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tional Fertilizer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6초

돈분발효 퇴액비 시용과 첨가적인 질소비료 시용이 옥수수의 생산성과 질소 및 인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of Fermented Swine Manure with Additional Nitrogen Fertilizer on Productivity of Corn and Leaching of Nitrogen and Phosphorous in Corn Cultivation Soil)

  • 최기춘;조남철;정민웅;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4
    • /
    • 2010
  • 본 연구는 돈분의 발효 형태에 따른 추가적인 화학비료가 옥수수의 생산성과 이에 의한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lysimeter에서 옥수수에 대한 톱밥발효돈분, 팽연왕겨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 단독시용 및 추가적인 요소의 시용수준에 따라 $NO_3$-N $NH_4$-N 및 $PO_4$-P 용탈에 의한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규명하여 가축분뇨의 자원화는 물론 가축분뇨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대책 수립을 하고자 수행하였다. 톱밥발효돈분, 팽연왕겨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에 각각 추가적인 요소의 첨가에 따른 옥수수의 건물수량은 톱밥발효돈분, 팽연왕겨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 단독시용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추가적인 요소시용수준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톱밥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에 요소 100 kgN/ha 시용했을때의 건물수량은 화학비료 시용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50 kgN/ha 시용했을때 보다는 현저하게 높았다. 톱밥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 단독시용했을때의 건물수량은 팽연왕겨발효돈분 단독시용구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톱밥발효돈분, 팽연왕겨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에 각각 추가적인 요소의 첨가에 따른 옥수수내 전질소 함량은 돈분뇨의 단독시용구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톱밥발효돈분, 팽연왕겨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에 각각 추가적인 요소의 첨가에 따른 전질소함량은 화학비료처리구 보다 낮았으나 액상발효돈분에 각각 추가적인 요소의 100 kgN/ha 첨가구는 화학비료 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톱밥발효돈분, 팽연왕겨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에 각각 추가적인 요소의 첨가에 따른 용탈수에서 $NO_3$-N 농도는 톱밥발효돈분, 팽연왕겨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 단독처리구와 화학비료 처리구의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톱밥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에 각각 추가적인 요소의 100 kgN/ha 첨가에 따른 용탈수에서 $NH_4$-N 농도는 화학비료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추가적인 요소의 50 kgN/ ha 처리구보다 증가하였다. 톱밥발효돈분, 팽연왕겨발효돈분 및 액상발효돈분에 각각 추가적인 요소의 첨가에 따른 용탈수에서 $PO_4$-P 농도는 돈분뇨 단독처리구보다 증가하였다 그리고 화학비료 처리구와 액상발효돈분에 추가적인 요소 100 kgN/ha 처리구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NO_3$-N $NH_4$-N 및 $PO_4$-P 농도는 추가적인 요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험기간동안 최고 $NO_3$-N $NH_4$-N 및 $PO_4$-P 농도 각각 3.46 mg/L, 1.11 mg/L and 0.14 mg/L를 나타냈다.

우리나라 주요작물(主要作物)에 대(對)한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에 관(關)하여 (A Study of Optimum Application of Fertilizers for Major Crops in Korea)

  • 오왕근;장석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9-44
    • /
    • 1969
  • 농가포장(農家圃場)에서 최근(最近)에 실시(實施)한 비료(肥料) 삼요소(三要素) 시험성적(試驗成績)을 기초(基礎)로 현행공급량(現行供給量)의 적부(適否)를 검토(檢討)하였다. 1. 수도(水稻)에 있어서 질소(窒素) 및 인산(燐酸)은 현행공급량(現行供給量)과 적정(適正) 시비량간(施肥量間)에 차이(差異)가 없으나 가리(加里)의 현행공급량(現行供給量)은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 4.2kg/10a 보다 1.9kg/10a이 낮은 2.26kg/10a이며 만약(萬若) 이것을 4.2kg/10a로 올린다면 증수량(增收量)은 1.2%가 된다. 2. 대맥(大麥)은 현행공급량(現行供給量)보다 질소(窒素) 3.4, 인산(燐酸) 4.7 및 가리(加里) 3.3kg/10a을 더 시비(施肥)해야 하고 이로인한 증수률(增收率)은 8.6%이다. 3. 소맥(小麥)은 질소(窒素) 3.4, 인산(燐酸) 3.9 및 가리(加里) 4.6kg/10a을 증시(增試)함으로서 17%의 증수(增收)가 예상(豫想)된다. 4. 옥수수는 질소(窒素) 7.5, 인산(燐酸) 6.4 및 가리(加里) 5.7kg/10a을 증시(增施)하여 45%의 증수(增收)가 기대(期待)되며 5. 고구마의 증수(增收)는 질소(窒素) 3.8, 인산(燐酸) 1.8 및 가리(加里) 15.1kg/10a 증시(增施)로 8% 6. 감자는 질소(窒素) 0.6, 인산(燐酸) 3.3 및 가리(加里) 3.6kg/10a을 증시(增施)하여 21%, 그리고 7. 대두(大豆)는 질소(窒素) 2.0, 인산(燐酸) 1.9 및 가리(加里) 2.9kg/10a을 증시(增施)하여 15%의 증수(增收)가 기대(期待)된다. 8. 현행(現行) 비료공급량(肥料供給量)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는 앞으로 옥수수, 고구마, 감자와 같은 작물(作物)에 더 역점(力點)을 둔 비료공급(肥料供給)이 고려(考慮)되어야 하겠다.

