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blue 40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1초

Isolation of $NH_4^+$-Tolerant Mutants of Actinobacillus succinogenes for Succinic Acid Production by Continuous Selection

  • Ye, Gui-Zi;Jiang, Min;Li, Jian;Chen, Ke-Quan;Xi, Yong-Lan;Liu, Shu-Wen;Wei, Ping;Ouyang, Ping-Ka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8호
    • /
    • pp.1219-1225
    • /
    • 2010
  • Actinobacillus succinogenes, a representative succinicacid-producing microorganism, is seriously inhibited by ammonium ions, thereby hampering the industrial use of A. succinogenes with ammonium-ion-based materials as the pH controller. Therefore, this study isolated an ammonium-ion-tolerant mutant of A. succinogenes using a continuous-culture technique in which all the environmental factors, besides the stress (ammonium ions), were kept constant. Instead of operating the mutant-generating system as a nutrient-limited chemostat, it was used as a nutrient-unlimited system, allowing the cells to be continuously cultured at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The mutants were isolated on agar plates containing the acid-base indicator bromothymol blue and a high level of ammonium ions that would normally kill the parent strain by 100%. When cultured in anaerobic bottles with an ammonium ion concentration of 354 mmol/l, the mutant YZ0819 produced 40.21 g/l of succinic acid with a yield of 80.4%, whereas the parent strain NJ113 was unable to grow. When using $NH_4OH$ to buffer the culture pH in a 3.0 l stirredbioreactor, YZ0819 produced 35.15 g/l of succinic acid with a yield of 70.3%, which was 155% higher than that produced by NJ113. In addition, the morphology of YZ0819 changed in the fermentation broth, as the cells were aggregat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ferment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Z0819 can efficiently produce succinic acid when using $NH_4OH$ as the pH controller, and the formation of aggregates can be useful for transferring the cells from a cultivation medium for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배양 조건에 따른 Spirulina platensis의 성장 및 지방산 조성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with Growth Conditions for Spirulina platensis platensis)

  • 주동식;조만기;레이너 부홀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09-416
    • /
    • 1998
  • 판형 배양조를 이용하여 온도와 빛 강도를 변화시키면서 Spirulina platensis의 성장과 이에 따른 균체내 지질축적량 및 지방산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균체량으로부터 빛 강도에 대해서 고찰해본다면 $2695{\mu}E/m^3/sec$의 낮은 빛 강도는 적절한 배양 빛 강도가 아니었고, 온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4235{\mu}E/m^3/sec$$6391{\mu}E/m^3/sec$ 사이의 빛 강도가 적절였다. 온도의 경우 $40^{\circ}C$에서는 빛 강도에 관계없이 균체 성장이 억제되고 결국에는 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25^{\circ}C$의 낮은 온도에서는 성장이 지연되었다. $30^{\circ}C$$35^{\circ}C$가 적절한 온도였는데, 빛 강도에 따라 온도의 선택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질 함량은 $30\~35{\circ}C$ 온도와 $4235-6391{\mu}E/m^3/sec$ 사이의 빛 강도에서 최대를 보여주고 있으며, 지질조성은 배양 조건에 관계없이 C16 : 0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C210 : 0, C18 : 2의 순이었고, 특정 지질성분의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기대했던 C18 : 3의 함량은 몇몇 조건에서만 극히 소량으로 검출되었다.

  • PDF

심황색소의 감광활성과 빛 조사에 의한 지질산화 및 세포독성 유도 효과 (Induc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melanoma cell death by turmeric oleoresin through its photosensitizing properties)

