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juvant radiation therapy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6초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 (Postoperative Adiuvant Radiation Therapy in Endometrial Carcinoma)

  • 신경환;최은경;안승도;장혜숙;목정은;남주현;김영탁;김용만;김종헉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40-45
    • /
    • 2000
  • 목적 : 수술 및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내막암 환자의 예후인자, 재발 장소 및 생존율 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9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서을중앙병원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를 받은 27예의 자궁내막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은 단순자궁적출술이 6예, 단순자궁적출술 및 림프절 절제술이 8예, 근치적 자궁적출 술이 13예에서 시행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이 중 16예에서 ovoid를 이용한 질내조사가 추가되었다. 조사선량은 외부 방사선치료는 총 50.4 Gy를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질내조사는 1회 분할선량 4$\~$5 Gy씩 4내지 5회 시행하였다. 추적기간은 6개월에서 95개월로서 중앙추적기간은 30개월이었다. 결과:FIGO 병기는 I-18예(67$\%$), II-1(4$\%$), III-8예(29$\%$)이었고, 조직분화도는 1$\~$14예(52$\%$), 2$\~$6예(9$\%$), 3$\~$7예(26$\%$)이었다. 수술 후 조직 소견상 조직분화도가 나쁠수록, 자궁근층의 침범 정도가 심할수록, 자궁부속기의 침범이있는 경우, 림프-혈관 침범이 있는 경우 골반내 림프절이 양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추적이 종료된 시점에서 사망한 환자가 한 예도 없어 전체 생존율은 100$\%$이었으나 3예에서 병이 재발되어 3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이 각각 89.6$\%$,, 76.8$\%$이었다. 재발 장소는 골반내, 대동맥방림프절, 폐를 포함한 다발성 등이 각각 I예 이었고 질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FIGO 병기(p=0.01), 림프-혈관 침범(p=0.03), 골반내 림프절 침범(p=0.0001)등이 무병생존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분화도가 나쁠수록 무병생존율이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p=0.1). 치료부작용으로는 1예에서만 Grade 1의 직장출혈이 나타났으나 중등도 이상의 합병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결론 : 수술후 조직학적 소견에 따른 외부방사선치료 및 추가 질내조사는 국소재발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결과적으로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병기 및 조직분화도에 따라 질내조사를 추가하지 않는 경우 질 재발이 호발하는 환자군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십이지장루를 동반한 횡행결장암 1예 (Transverse Colon Cancer with Duodenal Fistula)

  • 임성경;박선자;박무인;문원;김성은;백승언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68-71
    • /
    • 2014
  • 한 달 동안의 점점 커지는 복부의 종괴를 주소로 방문한 57세 남자 환자에서 대장-십이지장루를 동반한 대장암을 진단하였으며, 이에 대해 수술 전 동시 항암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수술 범위를 줄일 수 있었던 좋은 예였다. 국소적으로 진행된 대장암 환자에서 본 증례와 같은 합병증으로 수술의 범위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면, 보존적 치료 및 수술 전 동시 항암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수술 범위를 좁히는 것이 환자의 치료 경과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trospective analysis of treatment outcomes after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 Kim, Sup;Kim, Jun-Sang;Jeong, Hyun-Yong;Noh, Seung-Moo;Kim, Ki-Whan;Cho, Moon-June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252-259
    • /
    • 2011
  • Purpose: To evaluate retrospectively the survival outcome, patterns of failure, and complications in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CRT) in advanced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6, 80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o received postoperative concurrent CRT were included. Pathological staging was IB-II in 9%, IIIA in 38%, IIIB in 33%, and IV in 21%. Radiotherapy consisted of 45 Gy of radiation. Concurrent chemotherapy consisted of a continuous intravenous infusion of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on the first 4 days and last 3 days of radiotherap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48 months (range, 3 to 83 months). The 5-year overall survival, disease-free survival, and 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s were 62%, 59%, and 80%, respectively.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significant factors for disease-free survival were T stage (hazard ratio [HR], 0.278; P = 0.038), lymph node dissection extent (HR, 0.201; P = 0.002). and maintenance oral chemotherapy (HR, 2.964; P = 0.004). Locoregion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occurred in 5 (6%) and 18 (23%) patients, respectively. Mixed failure occurred in 10 (16%) patients. Grade 3 leukopenia and thrombocytopenia were observed in 4 (5%) and one (1%) patient, respectively. Grade 3 nausea and vomiting developed in 8 (10%) patients. Intestinal obstruction developed in one (1%). Conclusion: The survival outcome of the postoperative CRT in advanced gastric cancer was similar to those reported previously. Our postoperative CRT regimen seems to be a safe and effective method, reducing locoregional failure without severe treatment toxicity in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기관 협착에서 레이저와 방사선 치료의 적용 (Treatment of Potassium Titanyl Phosphate Laser and Radiation Therapv for Tracheal Stenosis)