  • PDF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이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Effects of an Organic Fertilizer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e Amended with N) on the Yield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 임선욱;류진창;홍종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5-132
    • /
    • 1979
  •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가 비교적(比較的) 높은 토양(土壤)에서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대풍표(大豊標)) 시용(施用)이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져 포장(圃場)과 실내(室內)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가. 시험포장(試驗圃場)의 비옥도(肥沃度)가 높아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이 배추나 무우의 수량(收量)에 현저(顯著)한 영향(影響)은 못 미쳤다. 이는 공시토양(供試土壤)의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상당(相當)히 높았던 때문인 것 같다. 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특(特)히 배추의 가리농도(加里濃度)를 높게 했으며, 무우의 경우(境遇) 엽중(葉中) 가리농도(加里濃度) 증가(增加)는 무우의 엽(葉)/근(根) 비(比)를 낮게 했고 낮은 엽(葉)/근비(根比)는 근중(根重)을 낮게한 경향(傾向)이었다. 2.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가.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공극율(空隙率)을 높이고 가비중을 낮게 하여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을 개선(改善)하는 효과(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내수성(耐水性) 대립단(大粒團)의 발달(發達)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과 토양총질소(土壤總窒素)의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이나 1 회시용(回施用) 으로는 그 증가량(增加量)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pH를 낮게 하는 경향(傾向)인데 이는 이 비료중(肥料中)의 질소(窒素)가 유안(硫安)의 형태(形態)로 들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 할 수 있을 것 같다. 3. 본(本) 비료(肥料)는 유기물(有機物)과 질소(窒素)를 함유(含有)하는 비료(肥料)이므로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낮은 척박지 에서 효과(效果)가 기대(期待)되며 그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는 시험(試驗)이 바람직하다.

  • PDF

고추에 대한 돈분액비 시용기준 설정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Application Rate of Pig Slurry for Red Pepper Cultivation)

  • 강보구;김현주;이경자;박성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88-395
    • /
    • 2004
  • 본 연구는 노지고추재배시 돈분뇨액비 적정시용량을 설정하고자 무비료, 화학비료의 토양검정시비 및 돈분뇨액비의 4수준을 두어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정식후 50일 및 시험후 토양의 유기물함량은 토양검정시비 보다 돈분뇨액비구에서 높은 반면 질산태질소함량은 토양검정시비구가 돈분뇨액비 시용구보다 높았다. 고추의 초장은 정식후 50일에는 무비구를 제외하고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후 100일에는 무비구, 돈분뇨액비60 및 80 처리에 비하여 토양검정, 돈분뇨액비 100 및 120 처리에서 고추의 초장이 컸다. 그러나 고추의 주경장 및 경태는 무비구를 제외하고 처리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고추의 비료성분 흡수 이용율은 질소: 27-44%, 인산, 9-16%, 가리: 41-68%이었으며, 돈분뇨액비60> 돈분뇨액비60> 토양검정시비> 돈분뇨액비100> 돈분뇨액비120처리 순이었다. 고추의 수량은 토야검정에 비하여 돈분뇨액비 100처리에서3% 증가하였으며 돈분뇨액비 120처리는 같은 수준이었다. 고추는 비닐피복재배로 유거수중 화학성분은 처리간에 큰 차이 없었다. 고추재배 기간동안에 온실가스 배출량은 무비구, 토양검정구 그리고 돈분뇨액비 100처리에서 $CH_4$는 각각 4.0, 4.8 그리고 $5.9kg\;ha^{-1}$이었고, $N_2O$는 각각 0.74, 6.63 그리고 $8.38kg\;ha^{-1}$ 로 토양검정구에 비하석 돈분뇨액비 처리에서 $CH_4$$N_2O$가 각각 23 및 26% 높았다. 따라서 노지고추 재배시 6개월 이상 부숙된 돈분뇨액비를 토양검정시비수준의 질소량에 해당하는 100-120% 수준을 밑거름으로 시용하고, 웃거름은 화학비료로 시용하는 기준을 추천하고자 한다.