  • 김희정;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9-6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형광등 빛 조사 하에서 심황색소의 감광활성을 평가하고 이로 인한 유지산화 유도 및 세포독성 강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Formazan 탈색 및 NBT 환원을 이용한 실험에서 심황색소는 빛에 노출 시 유의적인 감광활성을 보였다. 또한, 심황색소는 빛 조사에 의해 올리브유를 제외한 옥수수유, 카놀라유와 대두유 등 식용유지에서 hydroperoxide 양과 TBARS 양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심황색소는 빛 조사 하에서 O/W 반응계에서 linoleic acid로부터 TBARS의 생성을 저해했으며, ROS에 의한 DCF 형광반응도 감소시키는 산화방지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심황색소의 흑색종에 대한 세포독성도 형광등 빛 조사에 의해 현저하게 강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심황색소가 감광활성 발현을 통해 특정환경에서 유지산화를 유도하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암세포 사멸 효과강화 등의 긍정적인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호박 Silage의 품질(品質) 및 이용성(利用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Quality and Utilization of Pumpkin Silages)

  • 김용국;김상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77-84
    • /
    • 1976
  • 최근(最近)에 사료(飼料)의 요구량(要求量)이 급증(急增)되고 사료용(飼料用) 호박이 도입(導入) 재배(裁培)되므로서 호박의 사료화(飼料化)에 대(對)한 관심(關心)이 많아졌다. 이에 본시험(本試驗)은 사료용(飼料用) 호박으로 Mammoth pumpkin(C. Maxima), Queensland blue pumpkin(C. Maxima), Korean pumpkin(C. Moschata)으로 부터 밀기울을 0, 10, 20%씩 각각(各各) 첨가(添加)하면서 Silage 제조(製造) 하였으며, 제조후(製造後) 40~60일(日) 사이에 화학적(化學的) 조성분(組成分), pH,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을 분석(分折)하고 산란계(産卵鷄)에 대(對)한 급여시험(給與試驗)을 하여 호박의 사료적(飼料的) 가치(價値) 및 이용성등(利用性等)을 조사(調査)하고 그 결과(結果)를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1. Silage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재료(材料)인 호박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Mammoth pumpkin의 경우(境遇) 약(約) 97%, Queensland pumpkin이 94%, Korean pumpkin이 91%였던 관계(關係)로 상당히 높았으며 Silige제조후(製造後) 성분변화(成分變化)는 가용무질소량(可溶無窒素量)이 약간(約間) 감소(減少)하였을 뿐, 기타(其他)의 성분(成分)은 변화(變化)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밀기울을 첨가(添加)하므로서 수분(水分)을 조절(調節)할 수 있었고 영양분(營養分)도 증가(增加)되었으나 이는 단지 밀기울의 성분함량(成分含量)에 좌우(左右)되었다. 또한 Silage의 성분손실량(成分損失量)은 제조후(製造後) 2주(週)에서 1개월(個月)사이에 10%정도(程度)였으며 그후(後) 약간씩 감소(減少)하여 6개월후(個月後)에는 15%정도(程度)였는데 호박을 그대로 저장(貯藏)했을 시(時)는 9월(月)부터 12월(月)사이에는 수분함량(水分含量)이 특(特)히 많은 Mammoth pumpkin을 제외(除外)하고 그 감량(減量)이 심(甚)하지 않았으나 월동(越冬)을 한 2월(月)에는 3종(種)의 호박 거의가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상실(喪失)하였다. 2. Silage의 품질(品質) 또한 처리구간(處理區問)에는 특별(特別)한 차이(差異)가 없이 pH가 3.8~4.1, 유기산중(有機酸中) 유산(乳酸)이 2.09~2.93%였고 초산(醋酸)이 0.68~1.71%, 낙산(酪酸)은 0%로서 Flieg씨(氏) 평점법(評點法)에 의(依)하면 모두 98~100점(點)으로 양질(良質)의 Silage가 제조(製造)되었다. 3. Mammoth pumpkin silage를 산란계(産卵鷄)에 급여(給與)하여 사료섭취율(飼料攝取率), 산란율(産卵率), 난중(卵重) 및 Haugh unit등(等)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고형물기준(固形物基準)으로 Silage를 5.0%와 7.5%급여구(給與區)가 가장 좋았고 다음이 2.5%구(區)였으며 10%급여구(給與區)는 대조구(對照區)보다 떨어졌다. (P<0.01). 이는 호박 Sil-age가 신선(新鮮)하므로 기호성(嗜好性)을 증진(增進)시켰고 Vitamin등(等) 풍부(豊富)하여 산란(産卵)을 촉진(促進)시키는 것으로 사료(恩料)되나 10%이상(以上)의 급여(給與)는 양(量)이 너무 많아 효과적(效果的)인 급여(給與)가 못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4. 호박을 이용(利用)하여 양질(良質)의 Silage를 제조(製造)할 수 있었고 또한 산란계(産卵鷄)에 급여(給與)한 결과(結果) 산란율(産卵率)도 증진(增進)되었으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너무 많은 관계(關係)로 다량(多量)의 Silage가 요구(要求)되므로 가축(家畜)의 기본사료(基本飼料)로는 적당치 않고 단지 사료가치(飼料價値)가 떨어지는 타사료(他飼料)와 혼합(混合)하여 Silage를 제조(製造) 이용(利用)하므로서 타사료(他飼料)의 기호성(嗜好性)을 향상(向上)시켜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증진(增進)시키고 아울러 Vitamin을 공급(供給)할 수 있는 방향(方向)으로 Silage를 제조(製造) 이용(利用)함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담체 고정화 효소 반응기를 이용한 Histamine의 전기화학적 측정 (Amperometric Determination of Histamine using Immobilized Enzyme Reactors with Different Carriers)

