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schynomene indica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3초

말레이지아 세랑고지역 부식질토양경지 매립잡초종자에 대한 정량생태분석 (Quantitative Assessments and Spatial Pattern Analyses of Weed Seed Banks of Arable Peat in Selangor, Malaysia)

  • 바키 빈 바카;권용웅;훼니 옹 뉵 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9-280
    • /
    • 1997
  • 말레이지아 Selangor지역(地域)의 부식질 경지토양(耕地土壤)의 토심(土深) 0-25cm에 매립(埋立)되어있는 잡초종자(雜草種子)들의 종류(種類)와 분포특성(分布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였으며, 이를 지상(地上)에 자라고 있는 잡초식생조사결과(雜草植生調査結果)와 관련시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경지토양(耕地土壤)에 매립(埋立)되어 있는 잡초종자(雜草種子)는 14과(科)에 속하는 45종(種)의 잡초(雜草)가 식별되었으며, 그중 24종(種)이 광엽잡초(廣葉雜草)이었고, 화본과(禾本科) 12종(種), 사초과(莎草科) 9종(種)으로 지상(地上)에 자라고 있던 19과(科) 31종(種)과는 다소 달랐다. 2.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는 $8.14{\times}10^7$/ha 토심(土深)25cm 수준이었으며, 초종별(草種別)로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에 큰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에서 광엽잡초(廣葉雜草) 53.2%,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31.2%, 사초과잡초(莎草科雜草) 15.6%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3.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종자수(種子數)ha 토심(土深) 25cm)가 많은 10 순위(順位) 초종(草種)은 Cleome rutidesperma($2.347{\times}10^7$), Heteropogon contortus($5.64{\times}10^6$), Paspalum commersonii(4$4.64{\times}10^6$, Amaranthus gracilis ($3.60{\times}10^6$), Bracharia reptans($3.30{\times}10^6$), Fimbrysylis miliacea($2.64{\times}10^6$), Eleusine indica ($2.32{\times}10^6$, Murdannia nudiflora($2.08{\times}10^6$, Ageratum conyzoides($1.92{\times}10^6$), 및 Mimosa pudica($1.92{\times}10^6$)이었다. 4.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의 토심별(土深別) 분포(分布)는 표토(表土) 0-10cm에 69%, 10-15cm에 17.9%, 15-20cm에 8.6%, 20-25cm에 4.0%로서 표층(表層)에 현저히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5. 토중(土中) 매립종자수면(埋立種子數面)에서의 우점종(優點種)은 지면생육중(地面生育中)의 우점도(優點度)와 달라서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가 제일 많은 C. rutidesperma는 지상(地上)에서 우점도(優點度) 6순위(順位) 이었고 지상(地上)에서 우점도(優點度) 2, 4순위(順位)이었던 M. nudiflora와 A. conyzoides가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에서 각각 8, 9순위(順位)이었으며 그 밖에는 우점도(優點度) 10순위내(順位內)에서 서로 관련되지 않았다. 6. 매립종자(埋立種子)들의 지리적(地理的) 위치분포(位置分布)에 관하여 분산/평균비(分散)/平均比), Lloyd의 평균군집도(平均群集度), Lloyd의 집중성(集中性) 분석(分析)을 한 결과 평균군집도(平均群集度)가 Cyperus iria 등 5초종(草種)은 1.244수준인데 대하여 Cleome rutidosperma는 9,607.7이었고, 우점도(優點度)는 Aeschynomene indica의 5.1 에서 Bracharia reptans의 188.5까지 초종별(草種別)로 다양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 PDF

경기도 오산천 주변의 잡초군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Weed Vegetation around the Osancheon Creek in Kyonggi Province)

