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sulfate soil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6초

토양에서 분리한 Paenibacillus polymyxa DY1의 항균활성물질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by Paenibacillus polymyxa DY1 Isolated from Soil)

  • 신은석;권순일;유관희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42-348
    • /
    • 2007
  • 새로운 항균물질의 탐색이 활발하다. 선행연구에서 새로운 항균활성물질을 생산하는 세균이 한국토양에서 분리되어 Paenibacillus polymyxa DY1으로 동정 및 명명되었으며, 다제내성 장내세균들에 대한 항균활성 특성이 규명되어 새로운 항생물질로서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배지의 탄소원, 무기질소원, 유기질소원, 아미노산, 무기염류 등의 영양 조성물과 물리화학적 생장조건이 P. polymyxa DY1 균체의 생장과 항균활성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균체의 생장을 위하여 기초배지에 0.6% dextrose, 1.4% ammonium phosphate monobasic, 0.9% peptone, 2.4% glutamine, 2 mM sodium molibdate를 가한 후 pH를 8.0으로 조정하고 $35^{\circ}C$에서 30$\sim$48시간동안 180 rpm으로 진탕배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다. P. polymyxa DY1 항균활성의 생산은 기초배지에 1% dextrose, 1.5% ammonium sulfate, 1.1% casamino acid, 1.9% aspartic acid, 2 mM ferrous sulfate를 가한 배지를 pH 8.0으로 조정하고 $35^{\circ}C$에서 30$\sim$48시간동안 180 rpm으로 진탕배양하는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김해평야(金海平野)에 분포(分布)한 특이산성토(特異酸性土)의 생성(生成)과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 -II. 점토광물(粘土鑛物)의 분포(分布) 및 생성(生成) (Genesis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Acid Sulfate Soil in Gimhae Plain -II. Genesis and Distribution of the Soil Clay Minerals)

  • 정필균;류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8-178
    • /
    • 1994
  • 김해평야(金海平野)에 분포(分布)하는 특이산성토(特異酸性土)는 하해혼성충적층(河海混成沖積層)에서 발달(發達)되어 있으며 풍화환경(風化環境) 조건(條件)이 일반 토양(土壤)과 상이(相異)하다. 특히 이들 토양점토(土壤粘土) 광물(鑛物)은 강산성(强酸性) 조건(條件)에서 규산염광물(珪酸鹽鑛物)의 풍화속도(風化速度)를 촉진(促進)시키며, 건조(乾燥)와 습윤(濕潤)의 반부(反復)은 유황함유광물(硫黃含有鑛物)의 산화환원(酸化還元)으로 인한 토양(土壤)의 pH 변화(變化) 폭(幅)을 증가(增加)시키므로 광물(鑛物)의 풍화(風化)를 더욱 가속화(加速化)시킨다. 본(本) 보(報)에서는 이와같은 환경(環境) 조건(條件)에서 생성(生成)된 김해통(金海統), 봉림통(鳳林統), 해탁통(海拓統), 등구통(登龜統)에 대한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의 동정(同定) 및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므로써 생성과정(生成過程)을 구명(究明)코자 하였다. 점토(粘土)의 규반비(珪礬比)는 3.14~3.77 범위로 토양통간(土壤統間)에 뚜렷한 차이(差異)는 없었으며 illite나 vermiculite 등의 2 : 1 격자형(格子型) 점토광물(粘土鑛物)과 1 : 1 격자형(格子型) 점토광물(粘土鑛物)이 혼재(混在)하기 때문에 규반비(珪礬比)가 높았다. 점토(粘土)의 CEC는 22.1~29.2cmol/kg 범위(範圍)로 낮은 편이며, 이는 1 : 1 격자형(格子型) 점토광물(粘土鑛物)의 함량(含量)이 높고 강산성(强酸性) 조건(條件)에서 생성(生成)될 수 있는 2 : 1 격자형(格子型)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층간(層間)에 CEC가 낮은 Al 및 Fe의 수산화물(水酸化物)의 침입(侵入) 정도(程度)가 크기 때문이다. Jaorosite[$KFe_3(SO_4)_2(OH)_6$]는 B층(層) 혹은 C층(層)에 함유(含有)되어 있으며 X-선(線) 회절(回折) Peak 및 $Fe_2O_3$$K_2O$ 함량(含量)으로 보아 김해통(金海統)에서 가장 많이 혼재(混在)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X-선(線) 회절분석(回折分析), DTA 분석(分析), TG 분석(分析) 결과(結果) 토양(土壤) 중 점토광물(粘土鑛物)은 kaolin광물(鑛物), vermiculite, illite 및 수산화물(水酸化物)이 층간(層間)에 침입(侵入)된 vermiculite(hydroxy interlayered vermiculite : HIV)가 주광물(主鑛物)이었으며, 특히 강산성(强酸性) 조건하(條件下)에서는 vermiculite로부터 HIV가 많이 생성(生成)되었다. 부산물(副産物)로는 토양(土壤)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석영(石英) 및 장석(長石)과 Jarosite, pyrite, hematite 및 goethite 등(等)의 함철광물(含鐵鑛物)이 소량(少量) 존재(存在)하였다.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층위별(層位別) 분포(分布)를 보면 전반적으로 kaolin 광물(鑛物)은 표층(表層)에서 많았고, 심층(心層)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vermiculite와 illite의 함량(含量)은 층위간(層位間)에 뚜렷한 차이(差異)는 없으나, 김해통(金海統)과 해척통(海拓統)에서 수산화물(水酸化物)이 층간(層間)에 침입(侵入)된 vermiculite(HIV) 함량(含量)이 표층(表層)에 비하며 심층(心層)으로 갈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각해통(各海統)과 해척통(海拓統)에서 토양(土壤)의 pH가 심층(心層)에서 매우 낮아 2 : 1 격자형(格子型) 광물(鑛物)의 안정도(安定度)가 떨어져 Al 및 Fe의 수산화물(水酸化物)이 층간(層間)에 침입(侵入)된 vermiculite가 많이 생성(生成)된 결과(結果)로 생각된다.