  • 지정윤;전연희;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8-94
    • /
    • 2012
  • Histamine은 발효식품, 등푸른 생선 등 단백질이 많이 함유된 식품에서 잘 생성되는 물질로 이들 식품의 부패 시에는 다량의 histamine이 발생되어 이를 섭취하였을 때 독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histamine은 어육식품의 선도 저하 또는 부패의 지표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속하며 정확한 histamine 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능화된 MWCNT와 Prussian blue를 사용한 전극을 제작하였으며, 여러 불용성 담체에 효소를 고정화시켜 바이오센서 시스템에 적합한 불용성 담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MWCNT-$NH_2$와 Prussian blue가 도입된 전극의 과산화수소에 대한 감응도를 확인한 결과, 검출한계는 $0.1{\mu}M$으로 나타났으며, 각 담체의 효소 고정화도를 측정한 결과, CNBr-activated sepharose 4B는 48.5%, calcium alginate는 40.3%, controlled pore size glass beads는 51.0%를 보였다. 또한 CNBr-activated sepharose 4B, calcium alginate, controlled pore size glass beads로 제작된 효소반응기의 $100{\mu}M$ histamine에 대한 전극 감응도는 각각 120 nA, 110 nA, 140 nA로 나타났다. 따라서 담체의 coupling efficiency, 제작된 효소반응기의 전극 감응도, 선형 관계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controlled pore size glass beads가 본 연구에서 구축된 바이오센서 시스템에서 가장 적합한 담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이들 작업전극과 효소반응기로 구축된 바이오센서는 histamine을 감도 높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약제 및 구중청량제의 품질 실태 조사 및 안전성 평가 (A survey on status of quality and risk assessment in dentifrices and mouthwashes)

  • 곽재은;박원희;류회진;한진;최정은;김성단;황인숙;신용승
    • 분석과학
    • /
    • 제36권6호
    • /
    • pp.300-314
    • /
    • 2023
  • 유통되고 있는 치약제 31품목(어린이치약 6품목 포함) 및 구중청량제 18품목(어린이구중청량제 2품목 포함)의 불소 함량, pH, 보존제와 타르색소의 함량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 실태를 조사하고 기준 및 제품의 표시 사항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불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 치약은 26건에서 48~1472 ppm, 구중청량제는 15건에서 85~225 ppm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었고 치약제와 구중청량제의 불소 검출률은 각각 83.9 %, 83.3 %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불소가 검출된 치약제와 구중청량제 41건 중 40건은 표시량의 90.7~109.8 %로 불소 함량 기준인 90.0~110.0 %에 적합하였으나, 치약 1건이 제품에 표시된 불소함량의 36.3 %로 부적합을 나타내었다. 치약의 pH는 5.1~9.4, 구중청량제의 pH는 4.2~6.2로 기준에 모두 적합하였다. 6종의 보존제 함량을 동시 분석한 결과 안식향산은 치약 6건과 구중청량제 9건 총 15건에서 30.6 %의 검출률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소르빈산은 구중 청량제 9건(검출률 18.4 %)에서 검출되었으며,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 4종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황색4호 등 10종의 타르색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치약 2건, 구중청량제 7건 총 9건에서 적색40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3호, 녹색3호, 청색1호 등 6가지 종류가 검출되었으며, 청색 1호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치약제와 구중청량제에서 검출된 불소 농도, 첨가된 보존제와 타르색소는 제품의 표시사항과 일치하였고 표시면에 잘 기재되어 있었다. 검출된 보존제와 타르색소는 일일섭취량허용량과 비교하여 위해도가 낮아 안전한 수준이었다.

