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respiratory illnes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5초

Clinical features, diagnosis, and outcomes of 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associated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 Kwak, Ji Hee;Lee, Soo-Young;Choi, Jong-Woon;Korean Society of Kawasaki Diseas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KSP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2호
    • /
    • pp.68-75
    • /
    • 2021
  • The novel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caused by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nfection has been spreading worldwide since December 2019. Hundreds of cas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Kawasaki disease (KD)-like hyperinflammatory illness have been reported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peak of the COVID-19 pandemic with or without shock and cardiac dysfunction. These patients tested positive for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or antibody test for SARS-CoV-2 or had a history of recent exposure to COVID-19. Clinicians managing such patients coined new terms for this new illness, such as COVID-19-associated hyper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pediatric inflammatory multisystem syndrome temporally associated with COVID-19, or COVID-19-associated 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MIS-C). The pathogenesis of MIS-C is unclear; however, it appears similar to that of cytokine storm syndrome. MIS-C shows clinical features similar to KD, but differences between them exist with respect to age, sex, and racial distributions and proportions of patients with shock or cardiac dysfunction. Recommended treatments for MIS-C include intravenous immunoglobulin, corticosteroids, and inotropic or vasopressor support. For refractory patients, monoclonal antibody to interleukin-6 receptor (tocilizumab),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anakinra), or monoclonal antibody to tumor necrosis factor (infliximab) may be recommended. Patients with coronary aneurysms require aspirin or anticoagulant therapy. The prognosis of MIS-C seemed favorable without sequelae in most patients despite a reported mortality rate of approximately 1.5%.

의료보호대상자의 의료이용양상 (Comparision of Medical Care Utilization Patterns between Beneficiaries of Medical Aid and Medical Insurance)

