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headach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2초

COVID-19 vaccine-induced immune thrombotic thrombocytopenia: a review

  • Siti Nur Atikah Aishah Suhaimi;Izzati Abdul Halim Zaki;Zakiah Mohd Noordin;Nur Sabiha Md Hussin;Long Chiau Ming;Hanis Hanum Zulkifly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65-290
    • /
    • 2023
  • Rare but serious thrombotic incidents in relation to thrombocytopenia, termed vaccine-induced immune thrombotic thrombocytopenia (VITT), have been observed since the vaccine rollout, particularly among replication-defective adenoviral vector-based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vaccine recipients. Herein, we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summarized reported studies of VITT follow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vaccination to determine its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its management. A literature search up to October 1, 2021 using PubMed and SCOPUS identified a combined total of 720 articles. Following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uideline, after screening the titles and abstracts based on the eligibility criteria, the remaining 47 full-text articles were assessed for eligibility and 29 studies were included. Findings revealed that VITT cases are strongly related to viral vector-based vaccines, which are the AstraZeneca COVID-19 vaccine (95%) and the Janssen COVID-19 vaccine (4%), with much rarer reports involving messenger RNA-based vaccines such as the Moderna COVID-19 vaccine (0.2%) and the Pfizer COVID-19 vaccine (0.2%). The most severe manifestation of VITT is 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 with 317 cases (70.4%) and the earliest primary symptom in the majority of cases is headache. Intravenous immunoglobulin and non-heparin anticoagulant are the main therapeutic options for managing immune responses and thrombosis, respectively. As there is emerging knowledge on and refinement of the published guidelines regarding VITT, this review may assist the medical communities in early VITT recognition, understanding the clinical presentations, diagnostic criteria as well as its management, offering a window of opportunity to VITT patients. Further larger sample size trials could further elucidate the link and safety profile.

Trapping and A4-A4 end-to-side anastomosis for the treatment of a ruptured A3 fusiform aneurysm: Potential risk of in-situ bypass

  • Young Rak Kim;Sung Ho Lee;Jin Woo Bae;Young Hoon Choi;Eun Jin Ha;Kang Min Kim;Won-Sang Cho;Hyun-Seung Kang;Jeong Eun Kim
    •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urgery
    • /
    • 제25권1호
    • /
    • pp.62-68
    • /
    • 2023
  • The treatment of complicated anterior cerebral artery aneurysms remains challenging. Here, the authors describe a case of ruptured complicated A3 aneurysm, which was treated with trapping and in-situ bypass. A 47-year-old man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severe headache and vomiting. Computed tomography illustrated acute intracerebral hemorrhage in the right frontal lobe.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confirmed a ruptured fusiform A3 aneurysm with lobulation and a daughter sac. Trapping of the ruptured fusiform A3 aneurysm and distal end-to-side A4 anastomosis was performed. DSA on postoperative day 7 showed mild vasospasm to the afferent artery. However, 2 months later, DSA demonstrated that the antegrade flow through the anastomosis site had recovered. Thus, surgeons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postsurgical vasospasm of anastomosed arteries, especially in cases of ruptured aneurysms.

경기도 지역 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증상에 관한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ic Study of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 박혜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91-104
    • /
    • 2007
  • 측두하악장애증상과 이와 관련될 수 있는 기여요인들의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경기도 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부터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측두하악장애증상의 증상별 빈도, 성별, 연령별 양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 중 한 가지 이상의 측두하악장애 주관적 증상을 가진 자는 80.6%였다. 2.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증상은 두통(45.7%)이고 그 다음이 관절음(43.5%)이었는데 두 가지 모두 남녀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20대 남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급성 부정교합 증상 비율이 낮았으며, 20대 여자 연령이 증가할수록 저작시나 말할 때의 악관절부 동통 증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4.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낸 증상으로는 개구시 악관절부 동통, 저작시나 말할 때의 악관절부 동통, 턱 피곤함, 급성 부정교합 증상이 있고,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빈도를 나타낸 기여요인으로는 턱 괴기, 스트레스, 껌씹기, 불면증, 이악물기가 있다. 5. 기여요인과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이악물기, 불면증, 편측저작, 턱 괴기, 스트레스에서 유의성이 높았다. 6.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은 보통 성격과 관련성이 높았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원인으로서의 발진열 (Murine Typhus as a Cause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Endemic Area)