  • PDF

인위적인 토양산성화에 대한 사방오리나무와 물오리나무 묘목의 생리반응 및 생장특성 (Physiological Responses and Growth Performance of Alnus firma and Alnus hirsuta Seedlings to Artificial Soil Acidification)

  • 최동수;토다 히로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45-153
    • /
    • 2012
  •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evaluating resistance of soil acidification for growth, net photosynthesis, $N_2$ fixation rate and nutrient status of Alnus firma and Alnus hirsuta seedlings grown in brown forest soil acidified with $H_2SO_4$ or $HNO_3$ solution were investigated (control (pH=5.9), LN (pH=5.0; Low levels of Nitric acid), HN (pH=4.0; High levels of Nitric acid), LS (pH=5.0; Low levels of Sulfuric acid), and HS (pH=4.0; High levels of Sulfuric acid)). The shoot dry weight of Alnus firma and Alnus hirsuta and the root dry weight of Alnus hirsuta seedlings grown in the HN, LS and H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the seedlings grown in the control. The Chlorophyll a/b ratio in leaves of Alnus firma at LN, LS and H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N in leaves of Alnus hirsuta at H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net photosynthetic rate of Alnus firma and Alnus hirsuta seedlings at LN and HN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soil acidification due to sulfate deposition are greater than those of soil acidification due to nitrate deposition on growth, net photosynthesis and $N_2$ fixation rate of Alnus firma more than Alnus hirsuta.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산성화(酸性化) 민감도(敏感度)에 대(對)한 실험적(實驗的) 평가(評價)(I) -산중화(酸中和) 반응(反應) 예측모형(豫測模型)의 활용(活用)- (Experimental Assessment of Forest Soil Sensitivity to Acidification -Application of Prediction Models for Acid Neutralization Responses-)