산란계 품종별에 따른 계란의 주요 성분과 품질 비교 (Comparison of principle components and quality of eggs by laying hen breeds)

  • 김병기;하재정;이준구;오동엽;정대진;최성복;황은경;김수정;이제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1307-1316
    • /
    • 2016
  • 본 논문은 계란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란계 종류에 따른 계란품질과 성분조성을 실험 및 분석하였다. 산란개시 32주령에 있는 4개 품종의 청색란실용계 (BC), 연산오골계 (YS), 재래닭 (KN), 백색레그혼 (WL) 총 120수 (각 처리구당 10수 ${\times}$ 3반복 ${\times}$ 4처리구)를 임의 배치하여 생산된 계란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계란의 품질 평가의 경우, BC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호우닛 계수 (82.82),난각강도 (0.37mm) 및 난각두께 ($40.58kg/cm^2$)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왔으며,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BC가 317.58mg/100g로 가장 낮았지만, YS는 381.30mg/100g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p<0.05). 그리고 계란의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 (C18:1n9)함량은 BC가 다른 품종보다 매우 낮았으며, 아미노산의 경우에는 Thronine과 Proline을 제외한 모든 성분에서 대체로 WL종이 다른 품종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0.05).

Escherichia coli에서 발현된 Recombinant Bacillus pasteurii Urease의 정제 및 효소학적 특성 (Purification and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the Bacillus pasteurii Ureas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 이은탁;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19-526
    • /
    • 1992
  • Bacillus pasteurii의 urease gene이 Escherichia coli HB101에서 발현된 Bacillus성 recombinant urease를 단일단백질으로 정제하고 그 효소학적 특성을, 별도로 정제한 B.pasteurii urease의 그것과 비교검토하였다. B.pasteurii urease gene이 cloning 된 E.coli HB101(pBU11)의 균체파쇄액으로 부터 TEAE-cellulose, DEAE-Sephadex A-50, Sephadex G-150, sephadex G-200 등의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와 gel filtration을 이용하여 E.coli내에서 발현된 B. pasteurii성제하였으며, 또한 B.pasteurii로부타 비활성도 185.2배의 urease를 정제하여 disc gel electrophoresis로 단일 단백으로 정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제된 두 urease 들의 native 상태의 분자량은 공히 280,000$pm$10,000 정도로 확인되었고, SDS-electrophoresis에의 해 subunit 유무와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도 67,000정도의 subunit 4개와 20,000의 subunit 1개로 된 $\alpha$$\beta$ 구조의 동일한 효소단백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Gene donor인 B. pasteurii와 cloning 된 균주 E. coli(pBU11)이 생산한 두 urease의 효소학적 특성을 비교 조사해본 결과 두 urease의 최적반응 pH는 공히 7.5로 나타났으며, pH에 대한 안정성도 두 ureaserk 공히 pH 5.5에서 10.5 사이에서 50% 이하로 활성이 떨어지지 않는 강한 pH 안정성을 보였다. 두 urese의 최적반응의 온도는 $60^{\circ}C$였으며, 비교적 온도에 대한 저항이 강한 효소임을 알았다. 두 urease의 활성에 미치는 금속이온의 영향은 $Ag^{2+}$, $Hg^{2+}$ 등에서 양효소가 모두 강한 저해현상을 받는 반면, $Mn^{2+}$, $Mg^{2+}$ 에서는 다소 촉진되는 현상을 보였다. 효소반응 저해제들의 영향을 조사해 본 결과 p-CMB, acetohydroxamic acid에 두 urease가 모두 강한 저해를 받았다. 두 urease의 $K_m$ 값과 $V_{max}$ 값은 E. coli(pBU11)의 urease는 $4.21{\times}10^{-2}mol/\ell$, $86.96\ell$mol/min 이었고, B. pasteurii urease는 $4.04{\times}10^{-2}mol/\ell$, $160\ell$mol/min이었다. 따라서 B. pasteurii의 urease나 그 urease gene으로 cloning되어 E. coliso에서 발현된 recombinant urease는 분자량이나 효소학적 특서에서 거의 동일한 효소단백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압산소요법이 재식치아 치주조직치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YPERBARIC OXYGEN THERAPY ON PERIODONTAL WOUND HEALING OF REPLANTED RAT TOOTH)