  • 윤지열;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김현국;우영대;박미연;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4호
    • /
    • pp.367-375
    • /
    • 2002
  • 연구배경: 발진열은 벼룩에 의해 매개되며 전세계적으로 발생되는 리케치아질환으로 대개 경한 임상경과를 보이나 간혹 중증으로 발현된다. 저자들은 발진열로 유발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6예를 경험하게 되어 그 임상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1년 이후 서울중앙병원에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발진열로 진단된 환자들을 찾아 호흡곤란증후군을 동반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각군에 대한 연령, 성별, 혈액학적 검사 및 미생물학적 검사에 대해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발진열의 진단은 특이적 면역형 광항체검사법을 시행하여 초회 항체역가가 1:512 이상이거나 추적 항체가의 4배이상 증가가 있으면서 발진열에 합당한 임상양상이 있는 경우로 한정하였고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정의하였다. 결 과: 호흡곤란증후군이 동반된 6례를 포함 모두 15예가 있었다. 호흡곤란증후군이 동반된 6명의 환자 중 2명이 여자였고 3명이 도시에 거주하였다. 발진은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한명이 치료도중 사망하였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과 연관된 인자로 진단 및 치료시까지의 지연시간과 저알부민혈증, 혈중 bilirubin의 증가, 높은 APACHE III 점수와 MOD 점수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 론: 발진열은 풍토병의 성격을 띤 지역에서 원인미상의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한 원인으로 고려될 수 있고 최근 도시거주자에게도 발병되고 있다. 발진열에 의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예후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보다 좋지만 조속한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인의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환자를 대상으로 한 Moxifloxacin 400mg 1 일 1회 요법과 Clarithromycin 500mg 1일 2회 요법의 치료효과 및 안전성 비교 (A Multicenter, Randomized, Open, Comparative Study for the Efficacy and Safety of Oral Moxifloxacin 400 mg Once a Day and Clarithromycin 500 mg Twice Daily in Korean Patients with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Bronchitis)

  • 김승준;김석찬;이숙영;윤형규;김태연;김영균;송정섭;박성학;김호중;정만표;서지영;권오정;이신형;강경호;이이형;황성철;한명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40-751
    • /
    • 2000
  • 연구배경 : Moxifloxacin은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한 뛰어난 효과, 안전한profile과 유리한 약물동력을 바탕으로 기존의 fluoroquinolones보다 한단계 진보된 약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베타-락탐계 혹은 기타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미생물들에 대해 매우 유효하다. Moxifloxacin은 특히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 Chlamydia pneumoniae, Legionella spp. 그리고 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기 감염에 특히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 : 다기관, 무작위, 공개, 비교시험으로 만성기관지염의 급성악화 환자를 대상으로 moxifloxacin 400 mg 1일 1회 7일 투여와 clarithromycin 500 mg 1일 2회 7일 투여 그룹간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 170명의 환자 중에서 87명이 moxifloxacin 투여군 이었고 83명이 clarithromycin 투여군이었다. Moxifloxacin 투여군종에서 76명(세균학적 효과분석은 35명), clarithromycin 투여군중에서 77명(세균학적 효과분석은 31명)이 치료효과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모든 환자에서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임상적 성공율은 Moxifloxacin 투여군 76명중에서 70명(92.1%) 이었고 clarithromycin 투여군 77명중에서 71명(92.2%) 으로 유사하였다. 세균학적 Moxifloxacin 투여군이 73.5%, clarithromycin 투여군이 54.8% 으로 Moxifloxacin 투여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98). 내원시 시행한 객담의 세균 감수성 검사에서 moxifloxacin 투여군이 clarithromycin 투여군보다 Streptococcus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neumoniae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여주었다(p<0.001). 이상반응은 moxifloxacin 투여군 86명중에서 12.8% 에서 나타났고, clarithromycin 투여군 83명중에서 21.7%에서 발생하였다. 두통(4.7% vs 4.8%, 각각 moxifloxacin 투여군 vs clarithromycin 투여군)과 소화불량(2.3% vs 6.0%, 각각 moxifloxacin투여군 vs clarithromycin 투여군) 이 두 군에서 가장 흔한 이상 반응이었다. 결론 : 본 임상시혐의 결과, 만성기관지염의 급성악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moxifloxacin 400 mg 1일 1회 7일간 요법은 clarithromycin 500 mg 1일 2회 요법과 비교할 때 임상적으로 동등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미생물학적으로 우월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선천성 보체 7번 결핍을 가진 한국인 한 가족 (A Korean familial case of hereditary complement 7 deficiency)

