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orn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6초

도토리를 이용한 직물의 염색 (The Dyeing on Fabrics Using Acorns)

  • 유혜자;이혜자;변성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61-668
    • /
    • 1997
  • The dyeing characteristics of acorn was investigated. The natural Fabrics-cotton, rayon and silk-were dyed repeatedly in the solution extracted from acorn, CuSO4, K2Cr2O7 and brine were used as mordants to improve color fastness. Anti-bacterial property was measured in the dyed and mordant treated fabrics. When the cotton and rayon fabrics were dyed and treated with CuSO4, their colors showed very clear. They also had good color fastness and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y. The dyed silk fabrics had better dye absorption property than the cotton and rayon fabrics without mordant treatment. But the fabrics dyed without mordant treatment had low light fastness. The cotton, rayon and silk fabrics dyed and treated with brine were dark and unclear. An aftertreatment with CuSO4 and K2Cr2O7 made the dyed fabrics darter and more clear.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trichomes in reciprocal hybrids of Quercus dentata and Q. serrata

  • Lee, Jeong-H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4-79
    • /
    • 2009
  •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trichomes, and acorns in 8- to 11-year-old reciprocal hybrids of Quercus dentata and Q. serrata were investigated. The reciprocal hybrids had obovate to obovateelliptic leaves that were smaller than those of Q. dentata but similar to Q. serrata in their leaf size, obtuse leaf apex, narrow-tipped leaf base, and shape of small to intermediate-sized serrations. The ray length of stellate hairs was intermediate between those of the parents, and the hairs showed dense growth. Long single hairs are present among the stellate hairs on the abaxial side of the leaves. Therefore, the hybrids of Q. dentata and Q. serrata could be identified by the size and shape of leaves, shape of serrations, and type of leaf trichomes.

도토리묵 제조용 조전분의 수입 원산지별 호화 특성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Crude Starches Prepared from Acorns Harvested in Various Countries)

  • 양기현;류보람;김효진;이지연;김민지;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79-128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토리묵 제조용으로 수입되고 있는 북한산, 중국산 전분과 국내산 전분에 대하여 원산지별 호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청가, 아밀로오스 함량, 아밀로그래프 측정, 입도분포, 장방출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입자형태 등을 조사하였다. 청가는 북한산($0.42{\pm}0.00$)> 중국산($0.37{\pm}0.01$)> 국내산($0.34{\pm}0.00$) 순이었고(p<0.05), 아밀로오스 함량에서는 북한산($33.65{\pm}0.47$)> 중국산($32.00{\pm}0.86$)> 국내산 ($30.48{\pm}1.21$) 순이었다(p<0.05). 아밀로그래프상에 나타난 초기호화온도는 북한산과 중국산이 $72^{\circ}C$로 같았고, 국내산은 $71^{\circ}C$이었다. 최고점도는 국내산과 북한산이 580 BU이었고 중국산은 570 BU이었다. 전분의 노화특성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냉각점도(C)와 setback(C-P)값, total setback(C-H)값의 크기는 전분의 노화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북한산과 중국산이 국내산보다 다소 높았다. 입자분포에서는 5 미크론 이상 40 미크론 미만에서 국내산 68.9%, 중국산 73.8%를 나타낸 반면 북한산은 57.1%, 90 미크론 이상 501 미크론 미만에서의 입자가 19.1% 함유되어 있어 상당히 불균일하였다. 장방출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중국산과 북한산 시료에서 부분적으로 호화가 일어났다.

중왕산 몇 활엽수 종자의 야생동물에 의한 2차 분산 (Secondary Dispersion of Several Broadleaved Tree Seeds by Wildlife in Mt. Jungwang, Pyeongchang-gun, Korea)

