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ive edge detecti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초

포화 저항망을 이용한 광적응 윤곽 검출용 시각칩 (A light-adaptive CMOS vision chip for edge detection using saturating resistive network)

  • 공재성;서성호;김정환;신장규;이민호
    • 센서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30-437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biologically inspired light-adaptive edge detection circuit based on the human retina. A saturating resistive network was suggested for light adaptation and simulated by using HSPICE. The light adaptation mechanism of the edge detection circuit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using a simple model of the saturating resistive element. A light-adaptive capability of the edge detection circuit was confirmed by using the one-dimensional array of the 128 pixels with various levels of input light intensity. Experimental data of the saturating resistive element was compared with the simulated results. The entire capability of the edge detection circuit, implemented with the saturating resistive network,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two-dimensional array of the $64{\times}64$ pixels

자연영상에서 적응적 문자-에지 맵을 이용한 텍스트 영역 검출 (Text Region Detection using Adaptive Character-Edge Map From Natural Image)

  • 박종천;황동국;전병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35-1140
    • /
    • 2007
  • 본 논문은 자연영상에서 문자의 크기와 방향에 무관한 적응적 문자-에지 맵을 이용한 에지-기반 텍스트 영역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첫 번째로, 에지 이미지로부터 에지 레이블을 얻고, 레이블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찾기 위해 배열문법을 이용하여 적응적 문자-에지 맵을 적용한다. 선택된 레이블은 이웃 레이블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클러스터 된다. 그 결과 텍스트 후보 영역이 얻어진다. 최종적으로, 텍스트 후보 영역은 경험적 규칙과 텍스트 영역에 대한 수평/수직 프로파일을 분석함으로서 검증된다. 실험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은 다양한 문자의 크기 변화, 문자열의 방향, 그리고 복잡한 배경에서도 강인한 텍스트 영역 검출 결과를 보였다.

  • PDF

적응성 방향 미분에 의한 에지 검출기의 설계 및 평가 (Design of Edg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Adaptive Directional Derivative)

  • 김은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329-133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에지의 폭에 적합한 최적의 에지 검출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을 적용할 edge point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도입하고, 스케일링에 무관한 확장된 방향 미분을 얻기 위해 픽셀 공간에서의 방향 미분을 일반화한다. 또한, 2D 영상에 대하여 제안한 알고리듬을 적용한 에지 검출의 결과를 구하고 기존의 알고리듬에 의한 것과 비교 분석한다.

  • PDF

방향성을 고려한 적응 에지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ive Edge Detection by Considering Direction Information)

  • 이창영;최현길;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2-674
    • /
    • 2011
  • 에지는 영상의 특징을 분석함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에지 검출은 컴퓨터비전과 영상처리 등의 분야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초기에 사용된 방법들 가운데서 sobel, prewitt, roberts method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밝기의 기울기가 큰 변화지점은 쉽게 검출하지만, 선택적인 방향성 에지 검출이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에지 검출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방향성을 고려한 적응 에지 검출 방법을 제안하여, 시험 영상의 에지 성분을 검출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적응성 방향 미분에 의한 에지 검출기의 구현 (Development of Edge Detection System Based on Adaptive Directional Derivative)

  • 김은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9-35
    • /
    • 2006
  • 실제 이미지에서 에지의 속성을 찾아내고 그 정확한 위치를 지정하기 위하여 밝기 분포에 대한 국소적 미분 대신에 "적응성 방향 미분"(Adaptive Directional Derivative, ADD)이라는 비국소적 연산자를 도입함으로써 에지의 램프 폭의 변화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는 알고리듬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알고리즘에 의한 에지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존의 알고리듬에 의한 것과 비교 분석한다.

  • PDF

적응성 방향 미분에 의한 에지 검출기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Edge Detection System Based on Adaptive Directional Derivative)

  • 김은미;박철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9-44
    • /
    • 2007
  • 실제 이미지에서 에지의 속성을 찾아내고 그 정확한 위치를 지정하기 위하여 밝기 분포에 대한 국소적 미분 대신에 "적응성 방향 미분"(Adaptive Directional Derivative, ADD)이라는 비국소적 연산자를 도입함으로써 에지의 램프 폭의 변화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제안한 적응성 방향 미분을 이용한 에지 검출 시스템을 현재 에지 검출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Canny 알고리듬과의 성능평가를 실험을 통해 보여준다.

  • PDF

Edge Detection Based on Bhattacharyya Distance for Color Images Using Adaptive Boundary and Thresholding

  • Badripour, Afarin;Lee, Chulhee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44-945
    • /
    • 2017
  • Color image edge detection is an important operation in many image processing areas.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for edge detection based on the Bhattacharyya distance that can handle arbitrary boundaries by exploring several edge patterns. Experiments show promising results compared to some existing methods.

컬러 영상 에지 검출을 위한 적응 형태학적 WCNN 알고리즘 (Adaptive morphological Wavelet-CNN Algorithm for the Color Image Edge detection)

  • 백영현;문성룡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73-48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컬러 영상에서의 새로운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적응 형태학적 WCNN알고리즘은 적응 형태학과 WCNN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이는 입력된 컬러 영상의 임계값에 따라 적응 형태학을 이용하여 경계면의 차를 레벨업 시킨 후 WCN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에지를 검출한다. 또한, 기존의 고정 마스크에지 검출방식을 탈피하여, 영상의 임계값의 차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가변 BBM(Beak Y. H, Byun O. H, Moon S. R)마스크를 사용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기존의 연구에 비해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논문은 30개의 컬러 영상의 모의 실험을 제공한다.

적응형 한계치를 갖는 윈도우를 이용한 에지 검출 (Edge Detection using Windows with Adaptive Threshold)

  • 송의석;오하랑;김준형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2B권11호
    • /
    • pp.1424-1433
    • /
    • 1995
  • The edge detection process serves to simplify the analysis of images by drastically reducing the amount of data to be processed, while preserving useful structural informations about object boundaries. At first, this paper proposes an edge detection algorithm to reduce the amount of computation. The gradients of pixels are calculated by using first order differential equations on the pixels with even rows and even columns or odd rows and odd columns, and they are compared with a threshold to decide edges. As a result,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reduced to one third or one forth compared with the provious ones. To enhance the accuracy of edge detection, a method with the adaptive threshold for each pixel window which is calculated by using characteristic values is proposed. In this case, th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since the threshold is calculated properly for each window according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corresponding window.

  • PDF

마스크의 영역 분할을 이용한 에지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ge Detection using Region Segmentation of the Mask)

  • 이창영;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718-723
    • /
    • 2013
  • 일반적으로 배경과 물체의 경계 부분은 화소값이 급격히 변화하는 지점이며, 영상의 특징을 분석함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경계 부분을 이용하여 영상 내에서 물체의 위치나 모양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며, 이를 위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기존의 방법들은 구현이 비교적 간단하며 처리 속도가 빠른 반면, 고정된 가중치가 모든 화소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에지 검출 특성이 다소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 따라 적응하는 에지 검출을 위하여 마스크의 영역 분할을 이용한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제안한 알고리즘에 의한 처리 결과는 에지 영역에서 우수한 에지 검출 특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