농경지 내 DDT 제거를 위한 동물혈분 적용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Blood Meal Applicability for Removal of DDT from Agricultural Soil)

  • 김태인;조은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9-94
    • /
    • 2020
  • BACKGROUND: Persistent organic contaminants such as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are often found in agricultural soils decades after it was banned in Korea. This study uses hemoglobin and hemoglobin-containing blood meal to reduce the residual DDT in soil. METHODS AND RESULTS: Hemoglobin or blood meal with or without hydrogen peroxide (H2O2) was mixed with the DDT-spiked soil prepared for this study, and samples were taken over 14 d-degradation period to measure the residual DDT concentrations. With only hemoglobin, DDT was completely removed after 14 d, while with both hemoglobin and H2O2, 73%, on average, removal was observed. Similarly, the blood meal removed 73% of DDT, but with H2O2, the DDT removal was only 39%. The lower DDT removal in the presence of H2O2 can be attributed to the adverse effects of reactive species. Hemoglobin was more effective than blood meal for DDT removal in a given time; however, with additional blood meal injection, complete DDT removal was achieved. CONCLUSION: Overall, this study shows that the blood meal that is used as a fertilizer can potentially be used to remove residual contaminants such as DDT in agricultural soil.

고냉지에서의 옥수수 추비시기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Top Dressing Time on Productivity at Alpine Area)

  • 한성윤;손삼규;전기준;지병천;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9-182
    • /
    • 1990
  • 본 시험은 고랭지(해발 800m)에서 매초용 옥수수의 추비시기가 생육 및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원19호와 강원재래백을 공시하여 198년年 5월 16일에 국럽종축원 대관령지원 시험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힌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추비시용 시기의 조만에 따라 작물생육특성인 초장, 웅수의 출현기, 경의 직경, 착수고등의 변화는 거의 없였으며 lOa당 건물수량 및 식물체부 위별 건물수량비솔에 있어서도 처리간에 큰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품종간에 있어서 강원재래백이 건물수량 및 경엽수량비솔이 수원19호보다 많은데 대하여 이삭의 비율은 수원19호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보아 해발 800m의 고랭지에서 매초용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추비시용시기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석회 시비가 배추 내 무기이온 및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lime on inorganic ion and glucosinolate contents in Chinese cabbage)

  • 김영진;천진혁;김선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415-421
    • /
    • 2015
  • Ca is material to used in Chinese cabbage (Brasica rapa L. spp. pekinensis). The variation of inorganic ions and GSLs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to control additional Ca contents in slaked lime. The additional fertilizer of slaked lime differ four grade that 0 g (Ca-0), 0.28 g (Ca-1), 0.56 g (Ca-2), 0.84 g (Ca-3) are week intervals with a total of 8 times after transplanting. Inorganic ions in Chinese cabbage ('Bulam plus') were analyzed to use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ometry(ICP). The more additional slaked lime input, the more almost macronutrients contents were high except Ca. Ca contents were higher in Ca-0 (153.10) and lower in Ca-3 (130.55 mg/kg dry weight, DW). GSLs were identified based on peak retention time in previous results of our laboratory. Seven GSLs including two aliphatic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one aromatic (gluconasturtiin), four indolyl (glucobrassicin, neo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4-hydroxyglucobrassicin) were detected using HPLC. Progoitrin, 4-methoxyglucobrassicin, and gluconasturtiin content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put in additional slaked lime. Total GSLs contents were Ca-0 (11.95), Ca-1 (17.02), Ca-2 (19.63), Ca-3 ($17.11{\mu}mol/g$ dry weight, DW). Total Ca and GSLs contents (Ca-1,2,3; mean 17.92) are higher than non treatment (Ca-0; $11.95{\mu}mol/g$ DW).

질소 추비시용이 밀 수발아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al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on Decreasing of Preharvest Sprouting in Winter Wheat)

  • 김영진;김학신;강천식;김경훈;현종내;김기종;박기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69-176
    • /
    • 2013
  • 본 연구는 질소 추비 시용수준을 달리한 비배관리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금강밀과 조경밀을 공시하여 질소 추비 처리 수준별로 출수기, 생육, 종실특성 및 수발아 관련 형질을 비교하였다. 질수수준 증가에 따라 간장, 수장, 경수 및 영화수가 증가했으나, 임실율은 2010년에는 질소 50% 증비(108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2011년에는 100% 증비(144 kg N/ha)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밀 종실 특성 중 천립중, 리터중 및 수분함량은 질소수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 수량은 질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50% 증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였다. 종실의 단백질 함량을 살펴보면 질소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 증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금강이 조경보다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밀 종자의 수발아 관련 형질간 비교에서는 질수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발아율, Germination index 및 ABA sensitivity가 점차 감소했는데, 이는 종자의 수발아율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 밀 종자의 Germination index는 금강의 경우 무비(추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조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질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밀 종자의 수발아율은 조경의 경우 50% 감비에서 24.7%, 금강의 경우 무비(추비)에서 19.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질소 처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수발아율은 점차 감소하였다. ABA sensitivity와 수발아율 간에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ABA sensitivity를 간이 수발아 검정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수도 이앙노동의 성력화 연구 II. 시비량 및 이앙밀도 변동에 따른 수도초형별 수량적합성 연구 (Labor-Saving Feasibilities in Transplanting of Paddy Rice II. Variations in Yield Compatibility of Various Typed Isogenic Lines of Paddy Rice as Affected by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with Fertilizer Applications)

