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ciospor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 미기록 잣나무 잎녹병균, Coleosporium neocacaliae (A New Needle Rust Fungus Coleosporium neocacaliae on the Needles of Pinus koraiensis in Korea)

  • 이승규;김동원;문일성;김종진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214-218
    • /
    • 2008
  • 국립산림과학원에서 표본실에 보관되어 있는 잣나무 잎녹병 건조표본에 대하여 광학현미경과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녹병정자기와 녹포자기의 형태 및 크기, 호막세포의 모양, 크기 및 표면구조, 녹포자의 모양, 크기 및 표면구조(돌기의 형태, 크기, 수/$100\;{\mu}m^2$)등 녹포자세대의 분류형질에 대한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하고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한 결과, 9개의 건조표본이 국내 미기록 녹병균인 Coleosporium neocacaliae의 녹포자세대로 동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잣나무에서 유일하게 보고되어 있던 C. eupatorii와 형태적 특징을 비교하였을 때, 특히 녹포자의 크기에서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보여 구분이 가능하였다. 기존 문헌에는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녹포자의 표면구조가 단순히 "verrucose"로 기재되어 있으나,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사마귀형 돌기는 3-4개의 고리를 가진 환상형 돌기로 밝혀졌다. 우리나라에서 C. neocacaliae의 녹포자세대는 경기도, 전라북도, 강원도 등의 한반도 중부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면서 해발 약 1,000 m내외의 고산지역에서도 발생하고 있었으며, 녹포자세대의 출현 시기는 4월 중순부터 6월 초순이었다.

First Report of Leaf Rust Caused by Puccinia caricis in Farfugium japonicum in Korea

  • Yun, Yeo Hong;Kwon, Hyuk Woo;Ahn, Hong Seok;Kim, Seong Hwan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351-353
    • /
    • 2015
  • Farfugium japonicum i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and as an edible herb in China and Korea. In July 2013, leaf spots were observed in F. japonicum seedlings at Ulleung Island, Gyeongsangbuk Province, Korea. Early symptoms on the leaf adaxial surface included roughly circular yellow spots that later developed brown, necrotic centers. The aecia were hypophyllous, cupulate, yellowish, $180{\sim}430{\mu}m$ in diameter, clustered, and erumpent with a peridium with a recurved margin. The aeciospores were globoid, $14{\sim}17{\times}13{\sim}16{\mu}m$, light yellow or colorless, and densely verrucose. The 28S rDNA sequence of the isolate was identical to each other and shared 99% identity with Puccinia carici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ust caused by P. caricis in F. japonicum in Korea or elsewhere in the world.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Neophysopella vitis Causing Rust Disease on Meliosma myriantha in Korea

  • Dong Hwan Na;Jae Sung Lee;Young-Joon Choi;Ji-Hyun Park;Hyeon-Dong Shin
    • 식물병연구
    • /
    • 제29권3호
    • /
    • pp.299-303
    • /
    • 2023
  • Rust symptoms on Meliosma myriantha trees have been noticed during disease surveys in Korea since 2010, with a high disease incidence frequently surpassing 90%. The causal fungus of the rust disease was identified as Neophysopella vitis based on the morphological investigation and molecular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large subunit (LSU) rDNA region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ust disease caused by N. vitis on M. myriantha in Korea. A pathogenicity assay proved that M. myriantha serves as the aecial host of N. vitis as spermogonia and aeciospores were produced, which can infect the two uredinial hosts, Boston ivy (Parthenocissus tricuspidata) and Virginia creeper (Parthenocissus quinquefolia).

Caeoma makinoi에 의한 매실나무 꽃눈녹병의 발생 보고 (Flower Bud Chloranthy Disease Caused by Caeoma makinoi on Prunus mume)