  • 안영희;송종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2호
    • /
    • pp.1207-1213
    • /
    • 2003
  • 오산천은 경기도 남부지역에 위치하는 대표적인 도시 하천이다. 경기도 수원시를 비롯하여 화성군, 오산시 등의 도시 및 농촌, 공단이 인접하고 있어 하천에 대한 인위적, 자연적인 교란이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는 하천이다. 오산천 주변에 형성된 잡초 군락의 유형 및 실태를 파악하여 금후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 및 관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하천 주변의 수변부, 고수부, 제방부 등에 형성된 잡초 군락에 대해 2003년 5월에서 2003년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조사를 수행하여 군락을 유형화하고 그 환경 조건을 분석하였다. 오산천 주변의 잡초 군락은 8군락 단위로 구분되었다: A. 환삼덩굴 군락, B. 갈대군락, C. 고마리 군락, D. 줄 군락, E. 물억새 군락, F. 돌피 군락, G. 부들 군락, H. 강아지풀 군락. 이상의 8군락을 구성하는 총 식물의 종류는 19과 36속 4변종 40종의 총 4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각 군락의 수반종으로 주요 출현 식물은 쑥, 개망초, 자귀풀, 달맞이꽃, 방동사니, 미국가막사리 등 주로 호광성이며 환경압에 강한 식물들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구를 Bray-Curtis 서열법에 의해 서열화한 결과는 대체로 식물사회학적 표 조작에서 얻어진 결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아미드 치환체를 갖는 히단토인계 화합물의 합성과 제초활성 연구 (Synthesis and Herbicidal Activities of Hydantoin Derivatives Possessing Amide Subgroup)

  • 고영관;정근회;류재욱;우재춘;구동완;최정섭;김준영;김태준;권오연;정봉진;김대황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3-156
    • /
    • 2006
  • 환경친화형 신규 제초제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아미드 치환체를 갗는 히단토인계 Protoporphyrinogen IX oxidase 저해 화합물 5a - 5i들을 합성하였으며, 온실에서 밭조건 경엽처리 제초활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합성된 화합물 중에서 벤질 아미드 치환체를 갖는 화합물들의 제초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화합물 5h는 대조화합물인 fluthiacet-methyl과의 비교시험 결과 밭조건에서 문제잡초인 바랭이와 자귀풀에 대한 활성이 보다 우수하였다.

벼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잡초발생(雜草發生) 생태(生態)와 효과적(效果的)인 방제법(防除法) (Weed Ecology and Effective Weed Control Technology in Direct-Seeded Rice)

  • 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0-260
    • /
    • 1992
  • The paper was reviewed the research results on weed dynamics and effective control methods in direct-seeded rice crop. Direct seeding method resulted in drastic increment of weed growth compared to transplanting method and also changed in troublesome weed flora. Two to three fold more weeds were harvested at the direct seeded rice and weed flora of dominant species shifted toward $C_4$type grass weeds. Some of the important troublesome weeds in direct seeded rice were Echinochloa crus-galle, Oryza saliva ssp spontanea, Leptochloa chinensis. Setaria viridus. Digitaria adsendens, Sesbania exaltata, Aeschynomene indica, Algae, etc. Yield loss due to weed competiton was about 40-60% for water-seeded and about 70-100% for dry-seeded rice while these for transplanted rice were about 25-35% for mechanical transplanting and about 10-20% for manual transplanting, respectively. Integrated weed management concept was neede to approach weed control effectively. Several cultural technologies were very effective to suppress the weed growth. These were tillage operation, water management, seeding date and seeding rate. Crop residues of barley, rice, wheat, oat and italian ryegrass were also effectivly suppressed the paddy weeds particularly to Potamogeton distiuctus, a perennial broadleaf weed. A pathogen of Epicoccosorus nematosporus identified from Eleocharis kuroguwai was an excellent potential bioagent to control the most troublesome perennial sedge weed of E. Kuroguwai without arising any detrimental effect. The herbicidal efficacy of this pathogen was as high as bentazon herbicide. Plant growth regulator of paclobutrazol (pp-333) was another possible alternative to reduce the herbicide use. In current, herbicide exhibited the most conspicuous results to control weeds in direct-seeded rice even though the application technologies were not fully established. Recommendations for herbicide application were suggested for in both water-and dry-seeded rice in USA, Japan and Korea, respectively. To make better and comprehensive recommendations further studies on weed ecology and herbicide development were emphasized.

  • PDF

Evaluation of Herbicidal Potential of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under In vitro and Greenhouse Experiments

