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Value

검색결과 5,397건 처리시간 0.038초

Nutritional value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lemon seed and sprout

  • Park, Yong-Sung;Dhungana, Sanjeev Kumar;Kim, Il-Doo;Shin, Dong-Hyun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27-631
    • /
    • 2020
  • High amounts of lemon seeds are discarded as by-products of processing industries. It is important to find some measures, whereby they could be used in value-added ways. Although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lemon seed oils, no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nutrient content of lemon seed sprou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value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lemon seeds and sprouts. The 1,1-diphenly-2-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potential, total polyphenol, and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ere higher in the sprouts than in the seeds. Similarly, the content of such mineral elements as Fe, Na, and Zn, increased with germination. However, salicylic acid and total mineral content were lower in the sprouts than in the seeds. The results indicate that lemon seeds and sprouts could be regarded as high-value materials in food and cosmetic industries.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Cellulases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 and Chemical Composition of Rhodesgrass (Chloris gayana Kunth.) and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Silages

  • Ridla, M.;Uchid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525-530
    • /
    • 1999
  • Prior to ensiling Rhodesgrass (RG) and Italian ryegrass (lRG) were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or with LAB+cellulases to compare their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s. LAB (Lactobacillus casei) was added to all ensiling materials (except the untreated control) of RG and IRG at a concentration of $1.0{\times}10^5\;cfu.g^{-1}$ fresh forage. The enzymes used were Acremoniumcellulase (A), Meicelase (M) or a mixture of both (AM). Each enzyme was applied at levels of 0.005, 0.01 and 0.02 % of fresh forage. The silages with each treatment were incubated at 20, 30 and $40^{\circ}C$ and stored for about 2 months. While no marked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RG and IRG silages with various treatments on dry matter (DM),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water soluble carbohydrate (WSC) cont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value, and lactic acid and butyric acid contents. LAB inoculation did not affect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either the RG or IRG silages. The combined treatments of LAB+cellulases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of both the RG and IRG silages as evidenced by the decrease in pH value and increase in lactic acid content. Increasing the amount of added cellulase resulted in a decrease in pH value and an increase in lactic acid content in both the RG and IRG silages. Cellulases A and AM had a greater effect than cellulase M on the fermentation quality of the RG and IRG silages. Incubation temperatures of 30 and $40^{\circ}C$ appeared to be more appropriate environments for stimulating good fermentation than $20^{\circ}C$.

국내폐탄광의 산성폐수 오염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the Contamination by Acid Mine Drainage in Abandoned Coal Mines)

  • 최우진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1-38
    • /
    • 1997
  • 산성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배우 복잡하기 때문에 산성폐수에 의해 오염된 지표수나 지하수등의 오염정도를 지역적, 시간적 변화에 따라 비교하는 일은 쉽지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산성폐수에 의해 오염된 지표수나 지하수의 오염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학적 지표를 제시하였으며, 오염지표를 이용하여 국내 폐탄광의 갱내 유출수에 대한 오염도를 검토하였다. 사용된 오염지표(Acid Mine Drainage Index)는 수질의 오염정도를 가장 잘 나타낼수 있는 7개의 변수 즉, pH값, 황산염(Sulfate), 철, 망간, 알루미늄, 구리 및 아연 함량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사용된 변수는 오염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중요도를 감안하여 가중치를 사용하였으며 , pH값 및 황산염함량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국내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산성폐수의 오염도 평가결과 경북 문경에 소재한 석봉탄광이 조사탄광중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높았으며, 지역적으로 영동지역에 위치한 폐탄광의 갱내 유출수가 영서, 중부, 서부 및 남부에 위치한 폐탄광에 비해 오염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대용우유 제조에 관한 연구 (제2보). 대용우유의 조성과 영양가 (Development of Imitation Milk (II). Feed Efficiency Ratio and Over-All Nutritive Value)

