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des koreicu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한국숲모기와 줄다리집모기에 대한 비티플러스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BtPlus against two mosquitoes, Aedes koreicus and Culex vagans)

  • 김용균;사자디안 민우;샤비르 아메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41-54
    • /
    • 2020
  • 안동지역 농가 주변의 정수에서 두 종의 모기가 채집되었다. 형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이들이 한국숲모기(Aedes koreicus)와 줄다리집모기(Culex vagans)로 각각 동정되었다. 또한, DNA 바코드 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동정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이들 모기류 유충에 대해 곤충병원세균인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BtI)가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유사한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에 비해 우수하였다. 한편 곤충의 면역억제를 유발하여 B. thuringiensis의 병원력을 높인다고 알려진 Xenorhabdus 세균류의 배양액을 BtI에 첨가하여 이들 모기류에 대한 살충력 증가 효과 유무를 확인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3 종류의 Xenorhabdus 세균배양액 가운데 X. ehlersii (Xe)의 배양액이 비교적 다른 세균배양액에 비해 두 종의 모기류에 대해서 BtI의 살충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Xe 세균배양액으로부터 유기용매 추출물의 생물활성을 분석한 결과 모기의 혈구 활착행동을 뚜렷이 억제시키는 면역억제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BtI와 Xe의 두 세균을 혼합한 비티플러스 미생물제제가 한국숲모기와 줄다리집모기의 방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울산지역 공원에서 채집된 모기의 심장사상충 감염도 조사 (Survey on infection rate of Dirofilaria immitis in mosquitoes collected from the parks in Ulsan)

  • 차세진;윤남식;이승준;장지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17-323
    • /
    • 2022
  • Dirofilariasis is a mosquito-borne parasitic infection that mainly causes symptoms such as chronic cough, respiratory distress, abnormal breath sounds, heart valve dysfunction, right heart hypertrophy, liver congestion and cirrhosis, ascites, and pleural effusion in dogs. In this study, from June to September 2021, we collected and identified mosquitoes in parks where citizens often take their dogs for a walk, and created pools from them by month, species, and location. These pools were checked for the infection of Dirofilaria immitis by PCR and the minimum infection rates (MIRs) were calculated. The MIR of all mosquitoes collected was 6.4, and the MIRs of mosquitoes from Daewangam Park, Yeocheoncheon Walk, Taehwagang National Garden, and Sinbulsan County Park were 9.7, 4.7, 2.1, and 0, respectively. It also confirmed that Aedes hatorii, Aedes vexans nipponii, and Ochlerotatus koreicus were major vectors of heartworm in Ulsan. Our results suggest that heartworm prophylaxis should be considered in Ul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