  • 김광택;김맹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237-1241
    • /
    • 1997
  • 기관협착에서 기관절제 문합술을 적용할 수 없을 경우 레이저 소작술은 고식적 치료수기 중 하나로 사용 되고 있다. 저자들이 1995년부터 1996년 5월까지 기도폐쇄병변에서 기도재건수술 전 또는 후에 KTP (Potassium Titanyl Phosphate)레이저를 이용하여 굴곡성 기관지경의 생검용 채널로레이저 소작술을 시행한 치료결과를 보고한다. 레이저 소작술받은 환자는 모두 7명이며, 이중 남자는 3명 여자는 4명이었으며, 평균연 령은 43.7세이었다. 대상환자의 기관협착의 일차 원인은 외상에 의한 기관절개술후 협착의 3례와 폐혈증으로 인한 장기간의 기관튜브삽관이 원인이된 1례, 기관 결핵이 1례, 그외, 폐암이 기관내에 국소 재발한 2례이었다. 레이저 소작술의 치료 대상이 된 기도협착의 경우는 절제 문합후 문합부의 협착재발이 2례, 기관절개소공의 협착이 3 례, 폐암이 국소 재발한 2례이었다. 기관협착기 부위는 삽관의 풍선부위(기관절개공이 형성된 자리로 부터 3-4 cm 하부, carina 상방 2~3 cm)가 1례, 문합부위가 5 mm이하로 좁아진 경우가 4례있었으며, 기관내의 협착랭변은 전벽에서 2명, 후벽에서 1명, 기관전주위(circumferential)협착인 경우가 2명이였다. 레이져 소작술은 평균 25.4$\pm$5.9분의 시간이 걸렸으며, 1768$\pm$365J의 에너지가 조사되었다. 레이저 소작술 실시 후 환자들은 현저한 증상의 호전을 볼 수있었으며, 기관지 내시경하에서 기관의 내경이 7mm이상 커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레이저소작술 후 합병증으로는 경미한 기관지경축(bronchospasm)이 1례있었다. 레이저소작술을 시행한 후 협착이 재발한 환자 3명에서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다. 방사선 치료가 섬유아 세포의 거대성장을 예방하는 것에 착안하여 기관지내시경하 레이저소작술실시 직후, 4시간 안에 방 사선을 외부조사하였다. 보조적 방사선치료 후 환자들은 현재 10개월이 지나는 동안 재협착이 발생되지 않았다.