  • 이승우;박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133-138
    • /
    • 2001
  • 토양의 산중화 반응 결과로 나타나는 염기성 양이온의 유실과 Al의 가동성 증가는 산림 쇠퇴징후가 나타난 대기오염 지역의 공통된 특징이다. 따라서 산림토양의 산성화 민감도를 결정짓는 산중화 반응을 보다 용이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산성도 인자를 이용한 산중화 반응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조사대상지인 남산, 강화, 울산, 홍천의 토양산성도는 동일 지역순으로 높았으며(P<0.05), 이는 토양칼럼 실험에서 추가 산유입($16.7mmol_c/kg$)에 대한 지역별 총 산중화능($ANC_H$)과 상반된 결과였다. 모든 지역에서 염기치환과 Al 용해가 주된 산중화 기작이었으며, 총 산중화능이 낮은 지역일수록 염기치환 산중화능은 낮은 반면 Al 용해 산중화능이 높게 발휘되었다. 황산이온 흡착에 의한 산중화능은 대조지역인 홍천에서 가장 높았으나 산중화율은 6.4%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토양산성도 인자를 이용하여 토양산중화 반응을 예측하기 위한 단순회귀모형과 다중회귀모형의 수정결정계수는 각각 0.52(P<0.04)와 0.89(P<0.01) 이상으로 이들 회귀모형이 토양산성화 민감도와 관련된 산중화 반응을 예측하는데 보다 용이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특이산성토(特異酸性土)(답(沓))에 생육(生育)한 수도(水稻)에 대(對)한 규회석(珪灰石) 및 MnO2의 효과 (The Effect of Wollastonite and Manganese Dioxide on Rice Grown on a Flooded Acid Sulfate Soil)

  • 박영대;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3-28
    • /
    • 1970
  • 김해(金海) 특이산성(特異酸性) 토양(土壤)(답(畓))에 대(對)한 규회석(珪灰石) 및 $MnO_2$의 효과를 Pot 시험(試驗)으로 실시한 결과(結果) 1. 특이산성토양(特異酸性土壤)(답(畓))에서 문제시(問題視)되는 토양용액(土壤溶液) 중의 Al함량(含量)은 pH의 상승과 더불어 감소되며 이러한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는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더 현저하며 이와 같은 토양(土壤)에 규회석(珪灰石)을 시용(施用)하거나, 혹은 토양(土壤)을 담수상태(湛水狀態)로 하여 토양(土壤)의 pH를 상승시키면 수도(水稻)에 대(對)한 Al해독(害毒)은 문제(問題)가 되지 않으리라 생각 된다. 2. 삼요소(三要素)만을 시용(施用)한 Pot에 생육(生育)한 수도(水稻)가 Fe-toxicity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며 생육(生育)이 부진한 이유(理由)는 식물체(植物體) 중의 Fe와 S의 함량(含量)이 높은데 기인(起因)하며,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식물체(植物體)중의 Fe와 S의 함량(含量)이 현저히 낮아졌고, 또 수도(水稻)의 생육(生育)도 정상적이었다. 3. 토양용액(土壤溶液) 및 식물체(植物體)중의 Fe 함량(含量)은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특이산성토(特異酸性土)에서 문제(問題)시되는 Fe-toxicity는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피(避)할 수 있다. 4. 규회석(珪灰石)에 병용한 $MnO_2$는 규회석(珪灰石) 단용(單用)보다 식물체(植物體)중의 Fe함량(含量)을 낮추지 못하였다. 5.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은 건물중(乾物重)과 정조수량(精租收量)을 증가(增加)시켰고 규회석(珪灰石)과 병용한 $MnO_2$는 규회석(珪灰石) 단용(單用)보다 수당립수(穗當粒數)와 등숙율(登熟率)을 증가(增加)시켰다.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특이산성토(特異酸性土)(답(畓))에 생육(生育)한 수도(水稻)의 생육(生育)이 부진한 주원인(主原因)의 하나가 Fe-toxicity라 생각되며 이와 같은 답토양(畓土壤)에는 규회석(珪灰石)을 시용(施用)하므로서 Fe의 해독작용(害毒作用)을 억제(抑制)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폐금속광산 광미 및 주변 오염토양 세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shing remediation of tailing waste and contaminated surrounding soil of a bandoned metal mines)

