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ial Photo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4초

수치정사투영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제작 (Digital Mapping Based on Digital Ortho Images)

  • 이재기;박경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00
  • 최근 들어 정사투영영상에 대한 필요성과 그 효용성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정사사진지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응용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한 수치지도 도화장비 없이 수치정사투영영상만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도형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분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처리의 여러 가지 기법들과 퍼지이론을 적용하여, 도로경계와 차선 그리고 건물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레이어가 부여되도록 하였다. 특히 건물의 경우 화소 단위로 추출된 외곽 벡터라인이 상당히 복잡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나 모서리간은 1차원 선형을 지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자동으로 모든 대상물을 일시에 추출하여 인식하지는 못하였으나, 반자동을 가미하였을때 50 cm내외의 오차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1/5,000축척의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3차원 공간에서의 철도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 설계방안 (Data Base Design Methods for Railway Facility Information using 3D Spatial)

  • 연상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03-1009
    • /
    • 2009
  • 3차원 지형 환경의 공간영상콘텐츠는 국토계획 및 통신설비계획, 철도건설, 시공, 입체적인 유비쿼터스 도시 구현, 안전 및 방재 등에서 많은 요구와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지리정보 기반의 2차원적인 지도정보와 시설정보를 3차원의 도시공간으로 재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등고선을 이용한 DEM 방식은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철도와 같은 노선 폭이 좁고 길이가 길어서 궤적 관리가 어려운 작은 구조물의 경우에는 그 고도모델이 2 무시되기 쉬우므로, 레이저 측량기술을 이용한 공간대상물에 대한 높은 정확도 취득이 크게 필요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3차원의 공간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먼저 등고선을 이용한 기존의 방법으로 DEM 생성 후에 3차원 조감도를 가 방향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지형에 대한 수치 표고모델을 생성하여 3차원 지형을 모습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도록 하고, 항공사진의 지형의 표고 값을 레이져 데이터와의 중첩기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구간에 대한 투시도 및 토공량 산정 등의 단면을 도형화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3차원 지형공간정보의 U-city에서의 다양한 활용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드론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림의 성장예측을 위한 DB 설계 (Database Design for Growth Prediction of Forest using Drone Photo)

  • 오선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709-714
    • /
    • 2020
  • 현대사회에서 산림자원은 자연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급속한 산업화와 주변 국들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는 극심한 황사나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으로 매년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으며, 그 어느 때보다도 자연환경 보호와 효율적인 산림자원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기대와는 다르게 잦은 산불 발생과 홍수 피해 및 무분별한 난개발 등으로 소중한 산림자원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헛되이 소실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산림 관련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산림자원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림자원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성과 관리를 위해 드론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림자원 관리와 벌목 대상의 수목 의사결정, 홍수대비 수로 결정 그리고 향후 조성할 산림 조림사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산림자원 성장예측이 가능한 산림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GIS 공간분석을 위한 3D 영상모형의 구축과 활용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3D Image Model for GIS Spatial Analysis)

  • 정성혁;이계동;이재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61-569
    • /
    • 2008
  • 현재, 3D 영상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위성영상, 항공영상 및 항공레이저 측량데이터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구축된 모형은 지형과 지물을 세밀하고 사실감 있게 표현하는데 제한적이기 때문에 고품질의 영상모형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3D 영상모형 구축시 3D 모형을 제작하고, 지상사진으로부터 텍스쳐를 제작하여 3D 모형에 사실감을 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과 인공 시설물을 대상으로 사진측량 및 레이저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정확도, 세밀묘사 및 현실감이 강조된 실세계에 근접한 3D 영상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기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위치정확도와 함께 사진과 같은 사실감을 확보한 3D 영상모형을 구축하였고 인터넷 3D 영상지도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 할 수 있도록 하였다. 3D 영상모형을 이용하여 일조권분석, 경관분석, 시설물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었다.

