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ual residential living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3초

주거공간에서 감성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 on Residential Space)

  • 이주현;모정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13-418
    • /
    • 200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prehensive and diversified meanings of emotional design through the literatures analysis, and to redefine the emotional design based a variety of standpoints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up to this time.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features of the emotional design in space design by analyzing the cases in which the current emotional design is applied to the actual space based on the various kinds of studies on emotion. The analysis result is to be revised and complemented with the verification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and experts on the emotional design. And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designs of living space by taking advantage of the analyzed features of the emotional design.

  • PDF

공동주택단지 사례분석을 통한 외부보행로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xterior pedestrian passages evaluation through case studies of multi-family housing complex)

  • 김성용;박정은;이효원
    • KIEAE Journal
    • /
    • 제8권1호
    • /
    • pp.61-70
    • /
    • 2008
  • This paper is focused on studying a pedestrian passage that forms exterior space of the housing unit on diverse prerequisites and conveni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regards to plans for Multi-family Housing Complex. The paper explores the actual usage of a pedestrian passage installed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 and examine whether the nature-friendly space that includes the exterior pedestrian passage of the housing unit is being applied variously on a pedestrian passage. In order to obtain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n case study unit, the study has prepared an analyzing tool for the environment in use for the exterior pedestrian passage and was able to construction problematic points by applying the obtained data. Thanks for the analysi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n the plans for the pedestrian passage was implemented through correlation with a green tract of land, living space and the exterior pedestrian passage installed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

춘천시 도시공원의 분포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ed Actual States of Urban Parks in Chun-Cheon City)

  • 김남각;김청정;남형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3-20
    • /
    • 1998
  • After Industrial Revolution,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s caused the urban centralization phenomenon of population, and the consequential and swift urban development forced to require somewhat more of necessary residential lands. With deferring the ecological principles, due to the developed urban area, 'green land' within a city started to diminish; and due to serious pollution, the environemental quality declined, and the living environment became sagged down even more seriously. it was analyzed to be a considerable point as a type of model for newly developing cities that are being undergone by the developmental and expansive plan by the City of Chun-chon.

  • PDF

고령자주택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Actual Conditions on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of the Elderly House)

  • 안옥희;최미향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주택의 조명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고령자만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 50가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가 느끼는 주택조명의 밝기는 거실과 부엌은 보통정도이며, 침실과 화장실은 조금 어두운 것으로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주택조명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대체로 보통이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고령자주택의 조명환경 문제점은 밝기와 관리라고 생각하며, 조명환경 개조 시 밝기와 설비의 노후를 고려하였으며, 개조 시 밝기에 가장 중점을 두기를 원하였다. 셋째, 조명의 사용방법은 침실과 화장실은 전반조명만의 사용이 압도적이며, 부엌은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의 병용이 압도적이다. 거실은 전반조명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을 병용하는 경우도 약 4할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광원의 사용을 보면, 침실과 거실에서는 주로 형광등을 사용하며, 부엌과 화장실에서는 국부조명의 광원으로 백열등을 사용하였다. 넷째, 침실의 평균조도는 104.17[lx], 평균균 제도는 60.22[%]이며, 거실의 평균조도는 116.15[lx], 평균균제도는 51.48[%]이며, 부엌의 싱크대 평균조도는 236.40[lx], 식탁의 평균조도는 160.73[lx], 화장실의 세면대의 평균조도는 109.81[lx], 변기의 평균조도는 74.33[lx]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기준보다 어둡다.

노인 건강수준의 지역 간 격차 비교 (Elderly Healthy Level of Regional Disparities Compare)

  • 이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347-358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들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영향력 검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를 추정 및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0 고령화연구패널 제3차 기본조사"의 원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4,714명을 분석대상으로 OLS 회귀분석, Oaxaca의 격차분해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도권 노인들이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들보다 건강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beta}=-.044$, p<.01). 둘째,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 격차의 실제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역'효과만을 분해하여 살펴본 결과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들보다 건강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의 건강 격차가 거주지역 특성에 의해서도 비롯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비수도권-수도권: 223.92, 109.50%; 수도권-비수도권: -267.18, 130.66%).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실천적, 정책적 함의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성별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생활 특성 및 여가생활 공간에 대한 선호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Behavior and Preference for Leisure Environment of the Five-Day Workweek Company Employees according to Gender)

  • 신화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3호
    • /
    • pp.107-1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behavior and preference for leisure environment of the five-day workweek company employees according to gender for developing leisure facilities in residential community planning.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he subjects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338 staffs of 7 companies, who were living in apartment complex.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way of life about leisure, leisure necessity, actual condition and need of leisure spaces, and leisure satisfaction.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chi}2-test$, t-test,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erms of leisure time in weekend, the available leisure time distribution, and leisure cost, there were no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2) After five-day workweek, the men and women showed to increase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to engage in diverse forms of leisure. Also, they showed an increased desired ratios in participating in each leisure activities. 3) Leisure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unity of family and cultivate the sentiment. 4) Even though current main area for leisure were in their house, men were likely to change them from in the house to around and near their house. And they needed leisure facilities which was closer to their house. 5)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leisure faciliti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was low and there were no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is result implicated to improve and develope leisure space and facilities near the residental environment for promoting leisure behavior of both women and men. In particular it is necessity to create the good atmosphere of leisure facilities for women.

