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ive

검색결과 13,319건 처리시간 0.034초

Benzidine dihydrochloride에 의한 Chinese hamster lung 세포의 적응반응 (Adaptive Response in Chinese Hamster lung Cells by Benzidine Dihydrochloride)

  • 맹승희;정해원;이권섭;이용묵;정호근;유일재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2-148
    • /
    • 2001
  • We studied adaptive response in CHL cells by benzidine dihydrochloride, a derivative of benzidine, which was a major mutagenic agent in dye industry. Chromosome aberrat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adaptive response to this mutagen. Adaptive and reactive doses were confirmed by cell proliferation rate curve. Cell proliferation rate curve was obtained from the mitotic indices of cell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benzidine dihydrochloride for 24 hours. Marked adaptive responses to benzidine dihydrochloride in the induction of chromosome aberration were observed in CHL cells by pre-treatment with low concentrations of benzidine dihydrochloride (0.0047 mg/$m\ell$ or 0.0094 mg/$m\ell$) for 24 hours following post-treatment with high concentrations (0.0187, 0.0375, 0.075, 0.15 mg/$m\ell$) for 24 hours. These adaptive responses were found mostly in the type of chromatid breaks and chromatid exchange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se results between two adaptive doses, 0.0047 mg/$m\ell$ and 0.0094 mg/$m\ell$. The amount of adaptive response, however, was dependent on post-treatment doses.

  • PDF

Adaptive Noise Canceler에 적합한 가변 스텝 사이즈 고속 웨이블렛 적응알고리즘 (Fast Wavelet Adaptive Algorithm Based on Variable Step Size for Adaptive Noise Canceler)

  • 이채욱;이재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051-1056
    • /
    • 2005
  • 적응신호처리 분야에서 LMS 알고리즘은 수식이 간단하고, 적은 계산량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시간영역의 적응 알고리즘은 입력신호의 고유치 분포폭이 넓게 분포할 때는 수렴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좌우하는 고정된 적응상수를 적절하게 선택해야만 알고리즘이 수렴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시간영역의 적응알고리즘을 변환영역인 웨이블렛 변환에서 적응알고리즘을 적용한다. 그리고 안정되고 빠른 수렴을 위해 고정된 적응상수를 오차신호의 순시치 절대값에 비례하여 각 반복구간마다 변화시키는 가변스텝사이즈를 갖는 웨이블렛 기반 적응알고리즘을 제안, 적응 잡음제거기에 적용하여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그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PDF

중간 전송율에서 적응 포스트 필터링을 이용한 음성용 SBC의 성능 향상 (Performance Enhancement of SBC for Voice Signal Using Adaptive Postfiltering at the Medium Bit Rate)

  • 김원구;이남걸;윤대희;차일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21-131
    • /
    • 1992
  • 포스트 필터링(adaptive postfiltering)을 수신단의 마지막에세 수행 하였다. 첫째는, SBC 시스템의 대역 필터를 QMF(Quadrature Mirror Filter) 대신 GQMF(Generalized QMF)를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고, 둘째는, 각 대역에 적응 비트 할당을 함으로써 음질의 향상뿐 아니라 variable rate 부호화할 수도 있었다. 세번째로는 APCM(Adaptive Plulse Code Modulation)과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을 부호화기로 사용하여 각각의 성능을 평가 한 결과, SB-APCM 의 성능이 우수하였다.또한, 수신단의 마지막에서 적응 포스트 필터링을 수행하여 부호화된 음성의 음질을 개선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두가지의 적응 포스트 필터링 기법을 제안하였는데 낮은 복잡성을 가지고도 부호화된 음성에서 상당량의 잡음 감쇄를 이룰 수 있었다.