  • 이승열;이연희;박수진;이한동;이재진;강인규;이향범;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77-381
    • /
    • 2016
  • 2015년 5월, 경상북도 의성군 소재 매실과원에서 비정상적인 엽화증상이 매실나무에서 관찰되었다. 관찰된 엽화증상에서는 외부에 주황색의 돌기가 관찰되었고,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녹포자퇴로 확인되었다. 자세한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녹포자는 구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었고, 약 $22.8{\sim}35.6{\times}19.8{\sim}36.8{\mu}m$ 크기를 가지면서 표면은 무사마귀형으로 관찰되었다. 녹포자의 정확한 동정과 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을 위하여, 18S rDNA와 large subunit rDNA 영역을 증폭시킨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매실나무의 엽화증상에서 관찰된 병원균은 일본에서 분리된 Caeoma makinoi (Teleomorph: B. smilacis) 균주와 100%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매실나무에서 엽화증상을 일으키는 녹병균을 Caeoma makinoi로 보고하고, 위 병원균에 의한 매실나무 엽화증상을 매실꽃눈녹병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First report of Gymnosporangium clavipes Cooke & Peck affecting Crataegus mexicana var. Chapeado and C. gracilior in Mexico

  • Alvarado-Rosales, D.;Nieto-Lopez, E.H.;Teliz-Ortiz, D.;Ayala-Escobar, V.;Silva-Rojas, H.V.;Nieto-Angel, R.;Leyva-Mir, S.G.;Jimenez-Nieto, A.;Mendez-Inocencio, C.
    • 식물병연구
    • /
    • 제21권3호
    • /
    • pp.250-252
    • /
    • 2015
  • The tejocote (Crataegus spp.) is a tree considered to be native to Mexic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agent of tejocote rust in the State of Puebla. Tejocote fruits were sampled in 2012 and 2013. The fungus was studied morphologically using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molecularly using phylogenetic analysis of 18S and 28S rDNA genes.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Gymnosporangium clavipes on tejocote fruit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onfirmed report of Gymnosporangium clavipes Cooke & Peck affecting Crataegus mexicana var. Chapeado and C. gracilior in Puebla Mexico.

산초나무 잎녹병균의 중간기주 및 형태학적 특징 (Morphological Features of Coleosporium xanthoxyli and Its Alternate Host in Korea)

  • 이승규;김경희;이총규;김동원;황진현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79-284
    • /
    • 2004
  • 경상남도 진주와 하동지역의 산초나무 재배단지에서 잎녹병에 의한 피해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산초나무 잎에 형성된 여름포자세대의 녹포자세대 기주를 밝히고 녹병균을 동정하기 위하여 본 병해의 발생지 주변 곰솔에서 채집된 녹포자를 산초나무에 인공접종하였다. 그 결과 산초나무에서 성공적으로 여름포자가 형성되어 이 녹병균은 녹포자세대를 곰솔에서, 여름포자 및 겨울포자세대를 산초나무에서 형성하는 장세대형 생활사를 갖는 C. xanthoxyli로 동정하였다. 대부분의 형태적 형질은 기존 기록과 일치하였으나 녹포자와 여름포자의 표면돌기 수에는 차이가 있었다. 곰솔과 산초나무에서 채집된 C. xanthoxyli의 건조표본을 이용하여 녹포자세대 및 여름포자세대의 형태학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경남 진주와 하동지역에서 조사된 산초나무에서의 최초 병발생시기는 6월 하순${\sim}$7월 초순이었으며 8월 중의 이병엽율은 17.8%${\sim}$58.7%이었다.

Puccinia phragmitis에 의한 참소리쟁이 잎녹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Rust Disease Caused by Puccinia phragmitis on Rumex japonicus in Korea)

  • 이승열;박지원;강인규;정희영
    • 식물병연구
    • /
    • 제26권1호
    • /
    • pp.53-56
    • /
    • 2020
  • 2019년 5월, 잎 표면에서 적색 반점이 관찰되는 참소리쟁이를 충북 괴산군 인근 야산에서 채집하였다. 관찰된 병반의 앞면은 적색 및 황색의 병반이 관찰되었고, 뒷면에는 백색의 돌기가 관찰되었다. 다양한 현미경으로 자세하게 관찰한 결과, 돌기는 녹포자기로 확인되었으며, 많은 녹포자가 확인되었다. 녹포자는 구형 또는 난형이었고 19.0-24.4×19.0-24.5 ㎛의 크기를 가지면서 표면은 무사마귀형으로 관찰되었다. 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을 위하여, large subunit rDNA 영역 및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3 (CO3) 유전자 영역을 이용하여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소리쟁이에서 관찰된 녹병균은 Puccinia pritzliana와 매우 근연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관찰된 기주, 포자세대, 형태 및 계통학적 유연관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분석된 녹병균은 국내 미보고 녹병균인 P. phragmitis로 확인하였으며, 위 병원균에 의해 발생한 녹병을 참소리쟁이 잎녹병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First Description of Coleosporium plectranthi Causing Perilla Rust in Korea

