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sorption rate

검색결과 1,043건 처리시간 0.026초

고분자가 흡착된 약물 나노결정입자의 분무 건조 (Spray Drying of Polymer-Adsorbed Drug Nanocrystal Particles)

  • 최지연;유지연;김환용;정상영;허윤석;홍성철;이종휘
    • 공업화학
    • /
    • 제17권1호
    • /
    • pp.106-110
    • /
    • 2006
  • 약물입자들을 나노크기로 만들어 이용하면 기존 제형에 비해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생체 내 낮은 흡수율을 가진 난용성 약물들은 그 입자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흡수율과 생체이용률이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용성 약물인 이트라코나졸의 나노입자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폴리비닐피롤리돈(PVP)과 다양한 당을 안정화제로 사용하였다. 당으로 안정화된 이트라코나졸 나노입자는 5일 동안의 습식분쇄 공정으로 성공적으로 제조되었다. 그 후 얻어진 액상의 입자를 분무 건조하고 그 건조분말의 재분산성을 알아보았다. 분무 건조 시 가공 변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온도, 압력, 유속 등을 변화시켰다. 입자크기 분석을 통해 당을 함유한 나노입자 건조분산체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재분산도가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SEM)과 원자현미경(AFM)을 이용하여 나노 결정입자들이 구형에 가까운 모양인 것을 확인하였다.

항생물질 발효 부산물이 수도 및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biotic Fermentation Residues on Rice and Tomato Growth)

  • 임수길;양한철;김성복;권혁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2-56
    • /
    • 1984
  • Erythromycin 및 Rifamycin 두 종의 항생물질 발효 부산물의 농업적 이용에 대한 검토를 위하여 발효 부산물 자체의 이화학적 성질의 조사와 함께 경기도 벽제 소재 일반 농가의 논과 밭토양을 이용하여 수도 및 토마토를 표식작물로 하여 두 종 시험물질은 시용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항생물질 발효균제 두 종은 모두 중성물짙($pH 6.8{\sim}7.4$)로서 다량의 유기물($21.6{\sim}24.2%$), 인산 ($2900{\sim}4600 ppm$) 및 치환성 염류($55.4{\sim}138.3meq/100g$)를 함유하였다. 2) 두 종의 항생물질 부산물은 일반토양 보다 높은 등전점($pH 7.0{\sim}8.0$)을 가짐과 동시에 양전하의 발달이 급격하여 음 ion의 흡착용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수도에 대한 두 종 항생물질 부산물의 시용효과는 삼요소 단용구 및 기타 유기질 비료의 시용효과와 대응하였으며 반당 40㎏ 시용에서 최대의 정조 수량을 나타내었다. 4) 토마토에 대한 두 종 항생물질 부산물의 시용효과도 수도에 대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 평균적으로 기타 비료 시용효과와 대등하였다. 5) 생육상황 중 수도는 식물체 초장, 건물중 및 유효 분얼 주당 수수, 그리고 토마토에 있어서는 묘목수장과 생체중이 각기 수량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이들이 수량증가에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 PDF

팽창질석을 이용한 중금속 흡착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sorptive Removal of Heavy Metals Using Inflated Vermiculites)

  • 이준기;고태훈;김수경;이태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61-6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팽창질석을 이용하여 중금속 흡착 제거능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먼저 XRF를 사용하여 질석의 화학적 조성을 분석하였고, 시료중의 중금속 농도분석은 ICP-AES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용액 상의 중금속 제거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Batch kinetic test와 batch sorption test가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시료용액의 pH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약 5시간 경과 후 pH가 평형상태에 도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3mg\;L^{-1}$의 초기농도로 실시된 실험에서 평형농도(1680분 후)에서의 제거율이 각각 Pb: 98.54%, Cd: 96.82%, Cu: 96.08%, Zn: 96.71%, Cr: 36.23%로 크롬을 제외한 모든 중금속 성분이 90% 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어 선별적이지만 중금속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batch sorption test를 통해 얻은 결과를 각각 Freundlich와 Langmuir 등온흡착식에 대입한 결과 두 가지 등온흡착식 모두에서 흡착용량이 Pb>Cd>Cu>Zn>Cr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Langmuir model을 통해 알아낸 최대흡착용량(Qmax)은 Pb $725.4mg\;kg^{-1}$, Cd $568.8mg\;kg^{-1}$, Zn $540.2mg\;kg^{-1}$, Cu $457.2mg\;kg^{-1}$ Cr $0.9mg\;kg^{-1}$로 나타나 크롬을 제외한 나머지 중금속에 대한 높은 흡착 제거능을 보임으로써 흡착제로써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다양한 단백질과 폴리펩타이드로 코팅된 PLGA 표면과 슈반세포와의 상호관계 (Interaction of Schwann Cells with Various Protein- or Polypeptide-Coated PLGA Surfaces)

