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latoxin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28초

식품중(食品中) 유독성(有毒性) 대사산물(代謝産物)에 관(關)하여(제(第) 1 보(報)) 수종(數種)의 한국(韓國) 대두발효식품중(大豆醱酵食品中)에 Aflatoxin 유무(有無)의 검색(檢索)에 관(關)하여 (Studies on Toxic Metabolites Occurring in Foods(I) Screen test of Aflatoxin in Some Korean Fermented Soybean Foods)

  • 이태영;이상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8-84
    • /
    • 1969
  • An attempt has been made to investigate the possible occurrence of aflatoxins, a group of micotoxin which are toxic metabolites produced by Aspergillus flavus, and aflatoxin like substances in fung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such as meju and soybean paste. Chloroform extracts from 15 samples which has been defated with petroleum ether are subjected to separations with thin-layer chromatography on silica gel washed with methanol prior to film coating, improves the chromatographic separation and ultraviolet absorption spectral identification. In addition to fluorescencing spot having an Rf value which is same as aflatoxin $B_1$, many of the fluorescencing spots have been occurred in every sample examined. Each fluorescencing spot is scratched and the ethanol extracts are subjected to further separation with thin-layer chromatography. Each fluorescence substance is eluted with ultra violet transparent absolute ethanol and the ultraviolet absorption spectra are checked. None of the absorption curve of eluates shsow accordance with the curve of aflatoxin. 2, 4-Dinitrophenyl hydrazine reagent, Tollen's reagent and ninhydrin reagent are applied on the chromatogram- The data show that aflatoxin is not present in any of the fungal preparations examined.

  • PDF

Aflatoxin M1 in Pasteurized Market Milk in Korea

  • Hwang, Kyu-Choon;Hwang, Joo-Yea;Kim, Hyoun-Wook;Oh, Mi-Hw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76-378
    • /
    • 2012
  • Aflatoxin M1, ingested as aflatoxin B1 via contaminated feedstuff and later converted into, is a major problematic target for milk safety control among the aflatoxin class. Korean government has controlled level of AFM1 in milk at 500 ppt as maximum residue level (MRL), and more recently, government also publicized the proposal for more strict control on fungal toxins about infant and baby foods. In this study the levels of Aflatoxin M1 (AFM1) of 42 marketed milk samples were determined wit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o evaluate the status on the contamination of Aflatoxin M1. The evaluated ELISA performances of limit of detection (LOD) and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were 5 pg/mL (ppt) and 49 ppt, respectively. In all 42 samples, AFM1 appeared above the 5 ppt, with the average of 21 ppt and the range of up to 90 ppt. Only 3 (7%) of samples showed the level of contamination above the EU MRL (50 ppt). Although there was incidence of higher level of contamination compared with previous reports, the result of this study requires more intensive study to control of AFM1 in milk and infant foods.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에 의한 아플라톡신의 분해 (Aflatoxin Degradation by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

  • 양진오;이성택;김영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82-186
    • /
    • 1988
  • A. flavus ATTC 15517를 A. awamori var. fumeus와 함께 혼합배양 하였을 때 단독배양과 비교하여 aflatoxin의 생성시기는 변하지 않았으나 최대생산량은 $B_1$$97\;{\mu}g/50ml$$G_1$$21\;{\mu}g/50ml$로서, 이는 각각 98% 및 99% 감소한 것이었다. 이는 A. awamori var. fumeus가 균사 성장중 aflatoxin을 분해하는 물질을 배지로 분비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물질은 유안($0{\sim}80%)$포화)에 의하여 침전되었다.

  • PDF

한약재가 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iental Herbs on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tus R-176)

  • 구성회;이용욱;정덕화;전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9-97
    • /
    • 1988
  • 한의원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몇 종의 한약재를 구입하여 이들을 chloroform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조제한 다음 공시균(Aspergillus parasiticus R-716)의 생육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목단 추출물 첨가군에서 가장 현저하게 공시균의 생육이 저해되었고 그 외의 첨가 군에서도 강황, 봉출, 향부자, 백작양, 백출의 순으로 저해되었다. 2. Aflatoxin 생성은 백출과 강황 추출물 첨가군에서만 저해되었고, 나머지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증가되거나 효과가 적었다. 3. 백출 추출물 0.2$m\ell$ 첨가 시 3일째부터 균체 생성을 시작하여 9일째에 0.953/30ml이었고 aflatoxin 함량은 792${\mu}\ell$으로서 대조군에 비해 약 50%가 감소되었다. 균체 g당 aflatoxin 함량은 992${\mu}\ell$으로서 대조군의 1,467${\mu}\ell$에 비해 역시 크게 감소되었으며 NADPH oxidase 활성은 대조군 보다 높아 백출추출물이 공시균의 생성과 aflatoxin 생성에 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산균과 그 발효유가 Asperigllus parasiticus의 생육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obacillus casei and a Fermented Milk on the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illus Parasiticus)