  • 구자옥;이영만;이관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7-125
    • /
    • 1985
  • 수도이앙의 생력화를 위한 소식을 함으로써, 수도의 종내경합에 의한 수량감소를 막고, 시비로 증수가능성이 큰 초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공시한 3개 초형의 동질유전자 계통은 Open-type, Spread-type 및 Broom-type 이었으며, 이들을 $m^2$당 47.62, 22.22, 15.15, 11.11, 8.33주로 이앙하고, 시비는 N-P$_2$O$_{5}$-K$_2$O=15.0-7.0-8.0kg/10a를 표준으로 한 0, 0.5, 1.0, 1.5 배비로 하였다. 시험결과, 1. 소식에 따른 출수지연은 종내경합정도에 비례하여서 다비할수록 약화되었으며, 작물초형별로는 Broom$\longrightarrow$ Spread$\longrightarrow$ Open-type의 순이었다. 2. 잡초와의 종간경합은 소식.다비로 증대되었으며, 작물초형별로는 Broom-type에서 특히 다연생잡초종에 의한 경합이 커지는 경향이었다. 3. 시비량증대에 따라 천립중을 제외한 면적당수수.수당영화수.등숙률은 3초형 모두 증대경향을 나타냈으나 재식밀도에 따른 반응은 면적당수수만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4. 수량성은 Open-type과 Spread-type의 경우, 이앙밀도와 정상관을 보인 반면에 Broom-type에서는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5. $m^2$당 이앙밀도를 15, 11, 8주로 낮추었을 때, Open-type은 각각 1.12, 1.21 및 1.28배비로써 그리고 Broom-type은 각각 1.22, 1.35, 1.4배비로써 Open-type 표준수량의 보상이 가능하였다.다.

  • PDF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Oxalate Content in Rhodesgrass, Guineagrass and Sudangrass

  • Rahman, M.M.;Yamamoto, M.;Niimi, M.;Kawamura, 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214-219
    • /
    • 2008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itrogen (N) level on the dry matter (DM) yield, N concentration and oxalate content of some tropical grasses, namely Rhodesgrass (Chloris gayana), Guineagrass (Panicum maximum) and Sudangrass (Sorghum vulgare). Three levels of N as urea were applied (Standard- 260, $Standard{\times}2$- 540 and$Standard{\times}4$- 1,060 kg N/ha for Rhodesgrass; Standard- 380, $Standard{\times}2$- 770 and $Standard{\times}4$- 1,570 kg N/ha for Guineagrass and Sudangras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nd grasses were harvested twice at approximately two-month intervals. Dry matter yield tended to be higher with increased rate of N fertilizer in all species, while further additional N ($Standard{\times}2$ or $Standard{\times}4$) did not significantly (p>0.05) further increase DM yield, when compared with the Standard level of N fertilizer application. There was also a trend towards higher N concentration in plants as N fertilization increased in all species and i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hodesgrass and Sudangrass (p<0.05 or p<0.01, respectively). Further additional N ($Standard{\times}2$ or $Standard{\times}4$) application showed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on oxalate content in plant tissue within species, when compared with the Standard level of N. The Rhodesgrass contained 0.11, 0.13 and 0.15% soluble oxalate and 0.23, 0.25 and 0.27% total oxalate with Standard, $Standard{\times}2$ and $Standard{\times}4$ level of N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Guineagrass contained 0.54, 0.50 and 0.42% soluble oxalate and 1.60, 1.56 and 1.45% total oxalate with Standard, $Standard{\times}2$ and $Standard{\times}4$ level of N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Sudangrass contained 0.06, 0.15 and 0.12% soluble oxalate and 0.22, 0.22 and 0.21% total oxalate with Standard, $Standard{\times}2$ and $Standard{\times}4$ level of N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se grasses do not use further addition of N fertilizer ($Standard{\times}2$ or $Standard{\times}4$) to form high content of oxalate salts, when compared with the Standard level of N. In addition, the levels of oxalate present with these grasses are quite low as far as toxicity to animals is concer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