  • 김문규;이경열;이준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721-724
    • /
    • 2009
  • 수막구균(Meningococcus) 질환은 보체계의 이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보체 7번은 5개의 말단 보체 단백질(terminal complement protein) 중 하나로 이것이 결핍되면 보체의 세포를 용해하는 작용을 잃게 되어 반복적인 감염, 특히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한다. 2003년 9월 고열, 하지 동통, 두통과 점상 출혈로 외래에 내원한 11세 된 여자 환자가 입원 후 급격히 혼수 상태로 빠졌으나 즉각적인 치료로 결국 완전히 회복되었다. 환자의 최종 진단은 수막구균성 패혈증과 관절염이었다. 환자의 오빠도 비슷한 세균성 뇌수막염 가족력이 있어 저자들은 보체계 검사와 유전자 돌연변이(gene mutation)에 대해 분석하였고, 환자와 환자의 오빠는 보체 7번 유전자의 exon 4에 G394C에 돌연변이가 있는 선천성 보체 7번 결핍 환자였고, 아빠는 보인자로 밝혀졌다. 저자들은 예방적으로 4가 수막구균 백신(tetravalent polysaccharide meningococcal vaccine, $Menomune^{(R)}$ A/C/Y/W-135, Aventis Pasteur, Canada)을 3년마다 접종하기로 하였고 2004년 10월에 처음으로 접종하였다. 그러나 2006년 9월 오빠는 급성 세균성 뇌수막염(meningoencephalitis)으로 사망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2년마다 예방적 접종을 하기로 하였고, 환자는 2008년 9월에 3번째로 접종하였으며 16세 된 환자는 현재까지 건강한 상태이다. 저자들은 수막구균 감염과 보체 7번 유전자 네번째 intron의 3' 말단 splice acceptor 위치에 G to T 돌연변이(g.IVS4-1G> T)가 있는 선천성 보체 7번 결핍을 가진 한국인 한 가족을 보고하는 바이다.

네팔 도서지역 주민들의 상병상태 및 의료이용양상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a Rural Area, Nepal)

  • 이명근;김명호;이명선;박경옥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1권2호
    • /
    • pp.231-241
    • /
    • 1996
  • The estimation of medical care status and the planning of health service program should be done according to each community resident's socio-medical background and public health service. In this point, it is most necessary to be set the exact and new socio-economic statistics data in Nepal, one of the worst countries in national health status. We surveyed 668 house, 3,425 residents in Dolka area, Nepal from January 25th to February 1st, 1995. 1. In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ratio of men and women was similar, the person who were below 19 years old were 28.1% and the single were 52.4%. The illeterate person were 50.3% and the lower group in economic status which had been estimated by interviewers were 46.9%. 2. In sanitational characteristics, the person who used stream water or rainwater to drink were 42.2% and the person who always boiled water to drink were only 8.3%. The person who had not toilet in their house were 67.3% and the lower group in sanitational status which had been estimated by interviewers were 61.8%. 3. The prevalence rate of illness during the last one month were 8.6% and the chronic were 26.1% and the acute were 72.5%. The distribution of sickness symptom were headache, fever and joint pain in order and the person who took no medical treatment among the sick were 37.0%. The patterns of medical utilization were public health center, hospital and pharmacy in order. 4. Illness preval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ex, age, merital status and educational experience. The residents who were women, 40 years old or more, married and had not educational experience were apt to take illness. 5. Medical utiliz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ducational experience, job, distance from home to medical facilities and economic status. The person who had educational experience, were officer workers or merchants, lived near by medical facilities and had higher economic status took medical treatment very well.

  • PDF

자락요법(刺絡療法)의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The Literature Study on Venesection therapy)