  • 김종규;이용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4-170
    • /
    • 1998
  • 발효식품이 유해곰팡이에 의한 발암물질(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산균 및 유산균 발효유가 Asperillus Parasiticus ATCC 15517의 성장과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발효유를 일정 농도별로 첨가한 YES 배지에서 Asperillus Parasiticus를 배양말기에 대조군에 비하여 건조 균체량, 배양물의 pH, 그리고 alftoxin 생성량 등이 낮게 나타났다(p<0.05). Aflatoxin B1은 48.6~58.1% 각 감소되었으며 G1은 29.8~34.2%가 감소되었다. 이 발효유의 발효에 사용된 유산간균(lactobacillus casei)과 Asperillus Parasiticus를 변형 APT 배지에 혼합 배양한 결과 Asperillus Parasiticus 단독 배양의 경우에 비하여 균체량이 배양 5일째까지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나 배양 말기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배양 말기에 단독 배양의 경우보다 pH가 훨씬 감소되고 (p<0.05) aflatoxin의 생성량도 감소되었다. 이로부터 발효유는 유해곰팡이인 Asperillus Parasiticus의 성장과 aflatoxin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발효에 관여한 미생물의 경쟁뿐만 뿐만아니라 유산균의 대사산물에 의한 영향으로 보여진다.

  • PDF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한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Aflatoxin 생성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 in Various Varieties of Soybeans)

  • 박건영;이규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1
    • /
    • 1985
  • 한국산 6종의 대두품종 봉의, 황금, 장백, 단엽, 장엽 및 남천을 선정하고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의 접종량을 다르게 하여($10^2$$10^6$) aflatoxin 생성을 검토하였다. 균접종량이 적었을 때$(10^2)$ 대두품종간의 AF 생성량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남천은 봉의의 7배 정도의 AF $B_1$을 생성하였으며, 봉의와 황금이 가장 적은 량의 $AF\;B_1$ (p<0.05)을 생성하였다. 한편 장엽은 가장 많은 양의 $AF\;G_1$ (p<0.05)을 생성하였고, 남천과 장엽은 $AF\;B_1+G_1$을 가장 많이 생성하는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비교군으로 쓰인 쌀보다 70배 정도의 AF을 생성하였다. 소립(小粒) 대두인 단엽과 장백은 $AF\;B_1/G_1$율이 높은 반면 대립(大粒) 대두인 봉의 황금 및 장엽은 낮은 $AF\;B_1/G_1$율을 나타내었다. 균 접종량이 많았을 때는$(10^6)$ $10^2$ 때보다 소량의 AF이 생성되었는데 남천이 가장 적은 량의 $AF\;B_1$을 생성하였으나 황금은 가장 많은 량의 $AF\;B_1$을 생성하였다(p<0.05). $AF\;G_1$에 있어서는 황금을 제외하고는 생성량에 있어 품종간의 차이가 없었고 이 경우 AF 생성은 비교군 쌀에서 보다 적은 량이 생성되었다.

  • PDF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가 생성하는 효소의 Aflatoxin 분해특성 (Aflatoxin Degradation by an Enzyme from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

  • 이찬;이성택;김영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0-394
    • /
    • 1992
  •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가 균체 밖으로 생산하느 aflatoxin 분해인자의 효소적 특성을 조사 하기위하여 그 배양 여액을 aflatoxin B1과 반응시킨 결과 1시간 동안 60의 기질을 분해하였다. 반응속도는 초기에 가장 높았으며 시간이 지날 수록 낮아졌다. 반응속도와 기질농도의 관계는 이중역수 식에서 직선을 보이며 겉보기 $K_m$$10.2{\mu}M$로 측정되었다. 최적온도 및 최적 pH는 각각 $30^{\circ}C$ 및 5로 나타났다. 반응은 분자상 산소를 요구하며 $Co^{2+}$에 의해서 촉진되나 $Fe^{2+}$, $Ca^{2+}$, $Zn^{2+}$, $Cu^{2+}$, 및 $Ba^{2+}$ 등의 이온에 의하여 저해되었다. 또한 KCN과 metyrapone에 의하여 저해되나, $NaIO_4$, cytochrome C 및 NADPH에 의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해조류의 항돌연변이 효과 (Desmutagenic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Seaweeds)

