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Attention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19초

관여, 광고위치, 광고형태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 패션 인터넷 검색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dvertising Effect according to Involvement, Advertising Location and Advertising Forms - Focusing on the Fashion Internet Search Advertising -)

  • 제은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2호
    • /
    • pp.251-262
    • /
    • 2012
  •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an advertising location according to consumer involvement about internet search advertising and advertising effect according to advertising form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from May 25, 2011 for seven days with the target of men and women at the age of 20s-30s who tried search advertising in Seoul and capital area, and 519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analysis of collected materials, the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chi}^2$ test were executed by using statistical package SPSS 16.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consumer's clothing involvement, advertising involvement, advertising location and advertising forms had an influence on site attitude and clicking intention. Consumers of high clothing involvement, high advertising involvement and upper end advertising appeared to have high site attitude and clicking intention. Second, all consumers of the low and high clothing involvement and upper end advertising appeared to prefer the upper end advertising. It appeared that consumers of low advertising involvement prefer lower end advertising, and consumers of high advertising involvement prefer the upper end advertising at an advertising location according to clothing involvement.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hat the search advertising exposes advertising in the upper end, and that should use an advertising phrase capable of giving trust to consumers. As the text advertising had high site attitude and clicking intention in the advertising forms, consum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advertising phrase.

모델유형과 제품의 성 정체성 그리고 메시지 소구에 따른 크로스 광고모델 효과 (Cross-Model Effect of Model Types, Product Gender Identity and Message Appeal Type)

  • 김은희;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105-114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기업과 소비자들에게 이슈화되고 있는 크로스 광고모델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설계는 모델 유형(2)${\times}$제품의 성 정체성(2)${\times}$광고메시지 소구형태(2) 요인설계이다. 연구결과 첫째, 광고 모델유형에 따른 광고 인지반응은 일반 모델보다 크로스 모델의 회상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제품의 성 정체성에 따른 광고 인지반응은 남성제품보다 여성제품에서 회상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광고주목도 변량분석결과 모델 유형과 메시지 소구유형은 각각 주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모델의 유형과 제품의 성 정체성, 모델유형과 메시지 소구유형에서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끝으로, 모델 제품 적합도를 분석결과, 모델유형과 제품의 성 정체성 그리고 메시지 소구유형에는 주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광고효과를 효율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모델전략에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집중도, 상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Attitude toward the Websit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Attention to the Commercial, Attitude toward the Brand, & Purchase Intention.)

  • 조윤식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7권
    • /
    • pp.127-146
    • /
    • 2001
  • 인터넷은 이제 모두의 것이 되고 있다. 따라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변수들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이론적 체계를 형성하고, 이러한 이론적 체계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연구모형 에 의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변수들은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웹사이트 복잡성, 웰사이트 검색경험, 웹사이트에 대 한 태도, 광고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집중도, 상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 등으로 나 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수들 중에서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태도, 광고에 대한 집중도, 상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 등의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것 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울 달성하기 위해 관련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연구 모형과 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설정한 10개의 가설 모두가 채택이 되었다. 이는 비록 편의표본추출 에 의한 탐험적 성격의 연구이지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마케팅의 관 점에서 기존의 매체 즉, TV, 신문, 잡지 등의 매체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성격의 매체인 인 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상품의 광고는 접근방법도 또한 달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의 매체와는 달리 컴퓨터를 매개로 한 웹사이트 광고는 컴퓨터 자체의 성능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아무리 좋은 광고라도 컴퓨터 성능이 그러한 광고를 화면에 재현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복잡하면 웹사이트 방문자들이 광고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거나 아니면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해 버리기 때문에 컴퓨터 성능적 제약조건 하에서 최선의 광고를 제작해야 하고, 웹사이트도 제작해야 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 PDF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성적소구광고 이미지의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Attention of Sexual Appeal Advertising Image Utilizing Eye Tracking)

  • 황미경;권만우;이상호;김치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07-212
    • /
    • 2020
  • 본 연구는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성적소구 광고 중에서 특히 주관적으로 해석하기 쉬운 소주광고 이미지를 AOI(area of interest) 3영역(얼굴, 몸매, 제품)으로 설정하여 심리 생리학적 지표 중 하나인 아이트래킹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광고모델의 시각적 주의, 즉 관심도가 몸매보다는 얼굴에서 높게 나타났다. 남자가 여자보다 몸매에 관심도가 높을 거라는 예측과는 달리 남녀 모두 몸매보다는 얼굴에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에 대한 재인과 회상은 유의하지 않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남녀 소비자들의 시선의 응시점과 응시시간 등의 시각적 주의의 패턴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소주광고 이미지가 나아가야 할 표현방식과 나아가 적절한 마케팅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소주광고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주길 기대한다.

