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ction Model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9초

낮은 자기통제력의 스마트폰중독을 통한 사이버범죄 영향의 매개과정 모형구성과 검증 (Testing a Model for the Effect of Low Self-Control on Cybercrime Mediating by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Mediating Process)

  • 이성식;류수민;임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01-411
    • /
    • 2022
  • 이 연구는 낮은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이용상의 사이버범죄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 매개과정이 어떠한지의 연구모형을 구성함에 있어 낮은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고 아울러 스마트폰중독이 사회학습과정과 범죄기회의 증가를 가져와 사이버범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검증했다. 서울시 대학생 대상의 조사자료의 분석결과 낮은 자기통제력은 스마트폰중독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다. 그리고 스마트 폰사용에 중독될수록 불법친구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았고, 불법태도를 학습하며, 또한 불법기회에 노출되어 사이버범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자기통제력은 스마트폰중독의 매개없이도 직접적으로 학습 및 기회요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져 불법친구와 불법태도에, 그리고 불법기회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고 최종 매개변인으로 사회학습 및 기회요인이 사이버범죄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에서 처럼 낮은 자기통제력은 스마트폰중독을 통해 그리고 학습 및 기회요인을 매개로 사이버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시했다.

Comparative analysis of urinary metabolites in methamphetamine self-administrated rats

  • Choi, Boyeon;Kim, Soo Phil;Jang, Choon-Gon;Yang, Chae Ha;Lee, Sooyeun
    • 분석과학
    • /
    • 제30권3호
    • /
    • pp.122-129
    • /
    • 2017
  • Methamphetamine addiction is a critical issue due to the lack of effective pharmacotherapy and high potential for relapse. Nevertheless, there are no distinct biomarkers for diagnosis or prognosis for methamphetamine addiction. In the present study, a rat model for methamphetamine self-administration was established and alteration of urinary metabolites by methamphetamine addiction was investigated by the targeted metabolite analysis using mass spectrometry. Rat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time points (before and after addiction and after extinction) from the methamphetamine-addicted group as well as the age-matched control group. The collected samples were prepared using AbsoluteIDQ p180 kit and analyzed using flow injection analysis (FIA) - or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 tandem mass spectrometry (MS/MS). The levels of lysine, acetylornithine and methioninesulfoxide were distinctively altered depending on the status of metheamphetamine addiction or extinction. In particular, the level of acetylornithine was reversely changed from addiction to extinction, for which further studies could be useful for biomarker discovery or mechanistic studies for methamphetamine addiction.

기본심리욕구와 facebook 중독 및 지속사용의도의 구조적 관계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acebook addiction and Continuance)

  • 주영주;정애경;강정진;이민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83-191
    • /
    • 2016
  •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SNS는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SNS의 사용이 과해짐에 따라 SNS 중독이라는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한편 SNS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사용자가 SNS를 떠나는 것 역시 문제로 떠올랐다. 이와 같이 SNS의 중독 및 지속사용 모두 SNS의 사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심리욕구를 원인 변인으로 선정하여 그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acebook 사용자 20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자율성 및 유능성은 Facebook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은 Facebook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Prevention Program on Internet Games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주애란;정인경;박인혜;정영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54-363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internet game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on, self esteem and Internet games addiction. Methods: The internet game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Ellis'(1962) ABC Model. This research adopte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was conducted with 52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and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5, 2006 to February 19, 2006, and analyzed using the SPSS/PC program by frequency, Fisher exact test, t-test,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ANCOVA. Resul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lower depression scores and internet games addiction scores and higher self-esteem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After 8 sessions of the internet game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score of self-esteem and reduces the scores of internet games addiction and depression.