  • 유병호;지봉호;김동석;하미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02-508
    • /
    • 1986
  • 해조류중 미역, 다시마, 곤피, 청각, 파래 및 김을 물, 메타놀, 핵산 및 에칠에테르로 추출한 엑스분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Salmonella typhimurium/microsome 계로 실험하였다. 물로 추출한 엑스분은 TrP-P-2와 aflatoxin $B_1$에 다소 효과가 있었고, 메타놀의 엑스분중 다시마, 곰피는 Trp-P-2에 효과가 있었으며, 메타놀 엑스분을 plate 당 1.0mg, 2.0mg 함유하는 모든 시료는 MeIQ와 aflatoxin $B_1$에 효과가 있었다. 에칠 에테르의 엑스분은 곰피와 청각이 매우 효과가 있었고, 특히 6종류의 해조류중 에칠 에테르의 엑스븐은 MeIQ와 aflatoxin $B_1$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 PDF

Method validation for quantitative analyzing aflatoxin productivity in Aspergillus sp. isolated from soybean paste

  • SeongEui Yoo;WooSoo Jeong;Soo-Hwan Yeo;So-Young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8-41
    • /
    • 2023
  • Non-aflatoxigenic Aspergillus oryzae and aflatoxigenic A. flavus cannot be clearly identified by partial sequencing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18S ribosomal ribonucleic acid (18S rRNA) region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ccuracy among three aflatoxin detection methods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and to select the non-aflatoxigenic Aspergillus sp. isolated from soybean paste. All analytical methods were suitabl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Codex Alimentarius FAO-WHO (CODEX) or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UPLC exhibited the best of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Based on UPLC, HPLC, and the ELISA kit assay, the P5 and P7 strains isolated from soybean paste had 1,663.49, 1,468.12, and >20 ㎍/kg and 1,470.08, 1,056.73, and >20 ㎍/kg, respectively, detected and re-identified as A. flavus. In contrast, the P3 and P4 strains (A. oryzae), which were detected below the MFDS standards in all assays, were confirmed as non-aflatoxigenic fungi. Among the methods evaluat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aflatoxin, UPLC and HPLC are superior in terms of accuracy, and the ELISA kit rapidly detects low concentrations of aflatoxin.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ny Aspergillus sp. isolated for use as a fermentation starter should be analyzed for potential aflatoxin production using UPLC and HPLC for accurate quantitative analysis or ELISA for the rapid detection of low-level concentrations of aflatoxin.

HACCP 제도에 의한 우유의 아플라톡신 M1의 저감화 (Decrease of Aflatoxin M1 Level in Raw Cow’s Milk using the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 System)

  • 김기환;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0-197
    • /
    • 2016
  • 원유중의 아플라톡신 M1의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일부 지역 원유 중, 일반수준으로 관리한 지역의 집합유, HACCP으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농가의 집합유, 아플라톡신 M1 저감화 배합사료를 제공한 지역의 집합유를 검체로 하여 1년간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을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인 관리를 통해 집유된 집합유의 평균검출농도는 0.023±0.005 μg/l, HACCP 지정관리를 통해 집유된 집합유의 평균검출농도는 0.017±0.004 μg/l 그리고 저감화배합사료 제공을 통해 집유된 집합유의 평균검출농도는 0.013±0.003 μg/l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3개 지역 모두 한국이나 미국 그리고 유럽에서 정한 아플라톡신 M1의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저감화 배합사료를 제공한 농가의 아플라톡신 M1수준이 가장 적게 검출되었다. 아플라톡신 M1의 특성으로서 사료공급상태에 따른 평균검출농도가 계절별로 차이가 나는 경향을 보이며, 3가지 실험군에서 공통적으로 여름철에 비해 겨울철 아플라톡신 M1 수준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이는 겨울철 사료의 관리미흡과 더불어 사료 보관기간이 늘어나며 일반배합사료의 섭취량이 증가되고 장기화됨에 따라, 젖소에서의 아플라톡신 B1의 양이 농축되어 결과적으로 아플라톡신 M1 수준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을 낮출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는 곰팡이 독소를 흡착하게 하는 배합사료를 공급하여 원유로 아플라톡신 M1이 전이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일반수준으로 관리한 농가의 집합유에 비해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을 낮출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HACCP 지정관리를 통한 농가 및 사료의 관리라 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실질적인 아플라톡신 M1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제도적인 지원과 낙농업계의 관리 및 농가의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