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Agency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7초

신문광고의 메시지 지향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아파트 분양광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ssage Orientation of Newspaper Advertisements - With a focus on apartment sales ads in Busan)

  • 최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27-132
    • /
    • 2018
  • 본 연구는 부산시 아파트 분양광고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광고 표현의 메시지 지향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부산지역 신문광고를 대상으로, 아파트 분양광고의 광고소구 방식 및 메시지 유형을 분석하였다. 브랜드(전국기반 브랜드, 지역기반 브랜드)에 따라 광고소구 방식(이성적 소구, 감성적 소구)과 메시지 지향성(환경지향성, 감성지향성, 투자지향성, 기능지향성)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부산시 대부분의 아파트 분양 광고가 이성적 소구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기반 브랜드는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가 비슷하게 사용된 것에 비해 지역기반 브랜드는 이성적 소구의 사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광고 메시지 지향성은 투자지향성과 감성지향성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이익이나 프리미엄을 나타내는 투자지향성 메시지의 사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자부심, 행복을 나타내는 감성지향성 메시지의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 표현 전략의 차이가 브랜드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아파트 분양광고의 메시지 전략에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기사형 섹션(특집)광고 심의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Advertising Review of Daily Newspaper Section (Special Edi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유현중;지원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235-241
    • /
    • 2019
  •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일간신문의 섹션(특집)광고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신문윤리위원회의 심의 결정집에서 조치를 받은 총 1,927개의 광고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로 유형별 특징은 대부분의 섹션(광고)는 경고보다는 주의 조치를 많이 받았다. 두 번째는 주요 일간신문의 섹션(특집)광고의 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주요 경제지에도 섹션광고가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번째로 신문윤리강령의 실천 요강 중 언론으로써의 책임과 보도준칙에 위반사항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특정기업, 제품의 경우 영리와 홍보를 위해 게재의 원칙을 지키지 않는 경우는 신문의 신뢰성과 공정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지키기 위한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보다 자율적 차원의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 표시 및 규제 방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제작 실무자들의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vertising Display and Regulation Method of Native Advertising - Focus on Expert research by production practitioners -)

  • 유현중;정해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55-462
    • /
    • 2022
  • 본 연구는 다양한 플랫폼에 나타나고 있는 네이티브 광고의 표현과 형식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규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고 실무 담당자들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이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네이티브 광고의 표현과 형식에 대한 문제점으로 다양한 플랫폼에 나타나고 있는 무분별한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혼잡성과 기만성으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 두 번째 이용자들의 상호작용을 위해 플랫폼별 타겟팅을 통한 맞춤형 광고 표현이 제작되어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세 번째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규제와 관련하여 소비자 보호를 위한 규제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시장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플랫폼에 따른 네이티브 광고의 전략적인 운영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인터넷 광고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측정방법 (A Secure and Efficient Metering Scheme for Internet Advertising)

  • 김순석;신제용;김성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3호
    • /
    • pp.153-16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광고에서 웹사이트를 방문하려는 고객과 서버들간에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안전하고도 효율적인 측정 방법에 관해 고려한다. 대개의 인터넷 광고는 많은 고객들과 서버들 그리고 서버들에 의해 제공되는 고객들의 수에 관한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 감사 기관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측정 방법은 항상 고객의 방문 횟수를 과장되게 조작하려는 서버의 악의 있는 시도라든가 측정 과정을 붕괴하려는 고객들의 시도로부터 항상 안전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러 암호학적인 기법들에 기반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정확하고 강건한 측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When Brand Activism Advertising Campaign Goes Viral: An Analysis of Always #LikeAGirl Video Networks on YouTube

  • Lee, Mina;Yoon, Hye 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46-158
    • /
    • 2020
  • As one of the successful brand activism ad campaigns in recent years,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Always #LikeAGirl campaign that took on the issue of girls and female empowerment. As a viral video marketing campaign with YouTube as their main vehicle for campaign dissemin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Always brand activism campaigns spread on YouTube by conducting a network analysis of YouTube video networks generated by the #LikeAGirl campaign spanning across five campaign periods. Quantifiable data (i.e., views, comments, likes, dislikes, user-generated videos) and structural network patterns show that the Always #LikeAGirl campaign was successful by both standards. Although the follow-up campaign periods were not as successful as the initial campaign, the substantial amount of views, comments, likes, and user-generated content showed that the consecutive campaigns still had impact. As shown through the network patterns, the main campaign ads were central in the diffusion of the campaign during the earlier periods but that role was passed onto the user-generated contents in the later period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future social network analysis studies in brand advertising and brand activism campaigns are further discussed.

광고윤리의식과 소비주의촉진인식 관계성 비교: 한중소비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Study compares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of advertising ethics and promote consumerism: Focus on the cogni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consumer)

  • 유승엽;김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85-93
    • /
    • 2013
  • 본 연구는 논쟁적인 광고 표현들에 대한 한중 소비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즉, 문제가 되는 광고유형들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어떠한 윤리적 평가를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으며, 또한 한중 소비자들의 광고윤리지각 평가에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한중 소비자들이 광고 유형에 대한 평가에서 소비주의촉진 인식과 관련성이 있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광고의 부정적 역할 측면에서 중국소비자의 긍정인식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 역할 인식에서 한국소비자들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광고에 대해 한국소비자가 중국소비자에 비해 긍정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적소구 광고에 대해 중국의 소비자들이 한국소비자들에 비해 매우 관대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담배광고에 대해 한국과 중국소비자 모두 담배광고에 대해 부정적인 윤리지각을 보였다. 다섯째, 불쾌한 광고에 대해 인종차별과 같은 광고게재 행위에 대해 양국 소비자 모두 매우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에이즈 확산을 위해 콘돔광고 허용에 대해 양국 소비자 모두 긍정응답을 나타내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중국에 진출하고 있는 한국기업의 경영자 및 광고대행사의 광고실무자에게 효과적인 메시지 수용전략을 세우는데 활용가능 할 것이다.