  • 김갑태;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4-70
    • /
    • 2013
  • 야생동물에 의한 활엽수 종자의 2차 분산율과 관련 야생동물을 확인하고자, 온대중부의 천연활엽수 혼효림이 분포하는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9월 하순에 4수종의 종자를 배열한 seed-tray를 설치하여 10월 하순까지 야생동물에 의한 2차 분산율과 야생동물을 3년간 조사하였다. 신갈나무 종자가 평균 87.2%의 2차 분산율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당단풍나무 종자 33.1%였으며, 고로쇠나무 종자 29.2%, 복장나무 종자는 13.6%로 2차 분산율이 가장 낮았다. 2차 분산도 신갈나무가 단풍나무류 세 수종보다 빠르게 진행되었다. 2차 분산에 관여하는 야생동물은 다람쥐(Siberian chipmunks)가 가장 빈번하게 방문하였고, 다음은 청설모(Korean squirrel), 멧돼지(Wild boar) 순이었으며, 드물게 방문한 종은 담비(Yellow-throated marten)였다. 신갈나무 종자는 대부분 멧돼지가 직접 소비하였거나, 다람쥐나 청설모 등이 물어가 소비하거나 분산저장한 것이라 추정된다. 대부분의 단풍나무류 종자는 직접 설치류들에 의해 소비되고 일부만 분산저장되는 것이라 추정된다. 야생동물의 포식과 분산저장으로 늦가을에 숲 바닥에 남아있는 건전종자는 거의 없었다. 연구 대상지에서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당단풍나무와 복장나무의 치수발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숲에 서식하는 멧돼지는 종자 포식자이며, 설치류는 종자 포식자 또는 분산자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야생동물에 의한 종자의 2차 분산율, 소비와 분산저장량 및 관련 야생동물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Component Analysis of Acorns of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 Lee, Hyunseok;An, Chanhoon;Han, Sangurk;Lee, Wiyoung;Jang, Kyunghwa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03-112
    • /
    • 2016
  • To compare seed components of plus trees, seed powder ground after seedcoat removal was analyzed for two oak species, i. e., Quercus monglica (white oak) and Quercus variabilis (red oak), which are typical oak trees in Korea but have different fruiting characteristics. Thus we aimed at analyzing and comparing many ingredients including minerals, sugars, etc. Two speci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content of water, crude ash, crude protein and carbohydrates, but crude lipid content in Q. variabilis was 2.5 times higher than that in Q. mongolica. Crude proteins of Clone 124 wa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Clone 75 in Q. mongolica. Crude lipid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in Clone 0511 of Q. variabilis, and more phosphate and iron was found in Q. monglica than in Q. variabilis. Glucose showed 85.4% and 88.3% on average of the total monosacchrides in two species, and galactose and arabinose were also found. In the content of phosphate, iron, and crude lipid,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species and among clones of two species.

인삼포장에 발생하는 당근뿌리혹선층의 방제를 위한 길항식물의 탐색 (Screening and Utilization of Antagonistic Plants to Control Northern root-knot Nematode in Ginseng Fields)

  • 양계진;도은수;김광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331-338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creen the antagonistic plants on nor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and to utilize those in its control. Egg hatching of M. hapla was found to be inhibited by 17 plant methanol extracts, and 11 plant extracts among them were also toxic to M. hapla second stage juvenile. Egg hatching of iW. hapla was also found to be inhibited by squeezed extracts of Cassia tora and Zea mays, and they were also toxic to M. hapla second stage juvenile. Extracts of Achyranthes japonica, Melia axedrach and Acorus graminens were toxic to M. hapla second stage with a juvenile mortality above 70clc at the 10 folds diluted concent ration and A. graminens was toxic to tested juvenile mortality above 50% at the 100 folds diluted concentration. The toxicity was directly propotional to the diluted concentration of the plant extracts and to the exposure period. Punica granatum, Acorns graminens and Melia axedrach were effective in inhibiting root penetration of JW. hapla juveniles, among of them p. granatum is most effective Percent inhibition of penetration by second and third stage juveniles into tomato slants penetrating by it was 72.7 and 82.4%, respectively.

  • PDF

천연 식품자원으로부터 Prolyl Endopeptidase의 저해 효과 탐색 (Screening of Prolyl Endopeptidase Inhibition from Korean Natural Foods)

  • 이성현;박홍주;조용식;정인경;송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971-975
    • /
    • 2003
  •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도달하는 시간이 각각 22년과 10년으로 추정되며 선진국에 비해 진입속도가 빠를 것으로 보고 있다. 고령화인구에 따라 일상생활은 물론 지역 사회에서의 활동, 더 나아가서는 직업 활동을 할 수 없는 기억 장애현상인 노인성 치매가 더욱 문제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정신건강 관련하여 이미 이용되고 있거나 민간에서 구두로 알려진 식품 총 100종을 선정하고, 메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prolyl endopeptidase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40ppm 농도에서 도토리가 96.0%로 가장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였고, 산딸기가 92.0%, 호두가 73.0%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나머지 식품들은 56.1%인 녹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50% 미만의 수준이었다. 본 연구결과 PEP에 비교적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저해제로서 도토리와 산딸기를 확인할 수 있었고, 현재까지 개발되고 보고된 합성 peptide인 PEP저해제와는 달리 천연식품이란 점에서, 앞으로 이 식품들이 항치매 예방 기작 구명에 유용하게 이용됨과 동시에 치매의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토리의 탄닌 성분이 약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nnic Substances from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on the Storage Quality of Rice Wine)