  • Choi, Hae-Jin;Sowndhararajan, Kandhasamy;Cho, Nam-Gyu;Hwang, Ki-Hwan;Koo, Suk-Jin;Kim, Songmun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4호
    • /
    • pp.321-329
    • /
    • 2015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hytotoxic potential of essential oils. For this purpose, 18 essential oil samples extracted from Korean plants and 64 commercial essential oils were screened for their phytotoxic potential against the seedling growth of Brassica napus L. (rapeseed). Among the 82 samples, 11 commercial oils (cinnamon, citronella, clove, cumin seed, geranium, jasmine, lemongrass, palmarosa, pimento, rose otto and spearmint) strongly inhibited the seedling growth with $GR_{50}$ value < $150{\mu}g\;mL^{-1}$. Major components from these effective essential oils were identified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GC-MS analyses revealed that the effective samples mainly consist of benzyl benzoate, carvone, citral, citronellol, eugenol, geraniol, D-limonene and terpinene. Subsequently, bioactivity of these individual components was evaluated against the seedling growth of B. napus, Echinochloa crus-galli and Aeschynomene indica. The components from different chemical groups exhibited different potency in inhibiting the seedling growth with varied $GR_{50}$ values ranged from $29{\mu}g\;mL^{-1}$ to > $1000{\mu}g\;mL^{-1}$. In the greenhouse experiment, citral and geraniol completely suppressed the growth of all the tested 10 plants at $100kg\;ha^{-1}$. In conclusion, the individual essential oil components geraniol and citral could be used as natural herbicides for weed management.

벼 건답직파시(乾畓直播時) 중후기(中後期) 경엽처리용(莖葉處理用) 제초제(除草劑)의 처리시기별(處理時期別) 잡초방제효과(雜草方劑效果) (Herbicidal Efficacy of Cyhalofop/Bentazon and Pyribenzoxim as Affected by Application Time in Dry - Seeded Rice)

  • 문병철;박성태;김상열;김순철;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8-35
    • /
    • 1998
  • 벼 건답직파재배시 중후기 경엽 처리제로 널리 사용중인 cyhalofop/bentazon ME 및 pyribenzoxim EC를 벼 생육시기별로 처리했을 때의 잡초방제 효과와 벼 약해반응 등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여 이들 제초제의 처리시기 확대 및 효과적인 사용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yhalofop/bentazon ME은 모든 처리 시기에서 표준량 및 배량처리구의 약해가 0-1로 안전하였고, pyribenzoxim EC는 4, 6엽기 배량처리구에서 엽색이 연녹색으로 되는 약해증상이 있었지만 곧 회복되었다. 2. 파종후 30 일 잡초 방제효과는 cyhalofop/bentazon ME와 pyribenzoxim EC 모두 피, 여뀌에 대한 방제가 90% 이상으로 양호하였으나, 파종후 60일에 pyribenzoxim EC 처리는 너도방동사니, cyhalofop/bentazon ME 처리는 사마귀 풀 및 자귀풀과 다년생 잡초의 발생 증가로 잡초방제가 82-83%로 다소 떨어졌다. 3. pyribenzoxim EC의 파종후 17일 처리후 너도방동사니 발생이 증가될 경우 파종후 30일에 pyrazosulfuron/molinate, azimsulfuron/ cyhalofop/molinate, pyrazosulfuron/mefenacet을 체계 처리하면 약해가 거의 없으면서 너도방동사니 및 전체 잡초방제가가 92% 이상으로 우수하였고 cyhalofop/bentazon ME를 파종후 17일 처리후 자귀풀, 사마귀풀이 문제될 경우 파종후 30일 pyribenzoxim EC와 pyrazosulfuron/mefenacet 체계처리는 약해가 거의 없으면서 자귀풀에 대한 방제가는 93%, 사마귀풀에 대한 방제가는 pyribenzoxim EC는 94 %, pyrazosulfuron/mefenacet는 84% 이었다. 4. pyribenzoxim EC 및 cyhalofop/bentazon ME 처리후 문제잡초인 사마귀풀과 너도방동사니를 2차로 방제시는 무방제 대비 수량이 각각 28%, 82% 증수되었다.

  • PDF

물개구리밥(Azolla)이 논 잡초 발생, 질소공급 및 쌀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zolla Incorporation During Paddy Cultivation on Weed Control, Nitrogen Supply and Rice Yield)

  • 신종희;한채민;권중배;원종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271-278
    • /
    • 2021
  • 논에서 개구리밥의 수면피복은 잡초의 초종, 본수, 생체중의 감소로 잡초발생억제 효과가 있었다. 개구리밥 초종 중 물개구리밥(Azolla)을 처리한 경우 잡초 억제 효과와 더불어 제초하지 않음에도 수량성의 감소는 없었으며 이듬해 토양에 유기물 함량을 높임으로서 토양비옥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물개구리밥은 증식이 빠르고 벼 재배시 수량 증가, 암모니아 휘산 방지, 잡초억제 등의 효과가 있으며, 오염된 수질에서는 중금속 제거 효과도 뛰어나 녹비용 사료용 가치 등 농업적가치가 뛰어난 자원이다. 한국에서는 월동을 시켜야 하는 등의 일부 단점이 있긴 하지만 그 활용가치가 뛰어나고 관리가 용이 하므로 친환경 농업의 발전을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와 현장 적용 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 목초액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Wood Vinegar from Quercus mongolica Fisch)