  • 박기숙;김수미;김문석;이일우;이종문;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30권5호
    • /
    • pp.445-45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슈반세포와 다양한 세포 부착인자로 코팅된 고분자 표면과의 상호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세포 접착인자로 알려진 피브로넥틴, 피브리노겐, 라미닌, 비트로넥틴, 폴리-D-라이신 및 폴리-L-라이신을 PLGA 필름에 코팅하고 물 접촉각 측정과 ESCA 분석을 실시해 표면특성을 평가하구 접착인자로 코팅하거나 하지 않은 PLGA 필름의 표면에 슈반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 계수와 SEM 관찰을 통해 세포 부착과 성장을 알아보았다. 세포 계수 결과에서 세포 부착은 PLGA 표면의 단백질 흡착과 관련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포의 성장은 배양액의 우태아혈청 함량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슈반세포의 접착과 성장이 특정한 세포 접착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조직공학적 신경 재생에 응용하기 위한 신경유도관의 개발에서 세포의 부착과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세포의 종류 및 배양조건에 따라 신경유도관이 적절한 표면환경을 제공해야 함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Sprague Dawley 쥐에서 장내 유래 Lactobacillus sp. KP-3의 중금속 축적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Intestine-oriented Lactobacillus sp. KP-3 on the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Sprague Dawley rats)

  • 김신연;김현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4-173
    • /
    • 2015
  • 유산 균주들을 신생아 및 성인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하여 그 중에서도 가장 중금속 흡착능이 크고 중금속에 내성이 있다고 사료되는 균주 KP-3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sp.으로 밝혀졌다. 동물 실험에서는 생후 4주령의 Sprague dawley male rat에게 선별한 균주 KP-3를 투여하여 혈액 및 장기 내의 중금속 축적 저해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조사하였다. 실험군으로는 SD rat 한 마리당 Lactobacillus sp. KP-3와 중금속 10 ppm을 혼합하여 약 100 ml/day씩 7일간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 중금속과 멸균 생리 식염수를 혼합하여 투여한 군과 Lactobacillus sp. KP-3와 멸균 생리 식염수를 혼합하여 투여한 군, 멸균 생리 식염수 만을 투여한 군으로 분리하여 SD rat 한 마리당 약 100 ml/day씩 7일간 투여하였다. 혈액, 간장 및 신장의 시료를 채취하여 카드뮴(Cd), 크롬(Cr), 납(Pb) 등의 중금속 축적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크롬(Cr)은 신장에 주로 축적되었고, 납(Pb)은 간장과 신장에 주로 많은 축적을 보였고, 실험군인 Lactobacillus sp. KP-3와 중금속을 혼합하여 투여한 군에서는 중금속만을 투여한 군보다 중금속 축적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뮴(Cd), 크롬(Cr), 납(Pb)의 평균 중금속 축적 저해율은 각각 41.8%, 33.4% 44.2%로 나타났다. 특히, 혈액에서의 중금속 축적 저해율은 약 70%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혈액에서의 카드뮴 축적 저해율은 100%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탐색하여 최적화된 유산균이라고 생각되는 Lactobacillus sp. KP-3균주는 실험 결과에 의하면 중금속 축적 저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유산균이 함유된 식품을 지속적으로 섭취함으로써 체내의 중금속의 축적 억제에 도움이 크게 되리라 생각된다.