크리에이티브 직군들의 직급에 따른 스트레스 유형 차이에 관한 연구 -국내 광고대행사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Classes-related Stress Typical Difference of Creative′s - Regarding Advertisement Agency in Korea-)

  • 김도광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11-220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고 크리에이티브 직무 종사자들의 직급별 스트레스 유형 차이에 관한 실태를 연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광고 크리에이티브는 광고대행사내의 핵심적인 부문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들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 그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직급별 스트레스에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광고 크리에이티브 직군들이 가장 높게 느끼는 스트레스 유형은 광고주에 대한 스트레스였다. 스트레스 세부 항목 중의 상위 5개 항목의 평균에서 부국장 국장급의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순으로는 사원 대리급, 차장 부장급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국장 국장급의 특이점은 스스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는 점이었다. 차장 부장 급에서는 주말 휴일 근무로 인한 가족불평의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점이 달랐다. 사원 대리급에서는 타 직급에 비해 많은 업무량에 대한 스트레스 지수가 높았다. 프레젠테이션 등의 상황적 변인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부국장 국장급에서 타 직급보다 높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크리에이티브 업무 종사자들의 스트레스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황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그들의 직급에 따른 내부적 스트레스 구조를 부분적이나마 밝히게 되었다. 이러한 직급의 구조로 인한 스트레스는 대부분 바로 해소시킬 수 없는 것들이어서 장시간에 걸쳐 형성되면 그것은 크든 작든 조직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직급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스트레스 원인 규명 외에도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계속하여야 한다. 성공적인 크리에이티브는 광고대행사의 조직적인 시스템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그 조직이란 결국 크리에이티브 직군들 개개인의 노력과 자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PDF

SNS 이용과 기업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국여행사를 중심으로 (Impact of the SNS Utilization and Firm's Characteristics on the Performance of the Travel agency in China)

  • 왕천군;박상문;김명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4권4호
    • /
    • pp.215-227
    • /
    • 2017
  •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re leading to the rapid evolution of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 various directions and industries. Initially, SNS have been used as the form of networking between user's groups. Currently SNS has been developed towards multiple purposes and platforms such as the promotion and the advertising of a company. There are many SNSs including QQ, Weibo, and Wechat and so on in China. However, the use of companies in terms of advertising and information sharing with the customers do not meet the trend in China. Especially, there were little researches for Chinese travel agencies how to utilize SNS for attracting new customers and making them contribute to the firm's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tr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firm's characteristics and the usage of SNS on the performance of Chinese travel agencies. Based on Top 100 China travel agencies in 2009,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irm's characteristics and the usage of SNS, and firm's performances in 2013. We expect that our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ncreasing academic and practical needs on the empirical evidence of the impacts of the SNS utilizations on the firm's performance.

브랜디드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유형구분을 중심으로) (Case Study for the Communication Elements of Branded Contents Ad (Focused on Division of Contents Type))

  • 김종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95-304
    • /
    • 2020
  • 본 연구는 브랜디드콘텐츠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기법에 관하여 연구해 본 탐색적 논문이다. 광고의 발전과정과 개인화 된 모바일 광고트랜드 현상, 브랜디드콘텐츠의 유형들을 고찰한 후, 남녀 전문가 집단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반구조화 면접을 진행하여 브랜디드콘텐츠의 움직임에 관하여 제작자의 입장과 소비자의 입장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선천적 브랜디드콘텐츠와 후천적 브랜디드콘텐츠로 나뉘어졌으며. 선천성 브랜디드콘텐츠는 주의-의식-흥미-협상의 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러한 소비자의 행동을 위해 제작자는 탑재-전파-지속-타협 의 과정을 수반한다. 이에 비해 후천성 브랜디드 콘텐츠는 소비자가 주의-흥미-인지-타협의 단계로 반응하며, 소비자의 행동을 위해 제작자는 콘텐츠를 전달함에 있어 전파-지속-탑재-타협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탑재'와 '타협'은 브랜디드콘텐츠의 대표적 특징이며, 선천성/후천성 브랜디드콘텐츠의 소비자 이탈단계가 서로 상이하다는 점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SNS 광고의 속성인식과 구전의도 비교연구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Attribute Recogni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of SNS Advertising - Focused on Facebook, Instagram, KaKaoStory and Twitter)

  • 정창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19-428
    • /
    • 2020
  • SNS미디어가 디지털 기술의 혜택으로 물리적인 접근성의 편리와 콘텐츠가 갖는 오락성·상호작용성 등의 새로운 미디어의 특장점으로 미디어 점유율을 높이며, 이용자들의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 소비자들이 기존 전통 미디어에서 SNS로 대거 이동함에 따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도 페이스북 등 앞서가는 SNS 플랫폼에 발빠르게 적응해 가는 중이다. 본 연구는 미디어 콘텐츠의 생성과 소비 시스템이 서로 비교적 유사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를 중심으로, 사용자들이 각각의 SNS에서 네 가지 광고속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비교하고, 이 속성들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또 이를 통한 효과적인 SNS 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