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missions Officer Screeni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School Life of the Freshmen Selected by Admissions Officers Screening)

  • 전경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08-517
    • /
    • 2012
  • 입학사정관제는 점수위주의 경쟁을 지양하고 개별학생들이 지닌 잠재력과 역량을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 2008학년도 입시부터 처음 도입된 전형인 입학사정관제는 2012학년도에는 전체 대학 모집인원의 11.8%를 뽑는 수준으로까지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이 실제 학교생활을 분석함으로서 입학사정관제의 성과를 분석하고, 나아가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선발된 신입생이 잠재력과 역량을 발휘하며 대학생활을 성공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측정변인으로 선정한 학교적응도, 학교만족도, 진로성숙도, 학습태도에 있어서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은 모든 변인에서 타 전형학생들보다 긍정적인 응답을 보여주었고, 학교적응도와 학교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태도에 있어서 행동적 측면의 수업태도는 부족함을 나타내었다. 이에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들이 지닌 긍정적인 학교적응도와 학교만족도를 보다 고취시키며, 학습태도를 개선하기위한 위한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제공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K대학교 사례 (A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students admitted by admissions officer selection: K university case)

  • 최현석;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149-11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1학년과 2012학년도 K대학교 입학생 중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과 일반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평균평점과 상대하위순위 (relative ascending rank)에 기초한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을 통해 입학사정관전형의 실효성과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입학사정관 전형과 일반 전형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반 전형의 학업성취도가 입학사정관 전형의 학업성취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사정관, 수시 일반, 정시 일반 모집별로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입학사정관제 학생들이 일반 전형학생들에 비해서 거의 모든 학기에서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반 전형 중에서는 수시일반 학생들에 비해 정시 일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거의 모든 학기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면접전형을 중심으로 (A Study of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dmissions Officer Interview System for College Admission: Focusing on the interview screening)

  • 한우석;강경희;김진경;이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391-398
    • /
    • 201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입학사정관제의 면접영역에 대한 평가와 입학사정관제도 전반의 개선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대전지역 인문계 고교 교사들의 응답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잠재력 평가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가치관과 도전정신, 적극성 등을 중요한 요소로 평가하였고, 인성 평가와 관련하여 책임감과 공동체 의식, 갈등극복의 유연성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이외에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보강되어야 할 면접문항은 학생들의 의욕과 인생관, 창의성 등이었다. 둘째,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만족도는 총 15점 중 9.34점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학사정관제의 운영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는 선발과정의 공정성 확보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보장하고, 입학사정관제도의 개선방안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과학고 자기주도학습전형 쟁점 연구 (A Study of Issues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Screening(SDLS)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

  • 정연홍;최호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43-352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고 자기주도학습전형에서의 쟁점항목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여 자기주도학습전형 진행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문헌조사와 과학고 입학담당관(혹은 입학사정관) 면담 등을 통해 예비-잠정쟁점사항을 추출한 후 교육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검토를 받았다. 그리고 전형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거쳐서 내용타당도를 검정한 후 쟁점항목 96개를 도출하여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개 과학고의 입학담당관들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이용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개별 쟁점항목에 대하여 입학담당관들의 인식의 중요도와 개별 학교에서의 발생유무였다. 수집된 자료들에 대한 쟁점항목 중요도와 발생 빈도수를 통계 처리하여 두 요인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분한 후 2차원 분류표에 유형별로 배치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4가지의 유형별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유형은 개별 쟁점들의 중요도와 발생빈도수에 대한평균이 전체의 평균보다 모두 낮은 28개의 항목으로 이들은 경미한 쟁점에 해당한다. 두 번째 유형은 전체 평균보다 개별 쟁점의 중요도 평균은 높지만 발생빈도수 평균은 낮은 29개 항목의 잠재적 쟁점이다. 세 번째는 평이한 쟁점으로 이것은 두 요인에 대한 전체 평균에 비해 개별 쟁점의 중요도 평균은 낮지만 발생빈도수는 높은 17개 항목이다. 마지막으로 주요 쟁점이다. 이것은 두 요인에 대한 개별 쟁점항목들의 평균이 전체 평균보다 모두 높은 22개의 항목이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자기주도학습전형 쟁점항목들의 종류와 유형들은 이 전형을 실시하는 학교에서 전형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특히 주요 쟁점에 대해서는 전형계획 수립 과정에서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