직장여성의 패션제품이미지 선호도가 브랜드이미지 중요도 및 광고요소 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n brand image importance an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of working women)

  • 이현정;이규혜
    • 복식문화연구
    • /
    • 제24권3호
    • /
    • pp.324-335
    • /
    • 2016
  •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changes depending on one's lifestyle and personal inclination. Women want to show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ften through their clothing and makeup choices. Brand image includes those elements related to the brand. Advertising is the primary method for introducing br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n emphasis of brand image an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targeting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was s sophisticated image. Preference for a sophisticated ima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hasis of brand image when selecting fashion products. Emphasis of brand image has a notable effect on the brand 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brand's direct and in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When selecting a fashion product (clothing and cosmetics), brand image import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brand's 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Therefore, fashion companies should take advantage of their brand logo. Companies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clothing and product containers used in advertising to show the brand. In addition, every company should create an advertising image that represents their overall brand, by using a combination of detaile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인쇄매체광고의 패러디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Parody Effect on Print Ad.)

  • 김규철;조경섭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231-242
    • /
    • 2002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광고매체로서 뉴미디어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방송매체 시장 성장률이 증가 추세를 보이는 반면 인쇄매체 광고시장 성장률은 둔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효율적인 광고제작기법을 통해 인쇄매체광고의 활성화에 일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포스트모더니즘 기법의 하나인 패러디 광고를 인쇄매체에 활용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광고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인쇄매체광고의 패러디 효과를 실증적으로 측정해 보기 위해 기존에 안정적인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는 최초상기도, 광고신뢰도, 광고에 대한 태도, 상표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 변수에 대해 패러디광고와 패러디 되지 않은 광고간에 나타나는 광고효과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다양한 장르의 패러디에서 패러디 되지 않은 광고에 비해 보다 높은 광고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쇄매체광고에서 효율적인 패러디의 도입을 통해 보다 높은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패션광고에 나타난 예술작품의 혼성모방 (Pastiche of Art-Works in Fashion Advertising)

  • 예민희;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072-1084
    • /
    • 2016
  • Over the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art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in fashion studies. This study seeks to research and inquire on the relation of pastiche strategies with art-works in fashion advertising with a focus on luxury fashion brands. Pastiche means 'the exhaustion of creativity' and can be represented in fashion advertising's borrowing of art-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of fashion advertising and pastiche,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fashion and art. Based on this as a framework, this study examines cases of art-work in fashion advertising, then reveals the effect that luxury fashion brands achieve through art. Unfortunately, every case cannot be confined to pastiche, but drawing on the strategy of pastiche allows us to show how art is being used in advertisement as well as how fashion and art are being changed.

IPTV VOD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로그램과 게재위치 요인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VOD advertising in IPTV: Focus on Program and Ad location factors)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123-130
    • /
    • 2016
  • 본 연구는 IPTV VOD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IPTV의 Pre-Play와 프로그램 삽입광고 게재위치 형태로 실험자극물을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VOD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광고주목도와 프로그램 몰입도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그램 시청만족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VOD 광고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는 광고주목도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프리플레이(Pre-Play)와 삽입광고 게재위치 간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현재의 프리플레이(Pre-Play) 광고게재 전략이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향후에 IPTV VOD 광고를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소주광고 포스터의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Precautions of Soju Advertising Posters Using Eye Tracking)

  • 황미경;권만우;박민희;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368-375
    • /
    • 2020
  • In this study, the area of interest(AOI) of Soju ad poster was tracked for analysis the time to frist fixation, the average of fixation duration and count by the study index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isual attention was higher the face than the body shape of the ad model. This means "when we look at printed ads, we see picture elements first, not language one" but language elements can't be overlooked either. Also, the importance of the model role could be verified by measuring the visual attention on the Soju ad pos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further research on ad posters is carried out and scientific and quantitative interpretation methods are presented, it can be used as product marketing data that can be reflected in ad model selection and poster design.

의류광고 안내지(DM) 관심도와 소비자 특성과의 관계 (The Interest of Apparel Advertising Direct Mail Relating to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 박신정;이명희
    • 복식
    • /
    • 제26권
    • /
    • pp.211-220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est of apparel ad-vertising direct mail(DM) and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 like their marital state, age, educational level, expenses on clothing purchase, and rigidity. Samples were 243 women(24∼35 years of age) in the Seoul,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s. 1. The department store sent out the most ap-parel advertising DM and the most common dis-tribution method was carrying the DM with the newspapers, 2/3 consumers paid attention to the contents of the apparel advertising DM with 'some interests'. 2. Jackets and pants were the most purchased items after seeing the apparel advertising DM. 3. The interest in the contents of the apparel advertising DM varied according to the consumers' marital state ad the expenses on cloth-ing purchase. 4. Rigidity, age, educational level, and the clothing purchase expenses contributed to discriminant the interesting or uninteresting group in DM. The accuracy rate of the predicting the groups by the 4 variables was 60.9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