.62 pg/ml로 조사되었으며, 두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요중 AFM1 농도는 상관계수 0.96의 매우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그러나, 이렇게 높은 상관성에도 불구하고, ELISA 방법을 이용한 요중 AFM1의 농도는 HPLC-FLD 방법으로 측정한 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ELISA를 이용한 방법이 단시간에 많은 시료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그 결과는 HPLC-FLD 방법을 이용해서 얻은 회귀식을 이용하여 보정을 한 후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약재가 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iental Herbs on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tus R-176)

  • 구성회;이용욱;정덕화;전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7
    • /
    • 1988
  • 한의원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몇 종의 한약재를 구입하여 이들을 chloroform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조제한 다음 공시균(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목단 추출물 첨가군에서 가장 현저하게 공시균의 생육이 저해되었고 그 외의 첨가 군에서도 강황, 봉출, 향부자, 백작양, 백출의 순으로 저해되었다. 2. Aflatoxin 생성은 백출과 강황 추출물 첨가군에서만 저해되었고, 나머지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증가되거나 효과가 적었다. 3. 백출 추출물 0.2$m\ell$ 첨가 시 3일째부터 균체 생성을 시작하여 9일째에 0.953/30ml이었고 aflatoxin 함량은 792${\mu}\ell$으로서 대조군에 비해 약 50%가 감소되었다. 균체 g당 aflatoxin 함량은 992${\mu}\ell$으로서 대조군의 1,467${\mu}\ell$에 비해 역시 크게 감소되었으며 NADPH oxidase 활성은 대조군 보다 높아 백출추출물이 공시균의 생성과 aflatoxin 생성에 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면역분석기법을 이용한 서부경남 시판 메주 및 된장에서의 Aflatoxin 생성균 검색 (The Screening of Aflatoxin Producing Fungi from Commercial Meju and Soy Bean Paste in Western Gyeongnam by Immunoassay)

  • 박정현;강성조;오상석;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74-279
    • /
    • 2001
  • 일반적으로 메주나 된장 등의 한국 전통발효식품에는 Aspergillus aryzae나 A. nigar 등과 같은 곰팡이독소를 생성하지 않는 균이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때로는 A. flavus나 A. paraciticus와 같은 유해곰팡이가 오염되어 발효나 저장 중에 aflatoxin이 축적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이들 전통발효식품에서의 aflatoxin 생성균의 검색이 이들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서부경남 시판메주 및 된장에서 aflatoxin 생성균을 검색하였다. 시료로는 서부경남 9개 지역으로부터 메주 10개와 된장 20개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시료로부터 메주에서는 24개 그리고 된장에서는 22개의 Aspergillus속 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들은 SLS 배지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15일간 배양한 다음, 배양액을 ethyl acetate로 추출하고, DC-ELISA법으로 배양물중의 AFB$_1$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메주로부터 분리된 균주 중에는 6균주가, 된장에서 분리된 균주에는 2균주가 AFB$_1$을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메주에서 분리된 6균주의 AFB1 생성량은 평균 54.6$\pm$38.7ng/ml 이었고, 된장에서 분리한 2균주는 평균 11.1 $\pm$ 8.6 ng/ml 의 AFB$_1$을 생산하였다. 그 중 분리균 No. M-5-4는 98.26 ng/ml의 AFB$_1$을 생산하여 가장 높은 생성능을 보였다. 아울러 TLC에 의해 aflatoxin생성능을 재확인 한 결과 DC-ELISA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식품의 안전성과 한국에서의 전통발효식품산업에의 HACCP 시스템 도입을 위해 발효식품에서의 유해곰팡이독소 생성균의 검색은 필요하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 PDF

Protective Effects of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against Aflatoxin B1 in Broiler Chicks

  • Chand, N.;Muhammad, Din;Durrani, F.R.;Qureshi, M. Subhan;Ullah, Sahibzad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1011-1018
    • /
    • 2011
  • Aflatoxin-contaminated feed cause mortality, suppression of the immune system, reduced growth rates and losses in feed efficiency. This research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ory and growth promoting effect of milk thistle as feed additive against aflatoxin $B_1$ in broiler chicks at NWFP Agricultural University Peshawar, Pakistan. Two hundred and forty (240) day old broilers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major groups AfF, aflatoxin free feed; Aflatoxin $B_1$ was present in the feed at the levels of 80-520 ${\mu}g/kg$ of the feed in the remaining three groups. Aflatoxin contaminated feed was provided for 5 weeks. Group AfB was supplemented with toxin binder "Mycoad" at 3 g/kg of feed and group AfT was supplemented with milk thistle at10 g/kg of feed. Each group was further sub divided into two sub-groups, vaccinated against ND (Newcastle disease), IB (Infectious bronchitis) and IBD (Infectious bursal diseases) according to recommended schedule of vaccination or non vaccinated. Each sub group carried three replicates with 10 chicks per replicate. Chicks were reared in pens in an open sided house. Supplementary heat was provided to all the chicks during brooding period. Mean body weight gain and dressing percentag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F, followed by AfT, AfB and Af. Weight gain and dressing percentage was the same in group AfB and AfT, while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f. Feed intake, breast, thigh and leg weight were found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F, followed by AfB, AfT and Af. Significantly lower (better) FCR value was recorded in group AfT. Water intak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T and AfF as compared to other groups. Mortal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 Mean bursa and thymus weights were found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F, AfB and AfT followed by Af, while higher spleen weight was recorded in group AfT. Mean antibody titer against ND, IB and IB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T, as compared to other groups. It is concluded that milk thistle at 10 g/kg of feed could effectively be utilized as immunostimulant and growth promotant in the presence of immunosuppressant aflatoxin $B_1$ in the feed.