CO2 포집용 아민 흡수제에서 탄산무수화 효소가 CO2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bonic Anhydrase on CO2 Absorption in Amine Solutions for CO2 Capture)

  • 이인영;곽노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607-612
    • /
    • 2017
  • 연소후 아민 $CO_2$ 포집공정에서 탄산수화 효소의 첨가에 따른 다양한 아민 흡수제의 $CO_2$ 흡수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열을 평가하였다. 30 wt%의 MEA, AMP, DMEA, MDEA 수용액에 소의 적혈구에서 추출한 탄산무수화 효소 250 mg/L 첨가한 후 흡수속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흡수제에서 $CO_2$ 흡수속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1차아민인 MEA와 입체장애아민인 AMP보다는 3차아민인 DMEA와 MDEA에서 속도증진 효과가 컸다. 반응열량계를 이용하여 탄산무수화 효소 첨가후 흡수제(MEA, DMEA, MDEA)와 $CO_2$ 사이의 화학 반응 시 발생하는 반응열을 측정한 결과 효소 촉매의 첨가로 모든 흡수제의 반응열량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연소후 아민 흡수제를 이용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에 탈기 성능이 우수한 3차 아민 계열의 흡수제가 탄산무수화 효소 촉매 적용에 유리한 흡수제이며 이중 MDEA에서 효과가 가장 큼을 알 수 있었다.

芳香族디아민 및 아미노페놀-포름알데히드系 樹脂에 관한 硏究 (第2報) (Studies on Aromatic Diamine and Aminophenol-Formaldehyde Type Synthetic Resins (II))

  • 최규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81-388
    • /
    • 1974
  • p-Phenylenediamine(PPD) 및 m-aminophenol(MAP)를 몰비를 달리하면서, -5∼0$^{\circ}$, $N_2$ 기류중에서 일정량의 포르말린(이때 포름알데히드의 량은 PPD와 MAP 전량에 대하여 2배몰에 해당하는 량으로 고정)과 반응시키면 약간의 발열과 함께 급격히 부가축합이 진행되어 난용성인 갈색 내지 등색의 중합체를 생성한다. PPD:MAP의 몰비가 1:3, 1:2, 1:1의 것들을 180∼220에서 몰비가 2:1, 3:1의 것들을 250∼270$^{\circ}$에서 각각 암색으로 색변화를 이르킬 따름이며, 이 중합체들은 모두 300$^{\circ}$까지 용융하지 않는다. 이들 중합체의 메틸렌블루에 대한 흡착력은 N2 기류중에서 중합시킨것을 묽은(7%)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였을때 현저히 흡착력이 증가되어 PPD-MAP-F(F;포름알데히드)의 몰비가 1:3:8 일때 수지 1g당 80mg의 메틸렌블루를 흡착하며, 브롬페놀블루에대한 흡착력은 PPD-MAP-F의 몰비가 2:1:6일때가 최고이며, 수지 1g당 250mg의 브롬페놀블루를 흡착한다. TGA에 의한 내열성실험에서는 PPD-MAP-F의 몰비가 1:3:8인 경우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N_2$ 기류중 매분 2$^{\circ}$로 가열하였을때 900$^{\circ}$에서 45%의 중량손실을 나타내었다.

  • PDF

현무암 폐석을 첨가한 유해물질 흡착 친환경 인조석재의 특성 (Properties of Harmful Substances Absorption Eco-friendly Artificial Stone Containing Basalt Waste Rock)

