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er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5초

실시간 비디오 코덱 어댑터 구현 (An Implementation of Real Time Codec Adapter)

  • 강문석;최대우;손진수;이상홍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584-587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 time video codec adapter for enabling video communications with terminals having a codec which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multimedia services are playing with an office service phone such as a video phone or software phone which has video capability, each terminal is not being considered to have optimized video or voice codec. So when a video phone with only one type of video codec is used in the video streaming service which requires another type of codec, the streaming service is not successful without codec transformation. The real time codec adapter in this paper provides a real time code transformation which enable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ideo conferencing between terminals which have different codec.

  • PDF

G-PON TC 계층을 위한 이더넷 정합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Ethernet Adapter for the G-PON TC Layer)

  • 정해;안유광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5B호
    • /
    • pp.429-436
    • /
    • 2011
  • G-PON은 FTTH를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한 방편이며 이더넷, IP 패킷, TDM 신호 등을 수용할 수 있는 GEM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이더넷은 캠퍼스 가입자 액세스, 캐리어 서비스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 2 계층 프로토콜이므로 G-PON 시스템은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우선적으로 제공해 주어야 한다. 본 논문은 G-PON TC 칩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을 수용하기 위해 ITU-T G984.3에서 제시한 Ethernet over GEM 규격을 바탕으로 기가급의 이더넷 정합기를 구현한다. 정합기는 각각의 이더넷 프레임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GEM 프레임에 매핑하고 GEM 헤더 생성, 프레임의 캡슐화, 분할 및 재조립 기능을 가진다. 특히, 구현된 정합기는 규격에는 없지만 중요한 기능인 MAC 주소를 논리적 연결을 확인하는데 역할을 하는 port-ID로 바꾸어 주는 변환기를 내장하고 있다. 이 정합기는 FPGA로 구현되며 논리분석기와 이더넷 분석기를 이용하여 프레임 분할과 조립, 주소 학습 기능과 처리율 등을 확인한다.

Adaptive Link Voltage Variation (ALVV) Control for High Efficiency in High Power Density Adapter

  • Kim, Bong-Chul;Lee, Byoung-Hee;Park, Ki-Bum;Kim, Chong-Eun;Ryu, Byoung-Woo;Moon, Gun-Woo;Youn, Myung-Joong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8-510
    • /
    • 2008
  • In designing a LLC resonant converter, the ratio of magnetizing inductance ($L_M$) to resonant inductance ($L_R$), the inductor ratio (K) is usually considered. In high power density adapter, both adapter size and efficiency are important factors. Considering the size of adapter, high K design can be more attractive. But, wide frequency variation of high K design results in design difficulty of magnetic elements and decrease in efficiency. To solve these drawbacks, an adaptive link voltage variation (ALVV) control is proposed. With the proposed control method, the LLC resonant converter can be operated at the resonant frequency despite the output voltage variation. The control strategy and schematics are presented, and verified experimentally.

  • PDF

슬림형 어댑터용 하프 브리지 공진형 컨버터 (LLC Half Bridge Resonant Converter for Slim type Adapter)

  • 신용희;황국화;김창선;이철경;윤대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108-1110
    • /
    • 2007
  • The resonant converters cause the high voltage stress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which increases the conduction loss in converter power switches. The topology of LLC half bridge resonant converter provides ZVS characteristic and also the stress of voltage and curren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general resonant converters. So we can expect the higher efficiency. In this paper, the LLC resonant converter is designed for slim adapter. In the adapter design, we should consider the weight, the size and overheat of the adapter. Thus the optimal design of transformer is the most important facts. Some parameter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get the highest efficiency. The LLC resonant converter input is 390VDC Link voltage of PFC and the output has 16VDC/90W ratings. The efficiency measured is about up to 93%.

  • PDF

병렬 컴퓨팅 환경 하에서 인공위성 어댑터 가상최적설계 (Virtual Optimal Design of Satellite Adapter in Parallel Computing Environment)

  • 문종근;윤영하;김경원;김선원;김진희;김승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11호
    • /
    • pp.973-982
    • /
    • 2007
  • 연구는 병렬 컴퓨팅 기반에서 자동화된 격자 생성 기법과 입자 군집 최적화(PSO) 알고리즘을 적용한 최적 설계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이를 인공위성 어댑터 모듈의 구조 최적 설계에 적용하였다. 자동화된 격자 생성 기법을 적용하여 구조 형상 변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폭넓은 범위에서 최적 형상 모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최적화 알고리즘인 PSO 알고리즘을 병렬 계산환경과 접목하고, 계산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비동기식 PSO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최적화에 걸리는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최적화 작업에서 제한 조건으로는 고유진동수와 어댑터에 발생하는 최대 응력 값을 고려하였다. 결과적으로 인공위성 어댑터 모듈의 최적 설계를 통해 인공위성 구조 질량 감소를 유도해 내었다.