천이계열에 따른 온대초원의 유기물량 축적량 변화 (A Study on Change of an Accumulated Organi Matter Contents According to Successional Stage on Temperate Grassland)

  • 이재석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381-386
    • /
    • 2004
  • 모델을 통한 지구의 탄소순환 과정을 정확한 예측과 검정을 위해서는 다양한 생태계에 대한 정확한 실측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엔진부착형 패러그라이더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공중사진과 현장 관측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축적된 초원 생태계의 유기물(탄소량)을 정량하고 천이의 진행에 따라 초원 생태계의 유기물의 축적형태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지역의 주요 우점종은 서양미역취, 띠, 억새의 3종이었고, 각각의 군락에 축적된 유기물량은 서양미역취 군락이 7.00 kg $m^{-2}$, 띠군락이 9.18 kg $m^{-2}$, 억새군락이 12.68 kg $m^{-2}$ 로 천이후기로 진행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하지만 토양에 축적된 유기물량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다. 토양에 축적된 유기물이 적어짐에도 불구하고 군락이 축적된 총유기물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억새군락이 가진 현존량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초원생태계에서 천이계열상 가장 후기에 나타나는 억새군락의 우점도 증가는 지상에 온대초원생태계의 탄소축적량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of environmental monitoring by science airship and high accuracy digital multi-spectral camera

  • Choi, Chul-Uong;Kim, Young-Seop;Nam, Kwang-W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750-750
    • /
    • 2002
  • The Airship PKNU is a roughly 12 m (32 ft) long blimp, filled with helium, whose two-gasoline power(3hp per engine) are independently radio controlled. The motors and propellers can be tilted and are attached to the gondola through an axle and supporting braces. Four stabilizing fins are mounted at the tail of the airship. To fill in the helium, a valve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hull. The inaugural flight was on jul. 31.2002 at the Pusan, S.korea Most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problem use satellite image. But, Low resolution satellite image (multi-spectral) : 1km ∼ 250 m ground resolutions is lows. So, detail information acquisition is hard at the complex terrain.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black and white) 30m : The ground resolution is high. But it is high price, visit cycle and delivery time is long So. We want make high accuracy airship photogrammetry system. This airship can catch picture Multi. spectral Aerial photographing (visible, Near infrared and thermal infrared), and High resolution (over 6million pixel). It can take atmosphere datum (Temperature (wet bulb, dew point, general), Pressure (static, dynamic), Humidity, wind speed). this airship is very Quickness that aircraft install time is lower than 30 minutes, it is compact and that conveyance is easy. High-capacity save image (628 cut per 1time (over 6million and 4band(R,G,B,NIR)) and this airship can save datum this High accuracy navigatin (position and rotate angle) by DGPS tech. and Gyro system. this airship will do monitor about red-tide, sea surface temperate, and CH-A, SS and etc.

  • PDF

DGPS/IMU-based Photogrammetry in China

  • Yingcheng, Li;Xueyou, Li;Jicheng, Zhao;Xunping, Gong;Tang, Lia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215-1220
    • /
    • 2003
  •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one of the most rapidly developing countries in the world today. There is a great demand on highly actual and accurate spatial information of the whole country, especially of West China which becomes the focus of development of the Chinese government right now and in the next years, but where still not enough topographic maps are available. This raises great challenges to the surveying and mapping community in China. Facing the new challenges the Chinese Academy of Surveying and Mapping (CASM) started its pioneer work early 2002 to explore new techniques and technologies available today toward increasing the map productivity. With import of a CCNS/AEROcontrol system in November 2002 the first DGPS/IMU-based photogrammetric project in China was successfully accomplished jointly by CASM and the Germany-based companies IGI and Techedge. Two photogrammetric blocks of 1:4,000 and 1:20,000 photo scale, respectively, were flown in Anyang, China. Direct georeferencing and integrated sensor orientation were conducted. Results achieved were proven by using ground check points and compared with those of aerial triangulation. Orthophotos generated based on direct georeferencing shows the high efficiency and quality, and thus proved the promise of the new technology. Furthermore several DGPS/IMU-based photogammetric projects was accomplished one by one and a big project of more than 100,000 km2 in the Inner Mongolia will be started in August 2003. The paper presents experiences with DGPS/IMU-based photogrammetry in China. Results achieved in concrete projects are shown and evaluated. Politic and technical specialties in China are discussed. Conclusions outline the potential of DGPS/IMU-based photogrammetric production in China.