  • 김복연;김석범;김창윤;강복수;정종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85-201
    • /
    • 1991
  • 의료보호대상자의 상병 및 의료이용 양상, 의료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의료보험대상자와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1990년 7월 2일부터 7월 14일까지 대구시 1개 동 의료보호대상자 총 89가구와 의료보험대상자 총 96가구를 단순임의 표본추출한 다음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1,000명당 15일간의 급성질환 이환율은 의료보호대상자 63, 의료보호대상자 62로 비슷하였으나, 표준화 이환율은 각각 73 및 69로 의료보호대상자가 다소 높았다. 연령별로는 19세 이하군이 각각 94 및 93으로 비교적 높았다. 1년간 만성질환 이환율은 의료보호대상자 123, 의료보험대상자 73이며 표준화한 이환율도 각각 87 및 57로 의료보호대상자가 월등히 높았다. 두 군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환율이 높았으며, 의료보호 중에는 1종의 의료보호대상자가 의료보험 중에서는 직장의료보험대상자가 그 이환율이 가장 높았다. 15일간의 급성질환 이환율은 의료보호대상자와 의료보험대상자 모두에서 호흡기질환이 각각 33.3%, 37.5%로 가장 많았으며, 1년간의 만성질환 이환율은 의료보호대상자에서는 근골격계 질환이 22.9%로 가장 많았었던 반면에 의료보험대상자에서는 위장관계 질환이 25.0%로 가장 높았다. 급성질환의 평균이환기간은 의료보호대상자가 3.8일로 의료보험대상자의 6.8일에 비해 짧았으나 만성질환의 경우는 11.5개월로 의료보험대상자의 7.8개월에 비해 월등히 길었다. 급성 이환자들의 1차 의료이용시 가장 많이 방문하는 의료기관은 의료보호대상자에서는 약국(55.6%)이었고, 의료보험대상자에서는 의원(45.8%)이었다. 만성질환 이환자의 지난 1년간 1차 의료이용은 두 군 모두에서 각각 31.4%, 53.6%로 의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급성질환 이환자의 15일간 전체 의료기관 평균 이용일수를 보면 1차 의료이용은 두 군 모두에서 각각 31.4%, 53.6%로 의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급성질환 이환자의 15일간 전체 의료기관 평균 이용일수를 보면 1차 이용에서 의료보호대상자 3.6일, 의료보험대상자 5.0일 이었으며 2차 이용에서는 각각 2.8일, 5.4일 이었다. 만성질환 이환자의 지난 15일간 평균이용일수는 1차 이용은 의료보험대상자는 7.2일 이었으며 2차 및 3차 이용은 의료보호대상자 15.0일 및 13.1일, 의료보험대상자 7.7일 및 6.8일 이었다. 급성질환 이환자가 1차 의료이용시 병원, 의원 그리고 약국을 방문하는 가장 많은 이유는 의료보호대상자 및 의료보험대상자 두 군 모두에서 '가까운 거리'였다. 만성질환 이환자에서 1차 의료이용시 병원을 이용하는 가장 많은 이유는 두 군 모두에서 '의료인의 명성'이었으며, 의원이용의 이유는 의료보호대상자의 경우 '의료보호혜택'이었고 의료보험대상자에서는 '가까운 거리'였다. 약국의 이용시에도 '가까운 거리'가 중요한 이유였다. 의료보장제도의 재원에 대한 물음의 정답률은 의료보호대상자 53.4%, 의료보험대상자 48.8%였다. 의료보장제도의 실시 목적에 대한 물음에 두 군 모두에서 의료비용절감이라고 대답한 경우가 각각 55.3% 및 55.7%였다. 의료기관 이용만족도 평가에서 의료인의 태도에 대한 만족도는 의료보호대상자 및 의료보험대상자 두 군 모두 약국이 47.9%, 46.5% 로 가장 높았으며 의료의 질에 대한 만족도는 병원이 각각 50.5%, 45.1%로 가장 높았다. 의료비에 대한 만족도는 의원이 각각 55.8%, 35.9%로 가장 높았고 의료기관의 환경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 경우가 병원으로 각각 54.3%, 34.8%였다. 의료기관 이용절차에 대한 만족도는 약국이 각각 70.6%와 78.5%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소견으로 우리나라 의료보호대상자는 만성질환 이환율이 의료보험대상자에 비해 매우 높아 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생각되며, 급성질환 이환자의 의료이용이 약국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만성질환 이환자의 의료 이용이 약국중심으로 이루어지고 만성질환 이환자의 미치료율이 의료보험대상자에 비해 높다는 사실 등은 현재 의료보호제도가 효과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병의원이용과 관련하여 의료인과 의료보호대상자의 의료보호사업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변화를 위한 홍보 및 계몽이 요구되며 또한 이용절차의 간소화를 위한 제도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urrent Status of Epidemiology, Diagnosis, Therapeutics, and Vaccines for Novel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 Ahn, Dae-Gyun;Shin, Hye-Jin;Kim, Mi-Hwa;Lee, Sunhee;Kim, Hae-Soo;Myoung, Jinjong;Kim, Bum-Tae;Kim, Seong-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313-324
    • /
    • 2020
  •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which causes serious respiratory illness such as pneumonia and lung failure, was first reported in Wuhan, the capital of Hubei, China. The etiological agent of COVID-19 has been confirmed as a novel coronavirus, now known a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which is most likely originated from zoonotic coronaviruses, like SARS-CoV, which emerged in 2002. Within a few months of the first report, SARS-CoV-2 had spread across China and worldwide, reaching a pandemic level. As COVID-19 has triggered enormous human casualties and serious economic loss posing global threat, an understanding of the ongoing situ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contain the virus's spread are urgently needed. Currently, various diagnostic kits to test for COVID-19 are available and several repurposing therapeutics for COVID-19 have shown to be clinically effective. In addition, global institutions and companies have begun to develop vaccines for the prevention of COVID-19. Here,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epidemiology, diagnosis, treatment, and vaccine development for COVID-19.