고정밀 INS를 이용한 GAK(GPS Adapter Kit) 항법 모듈의 차량 시험 (Van Test for GAK NM (GPS Adapter Kit Navigation Module) Using High Performance INS)

  • 오상헌;손석보;권승복;신동호;이상정;박찬식;황동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0-267
    • /
    • 2007
  • GAK(GPS adapter kit)은 GPS/INS 항법 모듈을 내장한 사거리 연장 키트의 일종으로 자유 낙하식 폭탄에 장착하여 투하 정확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GAK 항법 모듈의 차량 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항법 모듈은 상용의 MEMS IMU, 내장형 GPS 수신기 및 항법 컴퓨터로 구성된다. GPS 수신기는 위성 가시성 향상 및 자세 측정을 위하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실시간 항법 소프트웨어는 모듈화 구조로 설계하여 유지보수성 및 확장성을 고려하였다. 항법 모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고성능 INS인 Honeywell H-726 MAPS를 탑재한 차량 시험을 수행하였다. 차량 시험 결과 GPS 자세 결과를 사용한 GAK 통합 합법 모듈이 일반적인 GPS/INS 통합의 경우에 비하여 더 나은 항법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재밍 환경을 고려한 경우에도 순수 항법에 비하여 우수한 coasting 성능을 제공하였다.

엔드론치형 구형도파관 어댑터 내부의 루프결합구조에 대한 모드 해석 (Modal Analysis of Loop Coupling Structure in End Launcher Rectangular Waveguide Adapter)

  • 김동현;좌정우;양두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2호
    • /
    • pp.119-12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엔드론치형 구형도파관 어댑터 해석을 위하여 루프 결합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입력 임피던스의 모드 해석식을 유도하였다. 구형도파관 내의 전파모드와 고차모드들에 따른 입력 임피던스의 영향을 분석하고, 설계변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방식과 상용 해석 툴인 HFSS의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해석식이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제안한 엔드론치형 구형도파관 어댑터는 특성 임피던스 $50{\Omega}$을 갖는 동축선의 내부도체와 WR90 상용도파관내에서 길이가 17.6mm인 급전루프가 연결된 결합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앤드론치형 어댑터는 정재파비(VSWR)가 2.0이하인 기준에서 7.5GHz에서 10.6GHz 대역을 갖는다.

범용 농기계관리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기반의 스마트어댑터 설계 및 구현 (Raspberry Pi Based Smart Adapter's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General Management of Agricultural Machinery)

  • 이종화;차영욱;김춘희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31-40
    • /
    • 2018
  • CAN(Controller Area Network) 모듈의 탑재 여부와 관계없이 각 회사의 농기계관리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부착형의 스마트어댑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스마트어댑터는 리눅스 환경에서 농기계관리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메인보드(라즈베리파이3B)와 전원 조정과 상태 센싱을 위하여 자체 개발한 인터페이스 보드로 구성된다. 상태 모니터링을 위하여 스마트어댑터와 농기계의 센서들 사이에 시리얼입력을 이용하는 센싱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였으며, 진단을 위하여 농기계의 상태 다이어그램을 정의하였다. 스위치의 온/오프 접점을 이용하여 농기계의 센서를 시뮬레이션 하는 판넬을 제작하였으며, 시뮬레이터 판넬에서 농기계의 각 상태를 입력함으로 상태 모니터링과 진단 기능을 확인하였다.

주야 관측경용 빔 분리프리즘을 위한 1× Optical Path Relay Adapter 설계 (Design of 1× Optical Path Relay Adapter for Beam Splitting Prism used in Day & Night Scope)

  • 이동희;최규정;정인;박승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1-447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주야 관측경에 사용되는 빔 분리프리즘용 $1{\times}$ 광로 연장 어댑터(optical path relay adapter) 설계 개발에 관한 것이다. 방법: 상용 C-mount 경통구조를 가지는 줌렌즈 광학계와 빔 분리프리즘을 사용하여 주간 야간용 관측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줌렌즈 광학계의 상의 크기는 변하지 않으면서 결상면의 위치를 길게 늘일 수 있는 광로 연장 어댑터가 필요하다. 이에 우리는 lens module 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 CodeV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times}$ 광로 연장 어댑터를 설계할 수 있었다. 결과: 우리는 빔 분리 프리즘을 갖는 주야 관측경용 광로 연장 어댑터를 설계 할 수 있었는데, 이 광학계는 EFL이 -Q56.0 mm, 배율이 +1.0배, 첫 번째 렌즈에서 마지막 렌즈까지의 거리가 약 20.4 mm인 특징을 갖는 광학계가 되었다. 이 시스템의 분해능은 40% MTF 값 기준으로 30 lp/mm인 특성을 보여준다. 이 특성은 설계되어진 광로 연장 어댑터는 3세대 영상증폭관(IIT: image intesifier tubes)의 분해능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광학계임을 보여준다. 결론: 30 lp/mm에서 MTF 40%인 성능을 가지면서, 첫 번째 렌즈에서 마지막 렌즈까지의 거리가 20.4 mm, EFL이 -Q56.0 mm, 배율이+1.0인 광학적 특성을 갖는 광로 연장 어댑터를 설계하여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상용 C-mount 결상 경통구조를 가지는 줌렌즈 광학계와 3세대 영상증폭관(IIT)과 빔 분리프리즘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의 주야 관측경을 개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