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justment to college life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 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07-317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1학년 28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학생활 적응, 심리적 안녕감,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정도를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 22일부터 10월 7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평균평점 3.36점이었고, 하위 구성요소는 학업진로가 가장 높았고, 개인심리, 사회체험, 대인관계, 진로준비 순이었다.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는 심리적 안녕감, 감성지능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수는 자기효능감이었고, 하위 구성요소인 학업활동은 학교성적, 진로준비는 자기효능감, 개인심리와 사회체험은 감성지능, 대인관계는 심리적 안녕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하위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충분히 반영하여 대학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Effects of Loneliness and YouTube Addic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the Distance Education During COVID-19)

  • 이종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42-35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원격 교육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사회 적응 및 학업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95개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적용하였다. 설문 데이터는 구조 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이 많을수록 대학 사회 적응과 학업 적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튜브 과다사용이 많을수록 대학 사회 적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은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이 외로움 관리와 유튜브를 사용을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 조성과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임상실습교육 전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적응 및 간호사 이미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Nurse's Image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al Education)

  • 김미영;박혜진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1-259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the effect on nursing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nurse's image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al education. Methods : The study surveyed 209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science in the city of B for the period of April through May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to determine the frequency, percentage ratio,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majors was 3.88±.50, the average of college life adaptation was 3.26±.47, and the average of the nurse image was 3.90±.51. The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ive for choosing a department (F=3.70, p=.003) and the thought of a nursing job (F=2.95, p=.004).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F=3.50, p=.001),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F=2.69, p=.022)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nurse imag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dence type (F=6.00, p=.001) and nursing job thinking (F=2.11, p=.03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that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college life (r=.51, p<.001) and nurse image (r=.54, p<.001). It was found that adjustment college lif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rse image (r=.32, p<.001). Conclusion :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f nursing students prior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It is need to intervention studies that can improve the image of positive nursing.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박다혜;김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53-361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개 지역 6개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64명으로, 일반적 특성과 따돌림, 동료의 지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으로 구성된 자가보고 질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3월 3일부터 2015년 12월 12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생활적응은 동료의 지지(r=.38, p<.001) 및 자아탄력성(r=.69, p<.001)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따돌림(r=-.24, p<.001)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F=334.33, p<.001), 동료의 지지(F=60.86, p<.001) 및 따돌림(F=22.03,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의 설명력은 47%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고, 개발된 교육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한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Stress, Stress Coping Methods, and College Adjustment according to Behavioral Styles in Freshman Nursing Students)

  • 강희영;최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9-29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stress levels, stress coping methods, and college adjustment according to behavior styles in freshman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general characteristics, behavior styles, stress levels, stress coping methods, and college adjustment,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s,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Stress was related to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behavior style. Problem-focused coping was related to exercis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behavior style. College adjustment was related to place of residence, personality,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motivation for entrance,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College adjust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tress and problem-focused co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adjustment and hopeful-thought coping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self-understanding programs on stress management and college adjustment is required.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와의 애착 및 대학생활적응 (Student Personal Characteristics, Parent Attachment and Adjustment in College)

  • 박범혁;정영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3호
    • /
    • pp.45-57
    • /
    • 200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wo main research questions;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in student adjustment in colleg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esteem, self-identity, interaction anxiousness, and parent attachment on th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djustments in colle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cramming for repeating a college entrance exam, living with their parents, college major, family income, and religion. Second, the self-esteem, self-identity, interaction anxiousness, and parent attachment of college students impacted the related adjustment. Self-ident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the adjustment in College.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rograms of self-identity Improvement are needed for the adjustment in college life.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University Students)

  • 김종운;이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506-51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2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자아분화,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인애착, 자아분화,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을 밝히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자아분화 및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활적응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애착불안, 애착회피, 정서인지분화, 가족투사과정이며 그 중 애착불안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의 건강한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학교와 학과 및 대학상담센터에서 다양한 정책적인 개입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n College Students)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89-195
    • /
    • 2017
  • 청년기에는 사회 생활에의 적응을 위하여 독립적인 자아형성을 추구하고 자아정체감을 발달시켜 나가고 있다. 아울러 한국의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진출을 위해 거쳐 가는 곳이 대학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정체감의 형성시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사회진출을 위한 자아정체감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정체감은 학업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목표지향성이 학업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은 정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은 정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정체감은 대학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불안과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 박연희;정병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771-27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 불안과 대학생활적응이 어떠한 인과관계의 영향력으로 설명이 될 수 있는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소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479명이며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5.0으로 기술통계, cronbach's ${\alpha}$,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7.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변수들간의 인관과계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생변수인 대학생의 불안은 대학생활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은 휴대폰 중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불안은 휴대폰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은 불안과 휴대폰 중독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유머감각,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ors of emtional intelligence, humor sense, and ego resilience on adjustment to the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 박성희;변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56-26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으로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12일까지였고, 최종 408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3.24{\pm}.49$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학년(t=2.687, p<.001), 연령(F=3.187, p=.042), 성적(F=18.551, p<.001), 전공만족(F=61.347, p<.001), 교우관계(F=28.273,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감성지능, 유머감각,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은 감성지능(r=.421, p<.001), 유머감각(r=.360, p<.001), 자아탄력성(r=.418,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t=-5.241, p<.001), 성적(t=3.833), p<.001), 전공만족(t=6.768, p<.001), 교우관계(t=2.923, p=.014), 감성지능(t=2.674, p=.008), 자아탄력성(t=4.345, p<.001)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1.7%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의 확인하고,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