울릉도 민가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벽체, 지붕, 창호, 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Pross of Vernacular Houses in Ulleung-Island -Focused on wall, roof, window and ceiling-)

  • 김찬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85-9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house in Ulleung Island in terms of building material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structural design by actual field surveys. This study found several facts; First, the house was classified into the log house and mud-wall house according to building material for wall structure. The log house prevailed in the early days of the settlement in the island because of affulent timber materials available around. However, the mud wall house became a popular type in later days because of the depletion of timber materials. Second, the Udeki wall was an unique installation reflecting the severe climate conditions of Ulleung Island. However, many aspects of the Udeki wall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living style and the introduction of modem heating systems in terms of its function, size, building material, layout position etc. Third, the roofing material also has been changed from materials available locally to slate materials transported from the mainland. Fourth, the bamboo slender-ribbed door as a single-swing door type was popular and later time the single-sliding door or three ribbed door was widely used in rooms installed later instead. Fifth, the roof was placed over the room, kitchen, and Chukdam (outer wall) and this was a resonable way to cope with heavy snowfalls in the winter season in Ulleung Island.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배제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n Social Exclusion of Residents Livng in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 김미희;노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91-10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exclusion of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nd to provide basic source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social exclusio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212 dwellers in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in the city of Gwangju from July to October of 2010. The main findings are: 1. The social exclusion of physical deficiency dimension composed of income and employment has been found to be the most serious level, compared to all the other dimensions. 2. The social exclusion from health has been found to be the highest level in the dimension of the approach to social rights. The next highest level has been found to be the social exclusions from residential areas and education and service areas. 3.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s from the areas of family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which are in the dimension of social participation, has been found to be next highest to the level of physical deficiency dimension. 4. The level of exclusion from cultural and normative integration has not been found to be of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residence in this study. This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social exclusion among residents living in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suggests the necessity an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measures of social integration for the residents of lowincome housing.

라이프스타일 기반 다학제적 청년층 1인 가구의 주거 환경 선호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eference and Needs of the Multi-academic Young Single Family Based on Life Style)

  • 임준형;최인영;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1호
    • /
    • pp.249-260
    • /
    • 2019
  • 최근 우리나라 1인가구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2035년에 들어서는 34.6%로 증가할 것이라 예측되며 이들 중, 우리나라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하여 청년층 1인가구는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청년 주거지원을 확대실시하여, 공공지원 임대주택과 민간 청년임대주택, 청년 기숙사 공급 등 다양한 정부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이 다른 청년층 1인가구의 정확한 주거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보급될 청년 주택 계획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청년층 1인가구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청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청년층 1인가구의 주거환경 선호 및 요구에 대한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셋째, 청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공간사용특성과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 실내디자인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8년 12월에서 2019년 1월 초까지 학생과 직장인을 포함한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청년층 1인 가구 150명을 대상으로 SNS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간사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작은 면적인 청년 1인 주거에서 침실과 거실이 기본적 기능 외 다양한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계획시 이에 대한 추가적 고려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2)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별도의 침실과 거실 공간 확보를 요구하며,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거실공간에 대한 확장요구와 침실공간의 드레스룸 등의 수납 추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실내디자인 선호를 살펴본 결과, 모던스타일과 대표적 컬러인 무채색계열 색채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거공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감재료를 선호하며, 조명은 간접조명 및 벽면을 이용한 은은한 조명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년층 내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학생과 직장인의 차별적 실내디자인 선호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실제 공공임대주택의 사례분석과 사용자 범위확대를 통하여 실질적인 주거환경니즈와 계획방안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농촌지역 주거환경 및 경관개선을 위한 기초적 연구 : 농촌 생활쓰레기 및 농업폐기물 처리 실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andscape Improvement in Rural area : Focus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rural household's garbages and farming wastes)

  • 한주헌;김지영;김태익;박광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51-159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 집중화에 밀려 점점 축소되고 사라져 가는 농촌의 재생을 위하여 농사를 주업으로 생활해 오고 있는 전통적인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도시생활에 비하여 거주여건이 불편하고 정비되어 있지 못한 농촌지역의 생활공간, 환경 및 정주 여건을 현재의 농촌환경 및 경관의 측면에서 문제점 파악,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 농촌 지역주민들의 생활공간을 직접 관찰 조사하고 경관 및 환경의 저해요인으로 나타나는 내용을 파악, 정리하고 이들과 지역주민들과의 상관성, 정주 여건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농촌 경관 및 거주환경의 주된 저해요인으로 파악된 생활 쓰레기의 부적절한 처리, 두엄의 존재, 여기저기 쌓여있는 각종 쓰레기더미 및 영농폐기물 등에 대한 현황을 현장 조사하고 이에 대한 처리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마을주민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의 쓰레기처리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마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쓰레기의 유형별 처리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농촌 마을 경관 및 환경 저해요인을 체계적으로 정비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고 살기 좋은 농촌 마을, 생활공간으로의 재생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