  • 김성문;김용호;김진석;안문섭;허수정;허장현;한대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82-88
    • /
    • 2000
  • 제초제에 의한 인축 및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최근 유기농가 목초액을 잡초방제에 도입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유기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신갈나무 목초액의 살초효과를 검정하는데 있다. 목초액 0.01%는 고형배지에서 피(Echinochloa crus-gulli P. Beauv), 개밀(Agropyron smithii RYDB), 캐놀라(Brassica napus L.), 어저귀(Abutilon avicennae Gaetrn), 자귀풀(Aeschynomene indica L.), 수수(Sorghum bicolor Moench)의 생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0.1{\sim}1%$는 식물의 생장을 둔화시켰고, > 5%는 식물의 생장을 완전저해시켰다. 목초액 1배량(80L $80L^{-1}\;10a^{-1}$)을 토양처리시 캐놀라, 어저귀, 피,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Scop.)의 생장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경엽처리시 식물의 생장은 1/2배량 혹은 1배량 처리시 둔화되었다. 목초액의 살초력을 춘천과 태백 2곳의 포장에서 검정한 결과, 목초액 1배량 처리구의 잡초생체중은 무처리구의 잡초생체중과 비교하여 $34{\sim}36%$ 작았으나, >1/2배량 처리구의 잡초생체중은 무처리구의 잡초생체중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목초액 1배량의 살초력은 glyphosate 1/2 배량의 살초력에도 훨씬 못미쳤기에 목초액의 실제 살초력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자귀풀 종자의 발아 및 출아에 미치는 환경요인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of Indian jointvetch (Aeschynomene indica L.) in Different Conditions)

  • 김창호;로미즈 우딘;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33
    • /
    • 2010
  • 여러 환경요인이 자귀풀의 발아 및 출아에 미치는 영향을 생장상과 온실에서 조사하였다. 성숙된 자귀풀 종자의 발아율은 42%로 낮았으나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40^{\circ}C$ 온도조건에서 7개월간 종자를 보관하였을 때는 90% 이상 발아율이 증가되었으나 $25^{\circ}C$$4^{\circ}C$에서는 각각 58.9%와 55.1%로 낮게 발아되었다. 휴면 각성된 자귀풀 종자는 $30^{\circ}C$ 항온에서는 91.1% 발아되었고, $30/25^{\circ}C$ 변온에서는 92.4% 발아되었다. $90^{\circ}C$ 고온에서 40분간 전처리한 경우에는 발아율이 94.5%로 가장 높았다. 삼투포텐셜 조절에 의하여 수분스트레스를 유기하였을 때 -0.3 MPa까지는 자귀풀의 발아와 초기 생장은 완만하게 감소되었으나 그 이하 수준으로 낮아질수록 크게 감소되어 -0.6 MPa에서는 전혀 발아되지 않았다. 자귀풀은 포장용수량이 높거나 담수상태 조건에서, 그리고 수심이 깊을수록 초기 생장량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습윤한 밭 조건이나 담수상태의 논에서 잘 생육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물 유래 d-Limonene의 가시박 방제효과 (Herbicidal Activity of d-Limonene to Burcucumber (Sciyos angulatus L.) with Potential as Natural Herbicide)

  • 최정섭;고영관;조남규;황기환;구석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3-272
    • /
    • 2012
  • 천연물에서 유래한 제초활성 후보물질 d-limonene에 대한 주요 문제 잡초와 환경위해 잡초인 가시박에 대한 살초력 평가를 통해 효율적 잡초 관리를 위한 친환경 잡초방제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d-limonene은 온실조건에서 발아전 토양처리 효과는 없었고, 경엽처리에서는 100kg ai $ha^{-1}$ 이상 농도에서 매우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작물에 대한 선택성은 전혀 없었다. 야생에서 왕성하게 생육하는 환경 위해잡초 가시박에 대해서도 140kg ai $ha^{-1}$ 이상 농도에서 살포물량에 비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천연 생화학 제초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