  • 민부기;;;오민석
    • 혜화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77-287
    • /
    • 2004
  • I have come to next conclusions in consequence of documentary study about medical books of many generations regarding venesection therapy. 1. Venesection therapy is much used for five sensory organ disease. Besides that internal disease, pain paralysis disease of muscle and joints, sugical disease, disease of woman and children, fever sunstroke CVA emergency case follow that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2. It is used for swollen tongue, eye pain, pharyngitis, swelling and pain in the throat, bleeding from the eye ear nose mouth or subcutaneous tissue, tonsillitis, aphthae and so on in the five sensory organ disease. Focus, sosang, jinjin yuye, taiyang, baihui are used for five sensory organ disease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3. It is used for malaria, headache, precordial pain, head-wind, abdominal colic, diseases characterized by acute diarrhea and vomiting, and so on in the Internal disease. Superficial venules and lymph vessesls, taiyang, quze are used for Internal disease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4. It is used for low back pain, hypochondriac pain, numbness, knee pain, tinea pedis, red swelling pain of hand and arm, flaccidity-syndrome, and so on in the pain paralysis disease of muscle and joints. Weizhong, superficial venules and lymph vessesls, Ashi point, zhigou are used for pain paralysis disease of muscle and joints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5. It is used for furuncle, tinea capitis, and so on in the sugical disease. Focus, weizhong are used for sugical disease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6. It is used for inflammatory disease with redness of skin, and so on in the disease of woman and children. Focus, weizhong, yanglingquan, yaoshu, sanyinjiao are used for disease of woman and children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7. It is used for fever, CVA, sunstroke, cadaverous coma, common cold, and so on in the fever sunstroke CVA emergency case. Sosang, weizhong, chize are used for fever sunstroke CVA emergency case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8. The urinary bladder channel of foot-taiyang is most used. Next there are the du channel, the stomach channel of foot-yangming, the lung channel of hand-taiyin, the gall baldder channel of foot-shaoyang, the triple-warmer channel of hand-shaoyang, the large intestine channel of hand-yangming, the spleen channel of foot-taiyin, the kidney channel of foot-shaoyin the pericardium channel of hand-jueyin the liver channel of foot-jueyin, the ren channel, the heart channel of hand-shaoyin, the small intestine channel of hand-taiyang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use. 9. Superficial venules and lymph vessesls, focus, five shu points, extra-point, back point are used in the venesection therapy, those are characteristic of locating an acupuncture point.

  • PDF

혈청학적으로 확진된 쯔쯔가무시(Tsutsugamushi)병 21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d Serologic Study of 21 Cases of Tsutsugamushi Disease Confirmed by Serologic test)

  • 박종선;권영수;이관호;현명수;정문관;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151-163
    • /
    • 1990
  • 1989년 가을 대구, 경북 및 그 인접지역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을 21예를 혈청학적 방법으로 진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병연령은 26세에서 72세까지였고 40대에서 발병율이 가장 높았으며 발병시기는 10월중순에서 11월초까지 발생하였고 10월말에 발생빈도가 가장 높았다. 2) 증상은 고열과 오한(100%), 근육통(95%), 두통(90%), 인후통(38%) 등이었고 이학적 소견으로 가피와 발진이 21예중 18예(86%)에서 관찰 되었다. 3) 검사실 소견상 SGOT증가(83%), SGPT증가(61%), LDH증가(67%)와 적혈구 침강속도의 증가(63%)가 있었으며 Weil-Felix검사를 시행한 16예 중 전례에서 1:40이상의 역가를 보였으며 간접면역형광항체법을 시행한 18예 중 전례에서 1:320이상의 항체역가를 보였다. 4) 치료는 tetracycline 또는 chloramphenicol, doxycycline을 투여하였고 평균 해열기간은 투약후 1.3일 이었으며 합병증이 발생한 예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정확한 환자의 병력과 임상증상 및 이학적 소견만으로도 조기에 쯔쯔가무시병을 진단하여 치료하면 별다른 합병증 없이 치료될 수 있다.

  • PDF

엔테로바이러스의 유무에 따른 수막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eningitis with or without Enterovirus)

  • 조원제;권예림;차병호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6-250
    • /
    • 2018
  • 목적: 뇌수막염은 소아기 급성 감염의 일종으로 바이러스나 세균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엔테로바이러스 수막염과 비엔테로바이러스 수막염의 차이를 분석하여 임상적 특성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 내원한 303명의 무균성 수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체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고 혈청학적 검사 및 뇌척수액 검사, 임상 양상과 예후를 분석하였으며 원인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고 연령별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303명의 환자 중 남환은 197명(65.0%)이었고 여름, 가을 기간 동안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빈도는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한 수막염(65.0%)이 가장 많았다. 원인에 따라서는 엔테로바이러스 수막염 그룹에서 두통 및 위장관 증상이 더 많았으며 비엔테로바이러스 수막염 그룹에서 뇌척수액 내 백혈구 수치가 높고 1세에서 4세 그룹에서 경련이 많이 나타났으며 추후 뇌전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도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는 본 기관에 내원한 환자에서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한 수막염이 가장 흔하며 예후는 양호하였고 그룹간 비교를 해 보았을 때 1세에서 4세 그룹에서 비엔테로바이러스 수막염 환자에게서 신경학적 증상이 빈번하고 예후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