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odynamic Optimization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38초

다중 익형 주위의 고양력을 위한 위치 최적화 (AERODYNAMIC OPTIMIZATION OF MULTI-ELEMENT AIRFOILS FOR LIFT ENHANCEMENT)

  • 이대일;최병철;박영민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1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41-446
    • /
    • 2011
  • To investigate aerodynamic performance of high-lift devices, 2D design is the base of the success of high-lift system design for transport aircraft, which can shorten the periods of three-dimensional design and analysis. For the simulation coupled viscous and inviscous euler method (MSES) is used. In this parametric study, Gap and Overlap which can define position of flap is used as design variables and we investigale relation between angle of attack and flap position for lift enhancement.

  • PDF

Shape Effects on Aerodynamic and Pedestrian-level Wind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for Tall and Super-Tall Building Design

  • Kim, Yong Chul;Xu, Xiaoda;Yang, Qingshan;Tamura, Yukio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35-253
    • /
    • 2019
  • This paper reviews shape optimization studies for tall and super-tall building design. Firstly, shape effects on aerodynamic and response characteristics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Effects of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corner modifications, taper, setback, openings, and twists are examined. Comprehensive comparative studies on various configurations including polygon building models, and composite type building models such as corner-cut and taper, corner-cut and taper and helical, and so on, are also discuss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same height and volum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by increasing the twist angle of helical building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sides of polygon buildings, but a twist angle of $180^{\circ}$ and a number of sides of 5 (pentagon) seem to be enough. The majority of examined configurations show better aerodynamic characteristics than straight-square. In particular, composite type buildings and helical polygon buildings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Next, shape effects on pedestrian-level wind characteristics around tall and super-tall buildings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Corner modification buildings show significant reductions in speed-up areas. On the other hand, setback and tapered models with wider projected widths near the ground show adverse effects on pedestrian-level wind characteristics.

Prediction of aerodynamic coefficients of streamlined bridge deck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on CFD dataset

  • Severin Tinmitonde;Xuhui He;Lei Yan;Cunming Ma;Haizhu Xiao
    • Wind and Structures
    • /
    • 제36권6호
    • /
    • pp.423-434
    • /
    • 2023
  • Aerodynamic force coefficients are generally obtained from traditional wind tunnel tests 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Unfortunately, the techniques mentioned above can sometimes be cumbersome because of the cost involved, such as the computational cost and the use of heavy equipment, to name only two examples. This study proposed to build a deep neural network model to predict the aerodynamic force coefficient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CFD simulations to overcome these drawbacks. Therefore, a series of CFD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different geometric parameters to obtain the aerodynamic force coefficients, validated with wind tunnel tests. The results obtained from CFD simulations were used to create a dataset to train a multilayer perceptro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The models were obtained using three optimization algorithms: scaled conjugate gradient (SCG), Bayesian regularization (BR), and Levenberg-Marquardt algorithms (LM). Furthermore, the performance of each neural network was verified using two performance metrics, including the mean square error and the R-squar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inally, the ANN model proved to be highly accurate in predicting the force coefficients of similar bridge sections, thus circumventing the computational burden associated with CFD simulation and the cost of traditional wind tunnel tests.

정지비행시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의 공력해석 및 최적화 (AERODYNAMIC ANALYSIS AND OPTIMIZATION STUDY OF THE HELICOPTER ROTOR BLADE IN HOVERING FLIGHT)

  • 제상언;정현주;김도준;조창열;명노신;박찬우;조태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7년도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 /
    • pp.125-129
    • /
    • 2007
  • In this paper a method for the design optimization for helicopter rotor blade in hover is studied Numerical analysis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flow around a rotor blade is analysed by usign panel method and CFD code based on Navier-Stokes equation. The result is validated by comparing with existing experimental result. Optimization methods RSM(Response Surface Method) and DOE(Design of Experiments) are applied in combination. The object functions are power, twist angle, taper ratio, and thrust. The optimized result showed a decrease of 17% of the power required.

  • PDF

기하학적 보간과 최적화를 이용한 고속 에어포일 형상 설계 연구 (Study on the Design of High Speed Airfoil using the Geometric Interpolation and Optimization)

  • 정경진;이재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73-28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고속의 압축성 유동에 대한 에어포일 형상 설계에 대한 연구를 기술하였다. 새로운 에어포일의 설계를 위하여 기존의 에어포일을 조사하여 이들을 기하학적으로 보간하여 새로운 에어포일들을 생성하였다. 이들 에어포일들에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공력 성능을 최적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하학적 보간과 최적화를 통해 우수한 공력 성능을 보이는 에어포일의 설계가 가능함을 보일 수 있었다.