  • 편수정;권오한;김태현;이상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431-438
    • /
    • 2016
  • 최근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국내 산업기반 시설과 국민생활기반 시설과 같은 국내 건축물 고급화로 천연석재 마감재 수요 증가와 동시에 국내 채석장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채석장의 증가와 함께 채석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으로 주변 지역 피해가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자면, 채석장으로부터 흘러나온 석면이나 분진이 응집되어 생기는 고체와 같은 발암물질로부터 지역 주민들은 위협받고 있다. 특히 석면에서 방출되는 라돈가스는 지구상 어디에나 존재하고 토양과 암석에서 방출되는 자연방사능 물질로 흡연에 이어 폐암 발병의 주요 원인이다. 실내 환기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실내공기 오염원이 지속적으로 순환될 경우, 두통, 현기증 등의 인체반응이 나타나면서 거주자의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에 유해물질 저감이 시급한 실정이다. 주택 실내공기질의 오염원 중 하나인 라돈가스의 경우 방출원에서 반감기를 거쳐 계속해서 방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완벽한 제거보다 방출원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 라돈가스와 같은 유해물질 흡착 성능을 가진 버미큘라이트의 첨가율을 10%로 고정하고 현무암 폐석을 50, 60, 70, 80% 첨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KS F 4035,기성 테라죠'에 의거하여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현무암 폐석의 첨가율 70%에서 최적의 인조석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글리시돌을 원료로 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of Glycidol Based Nonionic Surfactant)

  • 임종주;김병조;최규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282-291
    • /
    • 2012
  • 글리시돌과 라우릭산으로부터 PGLE와 PGLE3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으며, 합성한 계면활성제들의 구조를 $^1H$$^{13}C$ 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PGLE와 PGLE3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CMC는 각각 $3.59{\times}10^{-2}$ mol/L, $8.80{\times}10^{-1}$ mol/L이며, CMC에서의 표면장력 값은 각각 26.09 mN/m과 28.68 mN/m이었다. 동적 표면장력 측정 결과에 의하면 PGLE와 PGLE3 비이온 계면활성제 모두, 공기와 수용액의 계면이 계면활성제 단분자에 의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포화되었으며, 1 wt% PGLE와 PGLE3 계면활성제 시스템들의 접촉각은 각각 $25.5^{\circ}$$9.5^{\circ}$ 나타내었다. 비극성 오일 n-decane과 1 wt% 계면활성제 수용액 사이의 계면장력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며, PGLE와 PGLE3 시스템 모두 20분 이내에 평형에 도달하였고, 평형에서의 계면장력 값은 각각 0.42 mN/m와 0.53 mN/m를 나타내었다. PGLE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PGLE3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거품 안정성이 큼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거품 안정성 측정 결과는 표면장력 측정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계면활성제, 물, 비극성 탄화수소 오일로 이루어진 3성분 시스템에 보조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25{\sim}60^{\circ}C$의 온도에서 상평형 실험을 수행한 결과, lower phase 마이크로에멀젼 혹은 oil in water 마이크로에멀젼이 excess oil 상과 평형을 이루는 2상 영역만이 관찰되었다.

Kromasil HPLC 칼럼에서 Mandelic Acid의 분리특성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Mandelic Acid in Kromasil HPLC Column)

  • 김병립;김종민;김우식;김인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681-685
    • /
    • 2008
  • Kromasil KR100-5CHI-TBB 칼럼을 사용하여 라세미 mandelic acid를 분리하였다. 분리도(resolution), 이론단수(number of theoretical plates), 용량인자(capacity factor)와 같은 크로마토그라피 변수들을 이동상의 조성(hexane/t-BME = 85/15 - 10/90)과 포름산 농도(0.1, 0.5, 1.0 v/v%)를 변화시켜 실험하여 계산하였다. 칼럼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유속 대 이론단수를 비교하였다. 등온흡착식을 계산하기 위해 PIM(Pulse Input Method)을 사용하였고, mandelic acid의 농도가 0.1에서 0.3 mg/ml 사이일 때 L-과 D-mandelic acid가 각각 8.8분과 9.4분의 체류시간을 보였다. Mandelic acid의 등온흡착식은 0.3 mg/ml의 농도이하와 이동상 조성(hexane/t-BME = 75/25)에서 선형이었다. Mandelic acid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mandelic acid는 비선형 거동을 보였고, Langmuir 등온흡착식은 L-과 D-mandelic acid의 경우 각각 $C_{S,L}=3.358C_{M,L}/(1+0.0897C_{M,L})$, $C_{S,D}=3.692C_{M,D}/(1+0.1457C_{M,D})$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