Occurrence of Mycotoxins and Toxigenic Fungi in Groundnut (Arachis hypogaea L.) Seeds in Andhra Pradesh, India

  • Kishore, G.Krishna;Pande, S.;Manjula, K.;Rao, J.Narayana;Thomas, D.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04-209
    • /
    • 2002
  • Andhra Pradesh is one of the major groundnut growing states in India. A total of 182 groundnut samples collected at harvesting from farmers fields in five districts, namely; Anantapur, Chittoor, Cuddapah, Kurnool, and Mahaboobnagar, during 1999 and 2000 rainy seasons were evaluated for the presence of mycotoxins (both aflatoxins and zearalenone) and toxigenic fungi. In samples collected from each district, average seed infection by Aspergillus flavus and Fusarium spp. was 11.9-18.3% and 5.6-12.8% in 1999, and 9.5-14.1% and 9.4-11.9% in 2000, respectively. Among the samples collected, 20.3% and 16.5% were contaminated with aflatoxin in 1999 and 2000, respectively, and in 11.4% and 8.7% of the seed samples collected in two seasons, the aflatoxin content was >30 $\mu\textrm{g}$/kg. An alarming aflatoxin content of 851.9$\mu\textrm{g}$/kg was found in samples collected from Anantapur district during the rainy season in 1999. Zearalenone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collected in 1999, while 2 out of 103 samples collected in 2000 were contaminated with 35.1 and 129.4$\mu\textrm{g}$/kg. Under in vitro cultural conditions, 35.8% of the 173 A. flavus isolates collected from the groundnut samples produced aflatoxins at concentrations of 94.3-1598.6 ng/$\textrm{m}{\ell}$ and 3% of the 266 Fusarium spp. isolates produced 98.1-847.3 $\mu\textrm{g}$/g of zearalenone. Th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a more systematic and regular monitoring of pre-harvest aflatoxin contamination.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한 국내산 된장과 고추장 중 Aflatoxin B1의 오염도 조사 (Survey of Aflatoxin B1 in Domestic Doenjang and Kochujang Determined by Enzyme Linked-Immunosorbent Assay)

  • 배수익;곽보연;박윤경;김영호;손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5-100
    • /
    • 2003
  • 된장과 고추장에 대해 cdELISA에 의한 $AFB_1$의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래식 및 개량식 된장과 고추자을 수거하여 $AFB_1$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표준곡선을 작성하였을 때, 이의 검출 한계는 0.2 ng/m(ppb)이었다. 된장의 Spike test 후 회수율은 1~100 ng/g 범위에서 평균 71.5%로 나타나 이 범위에서 cdELISA에 의한 $AFB_1$의 측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로부터 된장 및 고추장에서 cdELISA를 통한 $AFB_1$의 분석 방법을 확립하였다. 된장 및 고추장 시료의 $AFB_1$의 오염도는 총 30종의 고추장 시료에서는 $AFB_1$이 검출되지 않았고 총 30종의 된장 시료 중 6종에서 1.0~6.0 ng/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는 우리 나라의 허용 기준인 10 ng/g(ppb) 이하였다.