  • PDF

Breast Cancer in Men: a Report from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in Kermanshah Province, Iran

  • Amirifard, Nasrin;Sadeghi, Edri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5호
    • /
    • pp.2593-2596
    • /
    • 2016
  • Background: Male breast cancer (MBC) is a rare disease that accounts for less than 1% of all cancers in men and less than 1% of all diagnosed breast cancers. 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treatment options and overall survival in Kurdish MBC case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MBC were referred to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in Imam Reza Hospital, Kermanshah, Iran, between 2010 and 2016.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ER, PR and Her2 biomarkers and FISH for those with Her2 2+. Median follow-up period was 30 months (2-65 months). We excluded from the study patients who did not have follow-up after initial diagnosis. Treatment methods were chemotherapy, radiotherapy, hormonal therapy, target therapy and palliative care. Survival was estimated by the Kaplan Meier method (Prism 5). Results: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49.24{\pm}17$ years (range, 24-85 years). Grade II was the most grade in MBC (65%). Fourteen patients (82%) had invasive ductal carcinoma, one (6%) had ductal carcinoma in situ and 2 (12%) had invasive papillary. ER, PR and Her2 were significantly positive in 14/17, 8/17 and 2/17 cases, respectively. The treatment included modified radical mastectomy for most patients. Chemotherapy with TAC and CEF regimens was delivered to 15/17 cases. Tamoxifen therapy was delivered to 14/17 cases. Three stage IV patients received Avestin and two with Her2 3+ were given Trastuzumab (Herceptin). Patients received adjuvant radiotherapy following surgery and chemotherapy. The site of metastasis was the bone in 2 cases, lung in 1 case and liver in 1 case. Zoledronic acid (Zometa) was prescribed for patients with bone metastasis. Five-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64%. Conclusions: MBC is rare. Thus, we need larger studies are in collaboration with several research centers in the field of breast cancer. ER positive, grade II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stage II and right side happened more with MBC. Overall survival is similar to other studies.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Male Breast Cancer: A Report of 21 Cases in Radiotherapy Center of Hamedan, Iran

  • Sedighi, Abdolazim;Hamed, Ehsan Akbari;Mohammadian, Kamal;Behnood, Sepideh;Kalaghchi, Bit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381-7383
    • /
    • 2013
  • Background: Male breast cancer accounts for less than 1% of all cancer in men and only around 1% of all diagnosed breast cancer. Despite a significant raise in the last 25 years, it still remains a rar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from 2004-2011 with 21 male breast cancer patients. We aimed to analyze the epidemiologic data (age, personal and family history), tumor characteristics (size, histological type, location, TNM stage, receptors), surgery, 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hormonal therapy and survival (relapse, follow up, death) who reffered to our center with breast cancer. Results: The median age was $49.2{\pm}14.2$ years (range 30-83 years). A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was noted in four cases. The main clinical complaint was a retroareolar mass in 85.7%of patients (n=18). Histologically, 85.7% (n=18)were invasive ductal carcinoma and 4.7% (n=1) had ductal carcinoma in situ and 9.4% (n=2) had mixed histology including invasive medullary and ductal carcinoma. Hormonal therapy was delivered to 16 cases (76.1%) due to ER or PR positivity. During median follow up of 30 months (3-84 month), distant metastases were evident in 4 cases (19%). During the follow-up period, only one patient died due to metastatic disease. The mean time to recurrence detection was 30 months. Conclusions: The percentage of cases of male breast cancer is very low compared to breast cancer in females, explaining why very few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in Iran. Limited coverage in the literature make gender-specific findings difficult so future research of this entity involving multi-institutional cooperation and longer follow up is essential to provide new insights about the biological and clinical factors of this rare cancer.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gical Outcome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External Auditory Canal