  • Yun, Hye-Young;Kim, Young-Ho;Hong, Soon-Gyu;Lee, Kyung-Jo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7-12
    • /
    • 2007
  • Perilla rust is a damaging disease in perilla cultivation in Korea. Its causal agent was identified as Coleosporium plectranthi based on description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ores and spore-producing fruiting structures(in uredinial and telial stages from perilla and in aecial stage from the alternate host pine) collected in 15 locations in Korea during the disease survey from 2004 to 2006. These characteristics were yellow or orange uredinium; globose or ellipsoid urediniospore of $20.8{\mu}m{\times}18{\mu}m$ in size; verruca of $0.3mm{\times}1.2mm$; orange telium; one-celled, oblong ellipsoid teliospore of $63.1{\mu}m{\times}19.7{\mu}m$ with one-layered crusts or four-celled(when mature), internal basidium of $64.2{\mu}m{\times}19.7{\mu}m$; ellipsoid to globoid basidiospore of $20.3{\mu}m{\times}12{\mu}m$; type 2 spermogonium; yellow, broadly ellipsoid peridial cell of $35.6{\mu}m{\times}23.1{\mu}m$; and broadly ellipsoidal or subglobose aeciospore of $25.9{\mu}m{\times}18.8{\mu}m$. Phylogenetic analysis of 28S rDNA sequences revealed the closest relatedness to those of the genus Coleosporium, a monophyletic group distinguished from other rust fungi and divided into two main lineages, one of which was C. plectranthi grouped with high bootstrap value(96%). In pathogenicity test, both aeciospores and urediniospores caused rust development on perilla leaves. This is the first description of C. plectranthi causing perilla rust with the first findings of its telial stage on perilla and the first rust disease on the aecial host in Pinus densiflora. These aspects w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ntrol measures of the disease.

우리나라 잣나무 털녹병균(病菌)의 기주선택성(寄主選擇性)과 병원성조사(病原性調査) (Studies on the Host Selectivity and Pathogenicity of White Pine Blister Rust Fungus (Cronartium ribicola J. C. Fischer ex Rabenhorst) in Korea)

  • 이창근;김현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76-81
    • /
    • 1983
  • 우리나라 잣나무털녹병균(病菌)의 동포자기주(冬胞子寄主)는 송이풀류(類)이나 인공접종(人工接種)을 통(通)하여 까치밥나무류(類)도 중간기주(中間寄主)임이 이미 밝혀져 있다. 그러나 최근(最近)에는 병원균(病原菌)의 분포지역(分布地域)에 따라 기주(寄主)의 선택(選擇)과 병원성(病原性)을 달리하는 새로운 생태형(生態型)이 있는 것으로 추정(推定)되고 있어, 본(本) 시험(試驗)에서는 지역적(地域的)으로 격리(隔離)된 강원도(江原道) 평창(平昌)과 전북(全北) 남원지역산(南原地域産) 털녹병균(病菌)의 수포자(銹胞子)를 까치밥나무류(類)와 송이풀에 접종(接種)하였다. 그 결과(結果) 양지역(兩地域)의 털녹병균(病菌)은 공(共)히 Ribes montigenum 과 송이풀에 하포자퇴(夏胞子堆)를 형성(形成)함으로서, 동일(同一)한 병원성(病原性)을 나타냈다. 한편, 우리나라에 분포(分布)하는 잣나무 3종(種)을 털녹병피해임지내(病被害林地內)에서 자연감염(自然感染) 시킨 결과(結果), 4년후(年後)의 발병율(發病率)은 잣나무가 17.7%, 스트로브잣나무가 26.3%이였으나 섬잣나무는 전혀 발병(發病)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털녹병균(病菌)은 전국적(全國的)으로 동일(同一)한 생태형(生態型)으로, 잣나무와 스트로브잣나무를 수포자기주(銹胞子寄主)로 하며, 송이풀류(類)와 까치밥나무류(類)를 동포자기주(冬胞子寄主)로 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