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oustic Conductanc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6초

전기-음향 방사컨덕턴스를 이용한 치료용 초음파 자극기의 음향출력 예측 (The Acoustic Output Estimation for Therapeutic Ultrasound Equipment using Electro-Acoustic Radiation Conductance)

  • 윤용현;조문재;김용태;이명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4-269
    • /
    • 2011
  • To increase therapeutic efficiency and biological safety, it is important to precision control of acoustic output for therapeutic ultrasound equipment. In this paper, the electro-acoustic radiation conductance, one of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ultrasound equipment, was measured by the radiation force balance method according to IEC 61161 standards and the acoustic output was estimated using the electro-acoustic radiation conductance. The estimation of acoustic output was conducted to continuous wave mode and pulse wave mode of duty cycle between 20% and 80%. The differences between prediction values and measurement results are within 5% of measurement uncertainty, which is a reasonably good agreement. The results show that acoustic output controlled by electro-acoustic radiation conductance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method.

로켓엔진에서 음향공의 음향학적 감쇠능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Acoustic Damping Characteristics of Acoustic Cavities in a Liquid Rocket Engine)

  • 김홍집;김성구;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91-298
    • /
    • 2005
  • 고주파 연소불안정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는 음향공에 대하여, 3차원 선형 음향해석을 수행하여 음향공의 감쇠 능력을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공진주파수는 상온에서 고전적 이론에 의한 공진주파수와 약 $6\%$, 압력 비에 의한 결과와는 약 $10\%$의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감쇠 능력의 정량화를 위하여 acoustic impedance를 도입하여 흡수계수와 conductance를 도출하였다. 음향공의 개수에 따른 acoustic impedance 특성을 살펴보았고, 기존의 결과와 정량적으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기하학적으로 동일한 음향공이 여러 개 설치된 연소실에서는 음향장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각각의 음향공이 동일한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고, 최적의 음향공의 개수를 판정하는 것은 하나의 음향공의 acoustic impedance를 제대로 정량화하여 가능하다. 이로써 acoustic impedance를 도입하여 음향공의 최적 동조를 위한 설계 절차를 확립하였다.

  • PDF

로켓연소실에서 음향공의 음향학적 감쇠에 대한 정량적 고찰 (A Study on the Acoustic Damping Characteristics of Acoustic Cavities in a Liquid Rocket Combustor)

  • 김홍집;김성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0권1호
    • /
    • pp.32-40
    • /
    • 2006
  • A linear acoustic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elucidate damping characteristics of acoustic cavities in a liquid rocket combustor. Results have shown that resonant frequencies of acoustic cavity obtained by classical theoretic approach and by the present linear analysis are somewhat different with each other. This difference is attributed to the limitation of the simplified classical theory. To quantify the damping characteristics, acoustic impedance has been introduced and resultant absorption coefficient and conductance have been evaluated. Satisfactory agreement has been achieved with previous experiment. Finally the design procedure for an optimal tuning of acoustic cavity has been established.

배플이 없는 사각형 음향센서의 자기방사 임피던스 (Self-Radiation Impedance of rectangular Acoustic Sensor Without Baffle)

  • 이종길;서인창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82-88
    • /
    • 1995
  • 배플이 없는 폴리우레탄 유한 윈도우를 장착한 사각형 음향 센서의 수중 음향방사로 인한 자기방사 임피던스 (self-radiation impedance)의 컨덕턴스(conductance)와 서셉턴스(susceptance)를 실험으로 계측 하여 이를 전기적 등가회로를 이용하여 수중방사 임피던스 양을 계산하였다. 또한 무한배플(rigid infinite baffle)의 사각형 피스톤을 모델로 선정한 Levine식을 이용하여 음향방사로 인한 자기방사 임피던스를 적분식으로 표시하고 이것을 방사 저항과 방사 리액턴스로 분리하여 수치해석하였다. 실험의 경계조건과 비유적 유사한 이론해석 결과를 실험치와 비교하였다.

  • PDF

FASTRAC 연소기에서 음향공을 이용한 연소불안정 제어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mbustion Stabilization in FASTRAC combustor using Acoustic Cavities)

  • 김홍집;김성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2년도 제3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6-23
    • /
    • 2012
  • 연소시험을 통한 성공/실패 사례가 있는 FASTRAC 연소기에 대해, 효용성이 검증된 3차원 선형 음향해석을 수행하여 음향공의 물성치 변화에 따른 감쇠 특성을 파악하였다. 음향공의 동조주파수와 감쇠능력을 정량화하기 위해 acoustic impedance 개념을 도입하였다. 기하학적 형상이 주어진 상태에서, 음향공 내부의 음속 변화에 따라 최적의 동조가 가능한 음속을 파악하였다. 최적의 동조가 이루어지기 위한 음향공 내부의 음속 예측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여러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음향공에 대하여 적용하여 감쇠능력을 정량화함으로써 연소안정성의 확보 여부에 대한 검토가 가능할 것이며,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FASTRAC 연소기에서 음향공을 이용한 연소불안정 제어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mbustion Stabilization in FASTRAC Thrust Chamber Using Acoustic Cavities)