  • PDF

사회 심리적 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n Internet Addiction)

  • 김정열;이성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45-254
    • /
    • 2009
  • 인터넷 중독에 관한 최근 연구는 인터넷 온라인 게임, 채팅, 인터넷 쇼핑 등에 중독된 사용자들이 인터넷으로 인해 그들의 생활이 심각하게 제어하기 힘들게 되고 있음을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과 사회 심리적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모델은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심리적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자존감, 자기효능감, 가정생활, 스트레스의 개념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자존감,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인터넷 중독에 대한 향후 연구는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대학생의 부모애착형성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제주지역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permissiveness of Ego Resiliency between University School Students' Parental Attachmant and SNS Addiction Tendency: Surveying residing in Jeju)

  • 고보숙;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36-24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형성이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의 대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 한 뒤,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 분석을 위하여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대학생의 부모와의 애착형성과 SNS중독경성향간에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과 SNS중독경성향에서도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대학생의 부모애착형성과 자아탄력성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나 부모애착형성과 자아탄력성은 SNS중독경향성을 낮추는 유의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애착형성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애착형성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연구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탄력성이 앞으로 SNS중독경향성에 대한 문재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실제적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즉, 대학생의 SNS의 과도한 사용은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자아탄력성을 강화시킴으로써 건전한 SNS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 중독증 진단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agnostic Tests of the Internet Addiction Syndrome)

  • 박지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59-77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a analysis between old diagnostic tests of the Internet Addiction Syndrome to make a new test model for the physical disturbance problems for the addiction persons. Suggestion treatment for the Internet Addiction Syndrome are follows: 1. Try to decide in advance how much time you will spend on the Net time a day. 2. Decide how much you want the Internet to be a part of each area of your life and then allocate time accordingly. 3. You may decide that you want to keep the Internet at work, and shut the door on it when you leave for home. 4. To physical exercise regularly. 5. Take frequent breaks. 6. Seek out friends and acquaintances who couldn't care less about the Internet. 7. Interact with people in a non-wired world. 8. Consult a Dr. if you can't solved.

  • PDF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영향요인 (Internet Addiction among youths and related variables)

  • 진연주;김혜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7권1호
    • /
    • pp.103-118
    • /
    • 2003
  •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Internet Addiction among youths who are main users of computers and internet and related variabl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520 stud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on Jeju and analyzed catmod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se the efficien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Internet addiction leve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the viewpoint of Young's criteria, it revealed that most young people(68.5 %) use the internet at the level of occasional problem-solution users. The percentage two groups of average on-line users and internet addicts were 27.3% and 4.2%, respectively. Second, the variables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the of internet addiction group are gender, the number of brothers, adaptation to school life, mother's age, and family control of internet use. Third, the variables which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f average internet users group referred to internet addicts group are gender, adaptation to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number of visits to private computer establishments.

  • PDF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요인이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Risk Factors on Self-elasticity and Smart Phone Addiction in Teenagers)

  • 박숙경;유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84-697
    • /
    • 2021
  • 본 연구는 우울, 불안, 충동성의 청소년의 개인 심리적 위험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일상장애, 가상지향, 내성, 금단)과 자아탄력성(활력성, 낙관성, 호기심,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개인 심리적 위험요인들과 자아탄력성, 스마트폰 중독의 통합적 모형이 타당한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재학 중인 청소년 356명을 연구대상으로 2019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2개월간 조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요인(우울, 불안, 충동성)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활력성, 낙관성, 호기심, 대인관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요인(우울, 불안, 충동성)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일상장애, 가상지향, 내성, 금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활력성, 낙관성, 호기심, 대인관계)"은 "스마트폰 중독(일상장애, 가상지향, 내성, 금단)"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심리적 위험요인을 살펴봄과 함께 자아탄력성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게임 이용자의 과몰입을 탐지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ystem for detecting game user's addiction)

  • 오성균;윤태복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3-30
    • /
    • 2018
  • ICT기술의 발달과 함께 게임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게임의 과도한 플레이로 인하여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게임 과몰입에 대한 진단과 대응 방안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게임 이용자의 게임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게임 과몰입을 진단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과몰입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과몰입 및 선용 이용자를 분류하고, 실제 게임 환경에서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모델링하였다. 게임 이용자의 과몰입 및 선용군 모델은 새로운 게임 이용자의 과몰입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지식으로 활용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진단 결과에 따라 문자서비스, 리포팅 등의 서비스 방안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