  • Nam, Gi-Sung;Moon, In Seok;Kim, Ji Hyung;Kim, Sung Huhn;Choi, Jae Young;Son, Eun J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 /
    • 제11권4호
    • /
    • pp.259-266
    • /
    • 2018
  • Objectives. Carcinoma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are rare, and management remains challenging. Previous studies seeking prognostic factors for EAC cancers included cancers other than carcinoma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reatment outcomes of, prognostic factors for, and survival rates associated with specifically squamous cell carcinoma (SCC) of the EAC.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26 consecutive patients diagnosed with SCCs of the EAC in a 10-year period was performed in terms of clinical presentation, stage, choice of surgical procedure, and adjunct therapy. Overall survival (OS) and recurrence-free survival (RFS) were calculated and univariat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was performed.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26 patients with SCCs of the EAC was 63 years (range, 40 to 72 years), and 16 males and 10 females were included. According to the modified University of Pittsburgh staging system, the T stages were T1 in 11, T2 in six, T3 in four, and T4 in five cases. The surgical procedures employed were wide excision in three cases, lateral temporal bone resection (LTBR) in 17, and extended LTBR in four, and subtotal temporal bone resection in two. Two patients underwent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two underwent adjuvant chemotherapy. One patient received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eleven receive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f the possibly prognostic factors examined, advanced preoperative T stage and advanced overall stag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RFS, but not of OS. Conclusion. The advanced T stage and overall stage were associated with decreased survival after surg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SCC of the EAC,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linical vigilance and early detection.

비소세포성 폐암에서의 방사선 치료 결과 (The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계철승;장홍석;길학준;윤세철;신경섭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175-184
    • /
    • 1994
  • 가톨릭 의과 대학 부속 강남 성모 병원 치료 방사선과에서는 1983년 3월부터 1990년 1월까지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266명중 추적 조사가 가능하고 조사 선량이 40 Gy 이상이었던 116명에 대하여 방사선 치료후의 반응율과 생존율, 그리고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후향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성별은 남자가 104명, 여자가 12명이었다. 환자들의 연령은 33세부터 80세까지였으며 중간 값은 53세였다. 추적 기간은 2개월부터 78개월이었으며 중간 값은 18.8개월이었다. AJC 병기분류에 따라, II기에 속했던 경우가 18명($15.5\%$), III기가 79명($58.1\%$), IV기가 19명 ($16.3\%$)였다. Karnofsky의 수행 능력으로 환자들의 전신 상태를 표시 하면, 50 이하가 6명($5.2\%$), 50에서 60사이가 12명($10.4\%$), 60에서 70사이가 46명($39.6\%$), 70에서 80사이가 51명($44.0\%$)이었고 80이상인 경우는 1명(0.8\%$)였다. 조직학적으로는 72명($62.8\%$)의 환자가 편평상피세포암이었으며, 16명($13.8\%$)이 선암, 7명($6\%$)이 대세포암, 5명($4\%$)이 미분화 세포암이었고, 조직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여 조직학적으로 불분명한 경우가 16명이었다. 치료별로 보면, 60명($51.7\%$)은 외부 방사선 치료만으로 치료하였으며, 33명($28.4\%$)의 환자에서는 방사선 치료와 화학 요법을 병행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는 23명($19.8\%$)이었으며, 이들 중 5명($4\%$)에서는 화학 요법이 병행되었다. 관해율은 완전 관해와 부분 관해를 합쳐서 $92.5\%$였다. 병기별 II기, III기와 IV기에서의 1년 생존율은 각각 $38.9\%,\;27.8\%$$11.5\%$였으며, 2년 생존율은 II기, III기, IV기에서 각각 $11.1\%,\;20.8\%,\;10.5\%$였다. 치료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로는, 수행 능력, 치료 선량, 환자의 연령, 조직학적 형태, 치료에 대한 반응율과 수술 혹은 화학 요법의 병행 여부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나 이 들중 수행 능력과 방사선 치료후의 반응 정도가 환자의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p<0.05).