MTHFR의 점돌연변이로 인한 과호모시스테인혈증 환자에서 발생한 폐색전증 2예 (Two Cases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Young Patients with Hyperhomocysteinemia)

  • 이욱현;박철홍;고훈영;안호정;권순석;김용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6호
    • /
    • pp.460-465
    • /
    • 2008
  • 저자들은 비교적 젊은 연령이며 호모시스테인혈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발생한 폐혈전색전증 및 심부정맥혈전증 2예를 문헌과 함께 고찰하였다. 폐혈전색전증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점과 다른 위험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으로 보아 증례들에서 호모시스테인혈증이 폐혈전색전증을 일으킨 원인으로 보인다. 위험요소가 없으며 젊은 연령에서 생긴 폐혈전색전증에 있어 호모시스테인혈증을 원인의 하나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소아 human bocavirus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manifestation of human bocavirus infection in children)

  • 최창선;박찬희;정권;이건;선규근;김은영;김경심;김용욱;서진종;정윤석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2호
    • /
    • pp.136-144
    • /
    • 2007
  • 목 적 : 호흡기 감염의 중요 바이러스 중에 하나인 보카바이러스는 2005년 8월, 스웨덴의 Allander 등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이후 전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국내 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보카바이러스의 유병률 및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2005년 4월부터 2006년 5월까지 광주기독병원에 입원한 호흡기 질환 환아 1,777명의 입원 중 비인두 흡인물을 채취하였고, PCR을 시행하였고, 보카바이러스가 검출된 84명의 환아들의 임상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의 검출률과 임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조사였다. 결 과 : 총 1,777명의 의뢰 환아 중 84명(4.7%)에서 보카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평균연령은 1세 7개월이었고, 2세 이하에서 전체 검출 84명 중 64명을 차지(76.2%)하였으며, 남녀비는 1.04:1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4월에서 6월, 11월과 12월, 2006년 4-5월에 집중적으로 검출된 것으로 보아 겨울과 봄에 호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진단별로는 폐렴이 67.8%으로 가장 많았으며, 모세기관지염이 35.7%, 기관지염 27.3%, 급성 인두염 21.4%의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 증상으로는 기침이 94.0%, 가래 83.3%, 발열 78.5%, 콧물 69.0%, 인후통 27.3%, 호흡 곤란 및 빈호흡 22.6%, 설사 20.2%, 구토 9.5%, 이통 5.9%, 눈꼽 4.7%순 이었으며, 평균 발열 기간은 4.7일, 기침 지속 기간 15.5일, 평균 재원 기간 9.4일을 보였다. 신체 검사상 나음 65.4%, 천명 59.5%, 흉부 함몰 22.6%, 고막 발적 9.5%, 결막충혈 3.5%, 피부발진 2.3%이 나타났다. 흉부 방사선 소견상 상 폐문 주위 간질 침윤 58%, 과도통기 47%에서 보였으며, 말초 혈액 검사상 백혈구는 $9,400/mm^3$, 다핵구 41.7 (8.7-91)%, 림프구 44.3 (5-82.4)%, 적혈구 침강 속도는 33 (2-120) mm/hr, C반응 단백은 3.5 (0.1-10) mg/dL이었다. 결 론 : 보카바이러스는 소아 하기도 감염의 비교적 흔한 원인이며 위장관 및 피부 증상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입원이 요구되는 주로 2세 이하 영유아 호흡기 감염의 중요한 원인 바이러스 중 하나로, 겨울과 봄에 호발하며, 폐렴을 주로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천식을 포함한 기저질환 동반시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보카바이러스와 관련된 호흡기 및 기타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2008년도 특발성 간질성 폐렴(IIP) 전국실태조사보고 (2008 National Survey of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a in Korea)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2호
    • /
    • pp.141-151
    • /
    • 2009
  • 연구배경: 과거 국내외 특발성 간질성 폐렴(IIP)의 역학 조사는 제한적이었다. 간질성 폐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 IIP 환자들의 분포 및 역학에 대해서 알려진 바 없어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 사이에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단은 ATS/ERS 기준에 따랐다. 결 과: 입력된 환자는 3,156명이었으나, 중복, 진단기준 미달, 부정확한 자료로 970명이 제외되어 총 2,186명을 분석하였다. 남녀 비는 약 2 : 1이었고 이들의 평균 나이는 65세(11-94세)였다. 빈도는 특발성 폐 섬유화증(IPF) 1,685명(77.1%), 비특이적 간질성 폐렴(NSIP) 261명(11.9%), 특발성 기질화 폐렴(COP) 186명(8.5%), 급성 간질성 폐렴(AIP) 24명(1.1%), 박리성 간질성 폐렴(DIP) 19명(0.9%), 호흡성 세기관지염-간질성 폐질환(RB-ILD) 9명(0.4%), 림프구성 간질성 폐렴(LIP) 2명(0.1%)였다. 평균 나이는 IPF 67.8세, COP 57.7세, NSIP 57.1세로 IPF 환자의 나이가 가장 많았다.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운동 시 호흡곤란은 68.9%, 기침 60.8%, 객담 32.5%, 흉통 6.8%, 객혈 2.2%, 무증상 4.5%로 운동 시 호흡곤란의 증상이 가장 많았다. IPF의 3년 생존율은 62%였고, NSIP와 COP의 5년 생존율은 모두 85%였다. 결 론: 이 조사는 국내의 IIP 치료 및 진료 지침을 제작에 유용한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비순환기계 중환자의 예후인자로서 Cardiac Troponin I의 유용성 (Usefulness of Cardiac Troponin I as a Prognostic Marker in Noncardiac Critically Ill Patients)