  • 정일영;김광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1-57
    • /
    • 1997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yperbaric oxygen therapy on periodontal wound healing of replanted rat tooth. 80 rats (Sprague-Dawley strain) weighting $130{\pm}5gm$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ing of 40 rats. Rats were administered 0.4% ${\beta}$-aminoproprionitrile for 5 days to achieve gentle tooth extraction. The maxillary first molars were extracted under anesthesia with pentobarbital, washed in sterile distilled water, treated with bacterial collagenase to remove collagen fibers on the root surfaces. After washing in water overnight, the mesial root surface were demineralized by application of citric acid, washed, dried and stored at $4^{\circ}C$. Immediately after tooth extraction and bleeding control, the treated molars extracted previously from other rats were replant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hyperbaric oxygen at 2.5 atm. for 2 hrs. a day during experimental period. Eight animals of each group were sacrificed 1, 3, 6, 8, 10 days after reimplantation of teeth by intracardiac perfusion with 4% paraformaldehyde. The replanted molars and surrounding tissues were cut, demineralized, dehydrated and embedded in paraff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azan, toluidine blue and hematoxylin. Some other sections were stained by means of immunostaining achieved by the avidinbiotin complex method. The results as follows; 1. Experimental group showed fast healing of gingival epithelium. 2. Macrophage and newly formed blood vessels appeared early in the gingival connective tissue of experimental group. 3. Experimental group showed fast, abundant fibroblast proliferation and regularity of collagen fiber. 4. In both group, collagen was distributed along the collagen fiber. The distribution was strong and regular in the experimental group. 5. In the regenerated periodontal ligament of experimental group, fibers showed regular arrangement and invaded root surface fast.

  • PDF

A Probiotic Preparation Alleviates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Murine Models

  • Kim, Min-Soo;Kim, Jin-Eung;Yoon, Yeo-Sang;Seo, Jae-Gu;Chung, Myung-Jun;Yum, Do-Yo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149-158
    • /
    • 2016
  • Atopic dermatitis (AD)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with a complex etiology that encompasses immunologic responses. AD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elevated immunoglobulin (Ig) E levels, and common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e to its pathogenesis. Several recent studies have documented the role of specific lactic acid bacteria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D in humans and mice.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Duolac ATP, a probiotic preparation, was determined in a mouse model with AD-like skin lesions. Alterations in the cytokine levels and histological staining suggested the alleviation of AD. The in vivo test showed that T helper (Th)2 cytokines, IgE, interleukin (IL)-4, and IL-5,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whereas Th1 cytokines, IL-12p40 and interferon (IFN)-${\gamma}$, were upregulated in all groups of mice treated with Duolac ATP compared to that observed in the group of mice treated with 1-chloro-2,4-dinitrobenzene (DNCB) alone. Moreover, the scratch score decreased in all mice treated with Duolac ATP. Staining of the dorsal area of the mice in each group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toluidine blue further confirmed the alleviation of AD in mice orally treated with Duolac AT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uolac ATP inhibits the development of AD-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by suppressing the Th2 cell response and increasing the Th1 cell response. Thus, Duolac ATP is beneficial and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AD-like skin le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