  • 이동호;박옥현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7-101
    • /
    • 1999
  • 토양세척 기법은 금속-리간드 착물형성을 촉진하여 오염토양으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폐금속광산 광미와 그 후면 농경지토양의 중금속 오염도 저감에 대한 세척기랩의 적용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일부시료에서 구리와 납의 오염도는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또 다른 시료에서는 카드뮴이 대책기준에 근접하는 오염도를 보였다. 토양시료에 단계적 추출법을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광미와 주변토양시료에 존재하는 중금속의 절반 이상이 식물이용가능성 있는 흡착된 형태로 존재함이 밝혀졌다. 또한 단계석 추출법으로 조사한 몇 가지 형태의 중금속 농도와 0.1N HCI 용출실험에서 구한 농도 사이에는 비례관계가 성립하였다. 유기산별 세척능력 비친실험에서 구연산은 위의 세 가지 중금속 모두에 대하여 초산이나 옥살산에 비해 월등한 세척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구연산을 사용하여 토양으로부터 중금속을 세척할 때 세척액의 pH를 5.5이하로 하면 보다 나은 세척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구연산 세척법을 이용한 중금속 세척시 효율은 세척액 농도, (세척액/토양)혼합비, 그리고 세척액의 초기 pH에 의존하여 달라졌다. 구연산에 SDS를 같이 투입하여 세척하면 세 가지 중금속 중에서 카드뮴의 세척효율이 가장 크게 개선되었으며 구리 제거율은 변화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구연산 세척기법은 광미와 중금속 오염토양으로부터의 중금속 제거에 적용 가능한 정화방법임이 확인되었다.

  • PDF

충북지역 토마토 시설재배지의 풋마름병균(Ralstonia solanacearum) 오염도 및 분리균주의 특성 (Contamination Level of Ralstonia solanacearum in Soil of Greenhouses Cultivating tomato Plants in Chungbuk Provi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s)

  • 윤건식;박상용;강효중;이기열;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58-62
    • /
    • 2004
  • 충북지역 토마토 시설재배지 토양의 풋마름병 병원균(Ralstonia solanaceaum)의 오염도 및 분리균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133개 조사 토양 중 27개 토양에서 선택배지로부터 R. solanacearum이 분리되어, 전체 시설재배지 토양의 20.3%가 풋마름병균에 오염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오염 토양에서 병원균의 밀도는 토양 g당 $10^{2.4}$ cfu로 조사되었다. 병든 토마토로부터 분리한 12균주를 포함한 총 71개의 분리균주는 모두 레이스 1이었고, 35개 균주가 생리형 3으로, 36개 균주가 생리형 4로 구분되었다. 전체 분리균의 88% 이상이 각각 oxolinic acid 0.5$\mu\textrm{g}$/ml, streptomycin 25 $\mu\textrm{g}$/ml, tetracycline 5 $\mu\textrm{g}$/ml and cupric sulfate 375 $\mu\textrm{g}$ml(1.5 mM)을 함유한 nutrient agar에서 생장이 억제되었고, 전체균주의 11.3%, 4.2% and 5.6%가 각각 감수성균주의 최소억제농도보다 10배 이상의 oxolinic acid, streptomycin, tetracycline가 함유된 배지에서 생장하였다. 5개 균주는 2개의 살세균제에 동시에 그리고 1개 균주는 3개의 살세균제 모두에 저항성을 보였다.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Xylanase from Bacillus sp. KK-1

  • Kim, Dae-Joon;Yoon, Ki-Hong;Kim, Seung-Ho;Cho, Ki-Haeng;Min, Bon-Hong
    • BMB Reports
    • /
    • 제28권4호
    • /
    • pp.348-352
    • /
    • 1995
  • A thermophilic Bacillus sp. strain KK-1 isolated from soil produced an extracellular xylanase.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Bacillus sp., the xylanas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DEAE-Sephadex A-50 chromatograph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xylanase was estimated to be 45 kDa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apparent $K_m$ values for xylanase, using oat spelt xylan and birchwood xylan as substrates, were 7.1 mg/ml and 3.2 mg/ml, and $V_{max}$ values were $27.0\;{\mu}mol{\cdot}min^{-1}{\cdot}mg^{-1}$ and $29.0\;{\mu}mol{\cdot}min^{-1}{\cdot}mg^{-1}$, respectively. The xylanase hydrolyzed oat spelt xylan to mostly xylobiose, xylotriose, and xylose. The amino acid composition indicated that the xylanase contained high amounts of amino add residues of glutamic acid and glutamine (Glx) and aspartic acid and asparagine (Asx).