  • 최성현;복진영;남세현;배정설;최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20-1425
    • /
    • 1998
  • 도토리 약주의 저장 중 성분을 대조구와 비교 분석한 결과 660 nm에서 흡광도 값이 초기 0.116에서 $4^{\circ}C$로 저장 10일 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0.06{\sim}0.075$로 낮아졌고 대조구는 감소폭이 작아서 도토리 성분이 약주의 청징화에 효과적이었다. 유기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적었다. GLC에 의한 유기산 정량 결과 lactic, succinic, citric, malic, oxalic 및 fumaric acid의 순이었으며 탄닌 성분인 gallic acid 함량은 0.39 mg%이었다. 도토리 약주의 농축액을 lard에 첨가하여 POV를 측정한 결과 9일 후에 대조구는 $265\;meq\;kg^{-1}$ lard로 증가된 반면에 도토리 약주는 $2{\sim}3\;meq\;kg^{-1}$ lard로서 거의 그대로 머물러 있었으므로 항산화효과가 인정되었다. 저장기간 중 도토리의 탄닌성분에 의한 술의 청징화와 산도저하의 방지에 효과가 있었다.

  • PDF

당화된 도토리의 전분이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증식과 바이오오일 함량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Saccharified Acorn-starch for Biomass and Lipid Accumulation of Microalgae)

  • 최희정;이정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7-204
    • /
    • 2016
  • 본 연구는 당화된 도토리의 전분이 미세조류(Chlorella vulgaris) 바이오매스 증식과 바이오오일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도토리의 전분은 당화 후에 81.3%가 글루코스로 전환되었다. 도토리-글루코스를 이용한 복합영양 상태에서 미세조류는 독립영양 상태보다 높은 바이오매스 증식률과 TAGs (Triacyglycerols)의 함유량을 나타내었는데, 최대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TAGs의 함유량은 3 g/L의 도토리-글루코스의 농도에서 각각 12.44 g/L와 32.9%를 나타내었다. 이는 3 g/L의 도토리-글루코스 농도에서 독립영양 상태의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비교하면 16.4배의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를 생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제성과 바이오매스의 생산량/생산률 그리고 TAGs의 함유량을 고려한다면 3 g/L의 도토리-글루코스 농도가 미세조류의 증식에 가장 효과적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세조류 유래 바이오에너지의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nual and spatial variabilities in the acorn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 Noh, Jaesang;Kim, Youngjin;Lee, Jongsung;Cho, Soyeon;Choung, Yeon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4호
    • /
    • pp.229-240
    • /
    • 2020
  • Background: Genus Quercus is a successful group that has occupied the largest area of forest around the world including South Korea. The acorns are an important food source for both wild animals and humans. Although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is genus are highly variable, it had been rarely studied in South Korea. Therefore, in Se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i) we measured the acorn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an overwhelmingly dominant species in South Korea, for 3 years (2017-2019), (ii) evaluated the spatial-temporal variation of acorn production, and (iii) analyzed the effects of oak- and site-related variables on the acorn production. Results: The annual acorn production of Q. mongolica increased 36 times from 1.2 g m-2 in 2017 to 43.2 g m-2 in 2018, and decreased to 16.7 g m-2 in 2019, resulting in an annual coefficient of variation of 104%. The coefficient of spatial variation was high and reached a maximum of 142%, and the tree size was the greatest influencing factor. That is, with an increase in tree size, acorn produ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2018 F = 16.3, p < 0.001; 2019 F = 8.2, p < 0.01). Elevation and slop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production in 2019. However, since elevation and tree siz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 = 0.517, p < 0.001), the increase in acorn production with increasing elevation was possibly due to the effect of tree size. The acorn production of Odaesan for 3 years was 2.2 times greater than that of Seoraksan. This was presumed that there are more distribution of thick oak trees and more favorable site conditions such as deep soil A-layer depth, high organic matter, and slower slopes. Conclusion: As reported for other species of the genus Quercus, the acorn production of Q. mongolica showed large spatial and annual variations. The temporal variability was presumed to be a weather-influenced masting, while the spatial variability was mainly caused by oak tree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