국내산 우유 및 유제품에서의 Aflatoxin $M_1$오염수준 및 Monte-Carlo Simulation을 이용한 발생 추정 (Occurrence and Estimation Using Monte-Carlo Simulation of Aflatoxin $M_1$in Domestic Cow’s Milk and Milk Products)

  • 박경진;이미영;노우섭;천석조;심추창;김창남;신은하;손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0-205
    • /
    • 2001
  • 시중 유통중인 유 및 유제품의 AFM$_1$의 오염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우유의 경우는 원유(0.083 ppb)에 비해 시유의 AFM$_1$농도(0.047 ppb)가 낮게 나타났으나 이는 살균의 효과라기보다 집유 과정에서의 희석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탈지분유의 경우 AFM$_1$의 농도가 0.24 ppd로 높게 나타났으나 섭취시 희석되므로 우유와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아이스크림제품의 경우 AFM$_1$오염농도는 0.020 pub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미국 FDA의 허용기준치인 0.5 ppb보다 월등히 낮은 수치로 나타난 것이다. 국내 시판 우유 중 AFM$_1$오염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의 결과와 기존의 국내 연구 결과를 토대로 Monte-Carlo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다. 불확실성과 다양성을 고려하기 위해 fitting 절차를 거쳤으며, 시판 우유 중 AFM$_1$의 발생정도(prevalence)를 추정하기 위해 beta distribution을, 우유에서의 AFM$_1$오염농도(concentration)를 추정하기 위해 triangular distribution을 적용한 결과, 국내 시판 우유에서 AFM$_1$의 발생 가능한 오염수준(contamination level)은 최소(5% percentile) 0.0214, 평균(50% percentile) 0.0946 및 최대(95% percentile) 0.1888 ppb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미국의 AFM$_1$허용기준치인 0.5 ppb보다는 상당히 낮은 수준이지만 시판우유의 80.4%근 유럽의 기준인 0.05ppb보다 높은 수준으로 예측되어 유럽의 허용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Immunochromatography Strip-Test Using Nanocolloidal Gold-Antibody Probe for the Rapid Detection of Aflatoxin B1 in Grain and Feed Samples

  • Shim, Won-Bo;Yang, Zheng-You;Kim, Jung-Sook;Kim, Ji-Young;Kang, Sung-Jo;Woo, Gun-Jo;Chung, Young-Chul;Eremin, Sergei A.;Chung, Duck-Hw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0호
    • /
    • pp.1629-1637
    • /
    • 2007
  • An immunochromatography (ICG) strip test using a nanocolloidal gold-antibody probe was developed and optimized for the rapid detection of aflatoxin B1 (AFB1). A monoclonal antibody specific to AFB1 was produced from the cloned hybridoma cell (AF78), coupled with nanocolloidal gold, and distributed on the conjugate pad of the ICG strip test. The visual detection limit of the ICG strip test was 0.5 ng/ml, and this method showed a cross-reaction to aflatoxin B2, G1, and G2. In total, 172 grain and feed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both the ICG strip test and HPLC. The results of the ICG strip test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by HPLC.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CG strip test has a potential use as a rapid and cost-effective screening tool for the determination of AFB1 in real samples and could be applied to the preliminary screening of mycotoxin in food and agricultural products, generating results within 15 min without complicated steps.

A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Aflatoxin-producing Fungus Using an Optimiz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Bintvihok, Anong;Treebonmuang, Supitchaya;Srisakwattana, Kitiya;Nuanchun, Wisut;Patthanachai, Koranis;Usawang, Sungwor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81-87
    • /
    • 2016
  • Aflatoxin B1 (AFB1) is produced by Aspergillus flavus growing in feedstuffs. Early detection of maize contamination by aflatoxigenic fungi is advantageous since aflatoxins exert adverse health effects. In this study,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an optimized conventional PCR for AFB1 detection and a rapid, sensitive and simple screening Real-time PCR (qPCR) with SYBR Green and two pairs of primers targeting the aflR genes which involved aflatoxin biosynthesis. AFB1 contaminated maize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toxin concentration.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ose samples. The target genes for A. flavus were tested by conventional PCR and the PCR products were analyzed by electrophoresis. A conventional PCR was carried out as nested PCR to verify the gene amplicon sizes. PCR-RFLP patterns, obtained with Hinc II and Pvu II enzyme analysis showed the differences to distinguish aflatoxin-producing fungi. However, they are not quantitative and need a separation of the products on gel and their visualization under UV light. On the other hand, qPCR facilitates the monitoring of the reaction as it progresses. It does not require post-PCR handling, which reduces the risk of cross-contamination and handling errors. It results in a much faster throughout. We found that the optimal primer annealing temperature was $65^{\circ}C$. The optimized template and primer concentration were $1.5{\mu}L\;(50ng/{\mu}L)$ and $3{\mu}L\;(10{\mu}M/{\mu}L)$ respectively. SYBR Green qPCR of four genes demonstrated amplification curves and melting peaks for tub1, afIM, afIR, and afID genes are at $88.0^{\circ}C$, $87.5^{\circ}C$, $83.5^{\circ}C$, and $89.5^{\circ}C$ respectively.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four primers had elevated annealing temperatures, nevertheless it is desirable since it enhances the DNA binding specificity of the dye. New qPCR protocol could be employed for the determination of aflatoxin content in feedstuff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