  • 김휘종;함현석;조유지;김호철;이종덕;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53-61
    • /
    • 2005
  • 배 경 : cTnI는 심근손상의 특이 표시자로서 급성관상동맥 질환에서 높은 증가는 나쁜 예후와 상관이 있다. cTnI의 증가는 여러 가지 비심장성 중증질환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연구자 등은 비순환기계 중환자의 예후인자로서 cTnI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경상대학교 병원내과계 중환자실에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이외의 중증 질환으로 입원한 215명의 환자(남:142명, 여:73명, 평균 나이:$63{\pm}2$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중환자실 입원 24시간 이내에 SAPS II와 SOFA점수를 산출하였고 혈청 cTnI를 측정하였다. cTnI 양성군(${\geq}0.1{\mu}g/L$)과 음성군($<0.1{\mu}g/L$) 환자의 중환자실 제 10병일째와 30병일째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cTnI 양성군에서 중환자실 제 10병일째와 30병일째에 혈청 cTnI의 평균수치를 비교하였다. cTnI 양성군에서 혈청 cTnI 수치와 SAPS II와 SOFA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1) cTnI양성군 환자는 120명(56%)이었고 음성군환자는 95명(44%)였다. 2) 중환자실 제 10병일째와30병일째의 사망률은 cTnI 양성군(29%, 41%)이 음성군(12%, 2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3) cTnI 양성군에서 중환자실제10병일째와 30병일째의 cTnI 평균 수치는 비생존군($4.5{\pm}9.2{\mu}g/L$, $3.5{\pm}7.9{\mu}g/L$)이 생존군($1.8{\pm}3.6{\mu}g/L$, $2.0{\pm}3.9{\mu}g/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cTnI 양성군에서 cTnI 수치는 SAPS II 점수(r=0.24, p<0.001)와 SOFA 점수(r=0.30, p<0.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혈청 cTnI는 비순환기계 중환자의 유용한 예후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면역저하가 없는 환자에서 Alcaligenes xylosoxidans 에 의한 호흡기계 감염 2예 (Two Cases of Pulmonary Infection due to A. xylosoxidans Infection in an Immunocompentent Patient)

  • 이주현;남동혁;김도현;김선혜;김하나;한창훈;이선민;김정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1호
    • /
    • pp.33-38
    • /
    • 2008
  • A. xylosoxidans는 면역저하 상태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키며 호흡기 감염은 매우 드문 균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최근 면역저하가 없는 환자에서 발생한 A. xylosoxidans에 의한 호흡기 감염증을 2예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본 증례를 통해 정상면역을 가진 환자에서 A. xylosoxidans가 호흡기 감염의 원인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세균학적 검사결과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경험하였다.