  • PDF

도시지상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 (A Optimal Method of Sensor Node Deployment for the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 강진아;남상관;권혁종;오윤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58-168
    • /
    • 2009
  • 국가와 도시가 급속히 발전할수록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반시설물들과 관리 체계는 날로 복잡해지고, 이를 체계적으로 건설하고 유지하는 비용과 노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반시설물 중 도시지상시설물을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관리하기 위해 센서노드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1차 분석으로 관리 대상 및 방법을 도출하여 센싱 커버리지를 만든 후, 이를 도시지상시설물에 센서노드 설치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2차 분석을 통하여 중복설치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과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GIS 프로그램을 구현하였으며, 항공사진과의 중첩을 통해 관리의 방법에 현실성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변 지형에 대해 센서노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복 설치된 센서노드를 약 50% 제거하였으며, 도로를 따라 센서노드가 골고루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여의도 샛강 흐름 정체와 수질악화 원인 분석 (Analysis of the Causes of Flow Stagnation and Water Pollution in Yeouido Saetgang River)

  • 강형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25-32
    • /
    • 2019
  • 도시지역 샛강은 생물이 서식하기 어려운 도심지에 다양한 수변공간을 제공하여 생물다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시민들에게는 휴식 및 체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여의도 샛강은 국내 최초의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서울 도심 중심에 흐르고 있어 장소적 희소성이 크고 생태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여의도 샛강은 조성 당시부터 수질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어, 샛강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의도 샛강 흐름 정체와 수질 악화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하천 측량 및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자연적인 물 순환이 어려운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한편, 여의도 샛강의 수질 모니터링 결과, 비가 오지 않는 평상시에는 BOD, T-P는 평균 III등급과 IV 등급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강우 시에는 BOD, T-P 모두 V~VI 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수분구 분석을 통해 샛강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소유역을 선정하였으며,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대전 계족산성 원형성벽의 디지털기록화 및 단기모니터링 연구 (Digital Documentation and Short-term Monitoring on Original Rampart Wall of the Gyejoksanseong Fortress in Daejeon, Korea)

  • 김성한;이찬희;조영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2호
    • /
    • pp.169-188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계족산성 원형성벽의 디지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무인항공사진촬영 및 지상레이저스캐닝을 수행하였고, 모니터링의 연속성을 위해 지상기준점을 측량하였다. 또한 원형성벽의 구조적 안정성 검토를 위해 육안 정밀조사, 무인항공사진측량, 내시경 촬영, 토털스테이션 및 수동 계측을 진행하였다. 남쪽 원형성벽의 우측구간은 드론으로 항공사진측량하고 3차원 디지털모델의 편차분석을 통해 단기간 모니터링하였다. 이 결과, 두 성벽은 5mm 이내의 범위에서 거의 일치하였고 부분적 편차는 있으나 성돌의 변위와 변형을 지시할만한 차이는 없었다. 정밀 육안조사와 고해상도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배부름, 약선대, 균열대 등 구조적 변형이 발생한 지점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시경을 통해 본 내부의 적심상태는 원형성벽의 채움석이 잘 남아 있었으나, 채움토는 대부분 유실되었다. 원형성벽에서 구조적 변형이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토털스테이션 측정 결과, 북쪽 원형성벽의 최대 변위량은 6.6mm, 남쪽 원형성벽의 최대 변위량은 3.8mm로 다소 높았으나, 최종 변위량은 각각 2.9mm와 1.4mm 이하로 나타났다. 간이계측 역시 모든 지점에서 0.82mm 이하의 변위가 발생하여 뚜렷한 구조적 변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원형성벽의 변위 모니터링 결과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하더라도 갑작스런 취성파괴가 발생하는 성벽의 특성상 구조적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취득한 3차원 형상정보를 바탕으로 보존과학적 진단과 정밀 모니터링 및 구조해석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