  • PDF

유성오염의 세척성에 관한 연구(제1보) -개체유성오염의 세척성- (Studies on the Detergency of Oily Soils (Part 1) - Detergency of Soild Oily Soils -)

  • 김영희;정두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24-535
    • /
    • 1994
  • The interaction and detergency between oily soil and surfactant solution were studied Samples used were tristearin, tripalmitin and their mixture as a triglyceride, myristic acid as a fatty acid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as surfacta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ixtures of model oily soils were formed of eutectic point and their melting point were lower than them of individual oily soils. 2. The formation of liquid crystalline (LC) phase was recognized in the triangle phase diagram for SDS~ water~model oily soil system. The areas of LC phase region were in the order of SHS~ water~myristir acid> SDS~ water~mixture of tristearin, tripalmitin and myristic acid (TS/TP/M)>SDS~water~mixture of tristearin and tripalmitin (TS/TP) 3. The LC phase region expanded to wide concentration range of SDS solution and high concentration range of model oily soil with increasing temperature. Particularity, the LC phase region expanded highly at $30~40^{\circ}C$ but when the temperature was elevated above $40^{\circ}C$, expanding tendency decreased. 4. In the system of myristic acid and TS/TP/M contacted with SDS solution, the LC phase was already formed at $28^{\circ}C$ and the region of the LC phase were expand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But in the system of TS/TP contacted with SDS solution, the LC phase was not formed in whole experiment temperature. 5. The detergency of myristic acid was very high ann it was recognized that the formation of the LC phas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tergency. The detergency of TS/TP was very for low, but when TS/TF was mixed with myristic acid, the detergency of TS/TP increased. It is supposed that the LC phase was formed butween SDS solution and myristic acid promoted to penetration of SDS solution into the inner parts of TS/TP.

  • PDF

특이산성답(特異酸性畓)에서 수도(水稻)에 대(対)한 석회(石灰) 및 인산(燐酸)의 효과(効果) (Effect of Lime and Phosphorus to Rice Plant on Acid Sulfate Soil)

  • 황남열;박건호;김진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4-71
    • /
    • 1983
  • 강산성(强酸性) 토양(土壤)인(pH 3.5) 특리산성답(特異酸性畓)에서 석회(石灰)와 인산(燐酸)의 시용(施用)이 토양(土壤)의 변화(変化) 및 수량증대(收量増大)에 미치는 효과(効果)를 구명(究明)하기 위(為)해 시험(試験)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회중화량(石灰中和量) + 인산(燐酸) 20/10a구(区)에서 무처리구(無處理区)에 비(比)해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증대(増大)시켜 60%의 증수효과(増收効果)가 있었다. 2. 수량증대(收量増大)에 미친 효과(効果)는 석회(石灰)는 36%, 인산(燐酸)은 15%로써 석회(石灰)의 시용효과(施用効果)가 컸다. 3. pH와 Eh에 있어서는 석회시용량(石灰施用量)이 많을 수록 pH는 높아졌고 반대(反対)로 Eh는 낮아졌으며 석회(石灰)와 인산(燐酸) 시용(施用)은 토양환원(土壤還元)을 촉진(促進)하였다. 4. 근(根)의 신장(伸長)은 무석회구(無石灰区) 논 표토(表土) (0~5cm)에 62%의 뿌리가 존재하였으나 석회(石灰)와 인산(燐酸)을 많이 시용(施用)할수록 하위(下位)(5~10cm)까지 뻗어갔다(60%). 5. 토양(土壤) pH변화(変化)는 최고분얼기(最高分蘖期)에 최고(最高)에 이르며 그 후 점차 감소하여 원(原) pH값에 접근하였으나 석회 소요량은 약(約) 반(半)이였다. 6. 토양중(土壤中) 규산(珪酸), 인산(燐酸)과 수량(收量)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相関)으로 나타났고 pH를 높여줌으로 토양중(土壤中)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의 함량(含量)을 높여줄 수 있다. 7. 석회(石灰)와 인산(燐酸) 증시(増施)는 질소흡수(窒素吸水)를 증가(増加)시키고 식물체중(植物体中) 인산(燐酸)의 흡수(吸水)가 많을수록 수량(收量)은 증가(増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