  • PDF

절제 불가능한 제 3 기 비소세포 폐암의 MVP 복합 항암요법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 -추가 항암요법에 대한 임의 선택 -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Following Induction Chemotherapy for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Randomized for Adjuvant Chemotherapy vs. Observation-)

  • 최은경;장혜숙;안승도;양광모;서철원;이규형;이정신;김상희;고윤석;김우성;김원동;송군식;손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295-301
    • /
    • 1993
  • 절제 불가능한 제 3기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MVP(Mitomycin C 6 $mg/m^2$, Vinblastine 6 $mg/m^2$, Cisplatin 60 $mg/m^2$) 복합 항암요법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1991년 1월부터 전향성 임의 선택연구(prospective randomized study)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제 III기의 비소세포 폐암중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VP 항암요법을 3 회 시행한 후 다분할 방사선 치료 (120 cGy/fx, BID)를 6480 cGy까지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가 끝난 1개월 후 유도 항암요법에 부분 관해 이상의 반응을 보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추가 항암요법을 시행하는 군과 계속 관찰하는 군으로 임의 분류하였다. 1992년 12월까지 48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으며, 이중 3명은 항암요법후 치료를 중단하였으며, 6명은 방사선 치료중 치료를 중단하거나, 개인적 사정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지 못하여 39명의 환자에 대한분석을 시행하였다. 유도 항암요법을 마친 환자중 2명은 완전 관해를 보였으며, 21명은 부분 관해를 보여 MVP 유도항암요법에 대한 관해율은 $58\%$ (23/39)이었다. 항암요법에 부분관해를 보인 21명중 1명은 방사선 치료후 완전관해를 보였으며, 10명은 부분관해를 보였으나, 나머지 10명은 방사선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항암요법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16명의 환자중 9명은 방사선 치료에도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유도항암 요법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후의 관해율은 $64\%$이었다. 방사선 치료후 19명의 환자에 대하여 추가 항암요법에 대한 임의 선택을 시행하여 이중 9명은 추가 항암요법 군으로 분류되어, 3회의 추가 항암요법을 시행하였다. 아직까지는 추가 항암요법군과 관찰군 사이에 원격전이나 생존율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은 13개월이었고, 6개월과 12개월의 생존율은 각각 $84.6\%$$53.7\%,\;40.3\%$이었다. 특히 유도항암요법에 부분관해 이상의 반응을 보였던 환자들은 무반응환자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된 생존율을 보였다(p=0.0287). 아직까지 추적 관찰기간이 짧으나, $64\%$의 높은 치료 관해율과 증가된 생존율, 그리고 합병증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는 점으로 보아 본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Treatment Outcomes of Early-Stage Endometrial Cancer Radiotherapy: A Single Center Experience

  • Demiral, S.;Beyzadeoglu, M.;Sager, O.;Dincoglan, F.;Uysal, B.;Gamsiz, H.;Akin, M.;Turker, T.;Dirican, B.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599-9602
    • /
    • 2014
  • Background: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RT) in the management of early stage endometrial cancer (EC) is still controversial. Here we report our institutional experience with patients who received postoperative RT for stage I-II EC over a period of 35 years and assess potential predictors of local recurrence (LR), distant metastasis (DM), and overall survival (O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88 patients undergoing postoperative RT for stage IA-II EC between 1977 and 2012 were evaluated. Some 96 received median 46 Gy whole pelvic radiotherapy (WPRT) (range: 40-60 Gy), 37 were given WPRT with vaginal cuff therapy (VCT), and 55 received only VCT either with brachytherapy (BT) or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SBRT). Chemotherapy was given to 5 patients with uterine papillary serous carcinoma (UPSC).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clinicopathological factors on LR, DM, and OS. Results: Median follow-up time was 11 years (range: 1-35 years). At the time of analysis, 34 patients were not alive. Of the 15 patients with LR, 7 (46.7%) recurred in the vaginal stump, 5 (33.3%) in the pelvic region, and 3 (20%) in the paraaortic nodal region, while 12 had distant metastasis. UPSC histology (p=0.027), sole VCT (p=0.041), high histologic grade (p=0.034), and age ${\geq}71$ (p=0.04) were poor prognostic factors on un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In our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for early-stage EC, grade III disease and age ${\geq}71$ were associated with shorter OS whereas UPSC histology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both LR and 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