Predicting Mortality in Patients with Tuberculous Destroyed Lung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 Kim, Won-Young;Kim, Mi-Hyun;Jo, Eun-Jung;Eom, Jung Seop;Mok, Jeongha;Kim, Ki Uk;Park, Hye-Kyung;Lee, Min Ki;Lee, Kwangha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1권3호
    • /
    • pp.247-255
    • /
    • 2018
  • Background: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secondary to tuberculous destroyed lung (TDL) have a poor prognosis. The aim of the present retrospective study was to develop a mortality prediction model for TDL patients who require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Data from consecutive TDL patients who had received mechanical ventilation at a single university-affiliated tertiary care hospital in Korea were review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predicting intensive care unit (ICU) mortality. A TDL on mechanical Ventilation (TDL-Vent) score was calculated by assigning points to variables according to ${\beta}$ coefficient values. Results: Data from 125 patients were reviewed. A total of 36 patients (29%) died during ICU admission. On the basis of multivariate analysis, the following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TDL-Vent score: age ${\geq}65$ years, vasopressor use, and arterial partial pressure of oxygen/fraction of inspired oxygen ratio <180. In a second regression model, a modified score was then calculated by adding brain natriuretic peptide. For TDL-Vent scores 0 to 3, the 60-day mortality rates were 11%, 27%, 30%, and 77%, respectively (p<0.001). For modified TDL-Vent scores 0 to ${\geq}3$, the 60-day mortality rates were 0%, 21%, 33%, and 57%, respectively (p=0.001). For both the TDL-Vent score and the modified TDL-Vent score, the areas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ere larger than that of other illness severity scores. Conclusion: The TDL-Vent model identifies TDL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ion with a high risk of mortality. Prospective validation studies in larger cohorts are now warranted.

Associ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a Rehabilitation Program and 1-Year Survival in Patients Requiring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 Wanho Yoo;Myung Hun Jang;Sang Hun Kim;Soohan Kim;Eun-Jung Jo;Jung Seop Eom;Jeongha Mok;Mi-Hyun Kim;Kwangha Le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6권2호
    • /
    • pp.133-141
    • /
    • 2023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a rehabilitation program during a hospital stay and 1-year survival of patients requiring at least 21 days of mechanical ventilation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PMV]) with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as their main diagnoses that led to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Retrospective data of 105 patients (71.4% male, mean age 70.1±11.3 years) who received PMV in the past 5 years were analyzed. Rehabilitation included physiotherapy, physical rehabilitation, and dysphagia treatment program that was individually provided by physiatrists. Results: The main diagnosis leading to mechanical ventilation was pneumonia (n=101, 96.2%) and the 1-year survival rate was 33.3% (n=35). One-year survivors had lower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score (20.2±5.8 vs. 24.2±7.5, p=0.006) and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core (6.7±5.6 vs. 8.5±2.7, p=0.001) on the day of intubation than non-survivors. More survivors participated in a rehabilitation program during their hospital stays (88.6% vs. 57.1%, p=0.001). The rehabilitation program was an independent factor for 1-year survival based on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hazard ratio, 3.513; 95% confidence interval, 1.785 to 6.930; p<0.001) in patients with APACHE II scores ≤23 (a cutoff value based on Youden's index).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a rehabilitation program during hospital stay was associated with an improvement of 1-year survival of PMV patients who had less severe illness on the day of intub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