  • 김홍집;김성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9-36
    • /
    • 2012
  • 연소시험을 통한 성공/실패 사례가 있는 FASTRAC 연소기에 대해, 효용성이 검증된 3차원 선형 음향해석을 수행하여 음향공의 물성치 변화에 따른 감쇠 특성을 파악하였다. 음향공의 동조주파수와 감쇠능력을 정량화하기 위해 음향 임피던스 개념을 도입하였다. 기하학적 형상이 주어진 상태에서, 음향공 내부의 음속 변화에 따라 최적의 동조가 가능한 음속을 파악하였다. 최적의 동조가 이루어지기 위한 음향공 내부의 음속 예측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여러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음향공에 대하여 적용하여 감쇠능력을 정량화함으로써 연소안정성의 확보 여부에 대한 검토가 가능할 것이며,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로켓연소실에서 음향공의 음향학적 감쇠에 대한 정량적 고찰 (A Study on the Acoustic Damping Characteristics of Acoustic Cavities in a Liquid Rocket Combustor)

  • 김홍집;김성구;최환석
    • 항공우주기술
    • /
    • 제5권2호
    • /
    • pp.195-204
    • /
    • 2006
  • 로켓엔진에서의 고주파 연소불안정을 제어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음향공에 대하여, 3차원 선형 음향해석을 수행하여 음향공의 감쇠 능력을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선형음향해석에 의한 공진주파수는 상온에서 고전적 이론에 의한 공진주파수와 약 6% 압력 비에 의한 결과와는 약 10%의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음향공의 개수에 따른 acoustic impedance 특성을 살펴보았고, 본 연구의 결과가 기존의 결과와 정량적으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기하학적으로 동일한 음향공이 여러 개 설치된 연소실에서는 음향장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각각의 음향공이 동일한 acoustic impedance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acoustic impedance를 도입하여 음향공의 최적 동조를 위한 설계 절차를 확립하였다.

  • PDF

소리를 시각화하는 다양한 방법 (Sound Visualization Gallery: A means to express sound field in space and time)

  • 최정우;김양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29-632
    • /
    • 2005
  • What does sound look like if we can see it? It might depend on the acoustic variables we want to see. In this article, we propose various ways to visualize or express sound field in much more intuitive manner. In particular, new visualization schemes that can effectively visualize sound intensity and 3D pressure field are proposed. This allows us to represent sound pressure, particle velocity and acoustic conductance at the same time, even in three-dimensional coordinate. Visualization examples corresponding to the proposed techniques show that we can successfully transfer the meaning of physical variable to visual space.

  • PDF

백색소음하에서 단어암기 및 재인검사 수행시의 경악 및 정향반사 특성 : 스트레스/정서연구에의 시사점 (STARTLE AND ORIENTING REFLEX COMPONENTS MODULATION BY ATTENTION TO TASK AND PERFORMANCE OF MENTAL TEST WITH NOISE FOREGROUND)

  • ;이임갑;박경진;손진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논문집
    • /
    • pp.139-145
    • /
    • 1999
  • In current study on 8 college students there was examined modulation of eyeblink (as measured by integrated EMG of m.orbicularis oculi) and skin conductance response (SCR) to an acoustic startle probe (85 dB[A] white noise) by attending to task presented in auditory modality (to memorize words for further recognition) and entire performance of the word recognition test. Both eyeblink magnitude and SCR amplitude and rise time to startle probes were modified (larger magnitude of EMG peak, lower amplitude and shorter rise time of SCR) during attending to task as compared to performance on test. Results are interpreted n terms of modification of electrodermal and eyeblink components of startle and orienting reflexes by task characteristics (passive versus active efforts), attentional demands and aversiveness of experimental situation. However, eyeblink startle response manifested potentiation during attending to task, while SCR demonstrated attenuation. There are discussed implications of startle modulatioas a potentially sensitive probe of situational demands in stress research and also are considered prospects for further studies.

  • PDF

자극 습관화가 자동차 경적음의 심리음향 특성에 따른 심리생리적 予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habituation on psychophysiological differentation of automobile horns with different psychoacoustic characteristics)

  • 민윤기;;이임갑;조문재;손진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8권 1호
    • /
    • pp.263-268
    • /
    • 1999
  • Psychoacoustic characteristics of automobile hems influence subject's subjective evaluation and psychophysiological reactions on the sounds of car horns. However, differentiation of physiological responses to commercially availablenfluence subject's subjective evaluation and psychophysiological reactions on the s horns is a complicated task due to the small contrast in technical features of horns and the influence of habituation. Using 10 college students,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ological reactivit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habituation on decrement of psychophysiological responsivity, assess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subjectively most and least preferred/appropriate horns according to physiological manifestations. EEG and autonomic responses to 7 automobile horns were analyzed during 3 blocks of trials (each block was varied in order for presenting stimuli and acoustic parameters of horns). It was shown that electrodermal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had different reactivity patterns to repeated stimulation. Skin conductance variables (SCL, SCR) were habituated as a function of trial. Cardiac reactivity (HR, RSA) showed no signs of habituation. In contrast, sensitization was shown in the vascular component of response (pulse volume). The temporal EEG exhibited marked habituation of fast beta band power, while alpha-blocking effect did not habituate during the course of experiment. Differentiation of physiological responses of most and least preferred/appropriate horns was possible in this study. That is, some cardiovascular reactivity variables (HR, RSA, pulse volume, etc.) were differentiated between the least and the most preferred/appropriate horns during the experiment. However, EEG and electrodermal paramet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during first block of trials and were later affected by habit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