  • PDF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daptive Practices in Science Classes)

  • 김희경;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03-41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과학교사의 사례와 과학 교과에서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에 대한 교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128명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 339개와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 사례 199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과의 적응적 실행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이었다. 가장 많은 적응적 사례로 제시한 항목인 '추가적인 자료/활동의 제시'에서 학생들의 이해나 동기유발을 위해 시범실험을 추가하여 제시하는 것이나 두 번째로 많은 사례가 제시된 '실험기구 조작이나 탐구기능 제시'에서도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응답한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에 대해서도 50%가 넘는 사례가 실험 지도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둘째, 수리력과 문해력 등 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도 많이 제시되었는데, 과학 학습에서 도구로 사용되는 수학의 기본 능력과 관련된 사례와 한자어로 된 과학 용어의 이해와 관련된 사례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실험 지도' 이외에 '과학이론과 실세계의 연결', '과학 오개념 지도', '과학적 사고 함양', '융복합적 접근' 등을 위한 적응적 실행이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유형이었다. 넷째, 과학교사들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는 학교급별로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적응적 실행과 관련된 추후 연구에서 학교급이나 전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례수가 적은 적응적 실행 항목들은 대부분 거시적 측면에서 실행되는 적응적 실행으로 이와 연관된 전문성 향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Cognitive Radio 시스템을 위한 간섭온도 인지 기반의 적응전송 기법 (An Adaptive Transmission Scheme Based on Interference Temperature Cognition for Cognitive Radio Systems)

  • 홍민기;김재운;김현욱;신요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9C호
    • /
    • pp.826-83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CR (Cognitive Radio) 시스템의 무선 적응전송에 대한 연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CR 시스템 환경 및 시나리오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시스템 환경 모델에서 CR 시스템을 위한 간섭온도 인지 기반의 적응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CR 적응전송 기법은 CR-APC (CR-Adaptive Power Control)를 사용하여 주 사용자에게 간섭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CR 사용자에게 최대 전송전력을 제공하고, CR-AMC (CR-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를 적용하여 주어진 채널 상태에서 CR 사용자에게 최적의 전송률을 보장할 수 있는 방식이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CR 적응전송 기법을 사용한 경우 주 사용자에게는 간섭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아 비트오율 성능 열화가 거의 없었으며, CR 사용자에게는 주어진 채널 상태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보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열처리 환경에서 웨이브렛 적응 필터를 이용한 초음파 비파괴 검사의 결함 검출 (Flaw Detection of Ultrasonic NDT in Heat Treated Environment Using WLMS Adaptive Filter)

  • 임내묵;전창익;김성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45-55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그레인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서 웨이브렛 변환(wavelet transform)에 근간을 둔 웨이브렛 적응 필터(WLMS adaptive filter : Wavelet domain Least Mean Square adaptive filter)를 사용하였다. 보통 그레인 잡음은 고온의 환경에서 금속의 결정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발생된다. 웨이브렛 평면에서의 적응 필터링은 필터의 입력신호를 직교 변환하여 입력으로 이용함으로써 수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적응 필터의 기준 입력 신호는 원시 입력 신호를 지연시킨 신호를 이용하였으며, 적응 필터의 출력은 다시 CA-CFAR(Cell Average - Constant False Alarm Rate) 임계 추정기(threshold estimator)를 거쳐 자동적으로 원하는 신호부분만 나타내도록 하였다. 우선 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알기 위하여 run 테스트를 수행하여 기준 입력 신호가 비정상성(nonstationarity)을 나타냄을 보였고, 웨이브렛 적응필터가 시평면 적응필터보다 수렴속도면에서 우수함을 보였으며, 각 적응 필터의 출력신호에 대해서 신호대 잡음비를 통해 성능평가를 하였다. 시평면 적응 필터링 후에는 신호대 잡음비가 2-3㏈ 향상을 보였고, 반면 웨이브렛 적응 필터링후에는 신호대 잡음비가 4-6㏈ 향상을 보였다.