비행탄두 형상 최적화를 이용한 사거리 증대 연구 (Extended Range of a Projectile Using Optimization of Body Shape)

  • 김진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49-55
    • /
    • 2020
  • 발사체의 사거리 증대는 중요한 성능개선 목표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발사체 비행탄두의 형상은 공기역학 및 구조적인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한다. 몸체, 탄두부 및 탄미부 형상의 선정은 공기역학적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발사체 비행탄두 형상의 주요 설계 요소는 공기역학적 항력이다. 공기역학적 항력은 발사체의 운동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공기역학적 힘이다. 준실험적 기법을 이용하여 탄두부, 탄미부 및 몸체 형상이 발사체의 공기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러 가지 비행탄두 형상 변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최대 사거리 성능 분석에는 탄도 모사분석 모델을 사용하였다. 발사체 비행탄두 형상 최적화를 이용한 사거리 증대 가능성을 분석하고, 형상 변수 최적화에 의한 사거리 증대 효과를 확인하였다.

비정렬 격자계에서 연속 Adjoint 방법을 이용한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의 제자리 비행 공력 형상 최적설계 (Aerodynamic Shape Optimization of Helicopter Rotor Blades in Hover Using a Continuous Adjoint Method on Unstructured Meshes)

  • 이상욱;권오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0
    • /
    • 2005
  • 비정렬 격자계에서 continuous adjoint 방정식을 사용하여 제자리 비행을 하는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에 대한 공력 형상 최적설계 기법을 개발하였다. 효율적인 민감도 계산을 위해 회전좌표계에서 continuous adjoint 민감도 해석 기법을 유도하였다. 설계과정의 반복적인 수치계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영역 분할 기법에 기반을 둔 병렬처리 기법을 도입하였다. 끝단 와류의 정확한 포착을 위해서 끝단와류를 따른 격자적응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Caradonna와 Tung의 실험형상 및 UH60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의 공력 최적설계에 적용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최적설계 기법을 이용하면 일정한 추력을 유지하면서 요구동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헬리콥터 블레이드 플랜폼 공력 최적설계(I): 최적설계 기법 (Aerodynamic Optimization of Helicopter Blade Planform (I): Design Optimization Techniques)

  • 김창주;박수형;오선구;김승호;정기훈;김승범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049-1059
    • /
    • 2010
  • 본 연구는 헬리콥터 블레이드 플랜폼의 공력최적 설계를 다루었다. 블레이드 3차원 공력형상 설계단계에서 결정해야하는 주요 설계 요소를 정의하고 B$\acute{e}$zier 곡선 등을 이용하여 매개변수화 하였다. 매개변수화와 설계 구속조건은 경험적 요소와 노하우를 반영하여 산업체나 연구소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설계기법을 활용하여 정의하였다. 호버링 FM과 전진비행 등가 양항비를 최적설계 문제의 목적함수로 반영하였다. 유도된 비선형 최적화 문제는 SQP기법으로 풀이하였으며 응용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기법으로 블레이드의 익형배치, 비틀림 및 시위분포 등 중요한 플랜폼 형상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음을 보였다.

열차형상함수를 이용한 상용 고속열차 전두부 형상 최적설계 (Optimal Design for the Nose Shape of Commercial High-speed Train Using Function of Train Configuration)

  • 곽민호;윤수환;박춘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79-288
    • /
    • 2015
  • 다양한 3차원 전두부 형상을 효과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는 열차형상함수를 이용하여 실제 차량인 KTX 산천 전두부 형상의 공기저항을 저감하는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KTX 산천 전두부의 2차원 단면형상의 특성 곡선을 추출하고 열차형상함수를 이용하여 KTX 산천의 최적설계용 유선형 기본형상을 구성하였다. 기본형상을 이용해 상용 고속열차 전두부의 형상 제약조건을 위반하지 않는 설계공간을 구축하였다. Broyden-Fletcher-Goldfarb-Shanno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설계를 수행하여 기본형상 대비 약 6%의 공기저항을 저감할 수 있었다. 최적형상은 기본형상에 비해 전두부 길이가 길고 끝단이 약간 날카로운 형상을 가져 후미차량에서의 와류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공기저항을 저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