  • PDF

간섭 환경에 강인한 적응형 부엽차단기 (Adaptive Sidelobe Blanker for Interference Environment)

  • 양은정;한일탁;송준호;이희영;염동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5
    • /
    • 2015
  • 적응형 부엽차단(adaptive sidelobe blanking, adaptive SLB: ASB) 알고리즘은 간섭 환경에서도 부엽차단(sidelobe blanking: SLB)이 가능한 방법으로, 보조 안테나 없이 수신 배열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을 제거함과 동시에 부엽으로 들어오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본 논문에서는 linearly constrained minimum variance(LCMV)를 adaptive beamforming(ABF) 알고리즘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에 적합한 adaptive SLB를 제안하였다. 공분산 행렬을 수정하여 SLB 채널의 신호가 LCMV의 방향 제한 조건(constraint)을 만족하도록 하였고, 이로부터 정규화된 출력을 얻어 효율적인 부엽신호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LCMV는 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GSC)의 형태로 변환하여 표현할 수 있고, 이는 여러 다른 ABF 알고리즘의 일반화된 형태이다. 따라서 LCMV를 위한 적응형 부엽차단 방법은 다양한 형태의 ABF 알고리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모의실험을 통해 간섭환경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레이더에서의 Markov Chain 분석을 이용한 TWS 방식과 Adaptive Tracking 방식의 추적 형성 거리 비교 (Comparison on Track Formation Range between TWS and Adaptive Tracking Using Markov Chain Analysis in a Radar System)

  • 안창수;노지은;장성훈;김선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574-580
    • /
    • 2013
  • 표적 추적을 위해 탐색 빔의 스캔간 획득 정보 상관 관계를 이용하는 TWS(Track While Scan) 방식과 달리, 위상 배열 레이더에서는 탐색 빔과 별도로 추적 빔을 할당하여 표적을 추적하는 adaptive tracking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추적 형성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기적인 탐색 빔 사이에 별도의 추적 빔들을 균등 시간 간격으로 할당한 adaptive tracking 방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adaptive tracking 방식의 markov chain과 추적 형성 거리를 기존의 TWS 방식과 함께 나타내었다. 모의실험 결과, 동일한 추적 확인 조건하에서 제안한 adaptive tracking 방식이 TWS 방식에 비해 27.6 % 정도의 증가된 추적 형성 거리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직접법에 의한 이산시간 기준모델 적응제어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Design of Discrete-Time 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System by Direct Method)

  • 김성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58-265
    • /
    • 1985
  • 이 論文은 SISO 離散時間 基準모델 適應制御시스템에 대한 設計問題를 다루었다. 基準모델과 未知시스템의 入·出力端에 狀態變數필터를 도입하므로서, 可用信號들로 구성된 아주 간단한 適應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未知시스템의 相對次數가 1 또는 2 이상인 경우의 設計法은 多數 발표되었으나, 構造가 매우 복잡하거나 設計理論이 일반화하지 못하였다. 본 論文에서는 相對次數가 2이상인 경우에 간단한 線型필터를 도입하므로서 適應構造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음을 證明하였다.

  • PDF

On the robust adaptive linearizing control for unknown and analytic relay nonlinearity

  • Lee, Jae-Kwan;Abe, Ken-ichi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Proceedings of the Korea Automatic Control Conference, 11th (KACC); Pohang, Korea; 24-26 Oct. 1996
    • /
    • pp.177-18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 robust adaptive control algorithm for a class of systems having continuous relay nonlinearity. This continuous relay nonlinearity can be defined as an analytic nonlinear function having unknown parameters and bounded unmodeling part. By this mathematical modeling, the whole system can be considered as a nonlinear system having unknown parameters and bounded perturbation. The control algorithm of this paper, RALC, can be constructed by robust adaptive law, feedback linearization, and indirect robust adaptive control. By this RALC, we can obtain that the output of given system can follow that of a stable reference linear model made by designer and the boundedness of all signals in closed-loop system can be maintained. Therefore, we can confirm a robust adaptive control for a class of systems having continuous relay nonlinear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