  • 유영진;김택영;이정근;김승환;김택제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5-131
    • /
    • 1977
  • Imitation milk는 식물성유(soy milk)에 식물성유(油), 탄수화물, whey powder, Nacascinate,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무기물 등을 배합 가공한 것이다. Spray dried 방법으로 제조한 imitation milk의 feed efficiency ratio 및 영양가 측정은 Albino Rat의 사육시험과 화학적분석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지방산과 아미노산의 각 성분조성은 Gaschromatography 및 Amino Acid Autoanalyzer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고찰하여 보면 필수아미노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이 feed efficiency ratio에 큰 영향을 미친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참외를 첨가한 탁주 술덧 식초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Takju Mash Vinegar Added Muskmelon)

  • 김태영;김상범;정용진;신진숙;박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22-526
    • /
    • 2003
  • 불량 참외의 효율적 활용방안으로 농가에서 제조가 가능한 식초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탁주 술덧에 참외를 첨가한 식초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총산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 산도는 모든 구간에서 4일째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수율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과정 중의 색도는 L값의 경우 발효 8일까지 증가하다 감소하였으며 참외 30%처리구(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값은 밀입국 처리구(B)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으며 b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초기보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유기산은 oxalic, tartaric, malic, lactic, acetic, citric 및 succinic acid가 모든 구간에서 검출되었으며, acetic acid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큰 함량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원료에 따라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alanine, arginine, glutamic acid 및 phenylalanine 등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특히 밀입국 15%(C)에서는 tyrosine이 35.70 mg%를 나타내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탁주술덧에 참외를 첨가한 식초의 품질은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원료에 따른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Nutritional Value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as Food Source

  • Ravzanaadii, Nergui;Kim, Seong-Hyun;Choi, Won-Ho;Hong, Seong-Jin;Kim, Nam-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5권1호
    • /
    • pp.93-98
    • /
    • 2012
  • Nutrition value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was analyzed due to increasing demand of usage as a protein source for domestic animals and even further for human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work was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stion of the Tenebrio molitor larvae, adult that were maintained under standard condition for further usage of mass-rearing system and its exuvium, and excreta. Tenebrio molitor, larvae, adult, exuvium and excreta contained 46.44, 63.34, 32.87, and 18.51% protein respectively, suggested that even excreta could be used as an additional supplement in food recycling process. This protein was also rich in amino acids such as Isoleucine, leucine and Lysine which all met the nutritional value recommended by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tty acid composition was detected with high component of oleic acid (C18:1), along with linoleic acid (C18:2) and palmitic acid (C16) in all adult, larvae, exuvium and excreta. These oleic acid (C18:1), linoleic acid (C18:2) and palmitic acid (C16) components were the same or even highly contained in excreta of mealworm 22.29, 47.19 and 19.17% respectively. Longer chains of unsaturated fatty acids consisted of two to three double bonds are known as healthy product was recognized in large amount. These results show new ways to consume mealworms and its waste for animal and human consumption.

수분함량과 저장온도에 따른 배합사료의 지방산화 및 지방산 조성 변화 (The Changes of Lipid Oxid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xtruded Pellet Feed by Dietary Moisture Level and Storage Temperature)

  • 장미순;김경덕;김강웅;이종윤;강용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6-233
    • /
    • 2008
  •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상품사료에 물을 첨가하여 수분함량이 5%, 15% 및 25%가 되게 조절한 배합사료를 5, 20(실온) 및 $35^{\circ}C$의 각각 다른 온도에 10일 동안 저장하면서 이틀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지방산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AV, POV, TBA값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수분함량에 따른 배합사료의 적절한 사용기한을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5% 수분함유 배합사료의 경우는 모든 저장온도에서 저장 10일째까지 AV, POV 및 TBA값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35^{\circ}C$에 저장한 수분함유 15% 및 25% 배합사료의 경우는 각각 저장 4일 및 2일 이후부터 AV, POV 및 TBA값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그 변화 폭도 컸다. 한편, 수분함량이 5%인 배합사료를 $5^{\circ}C$$20^{\circ}C$에 10일간 저장하는 동안 SFA, monoene 및 polyene의 지방산 함량에 별다른 변화는 없었으나, 수분함량이 15% 및 25%인 배합사료의 경우는 저장온도가 높고 저장일이 경과함에 따라 monoene의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polyene의 함량은 급속하게 감소 하였다. 또한, 수분함량 5% 배합사료를 $20^{\circ}C$에 저장한 경우는 PUFA/SFA 비율 및 불포화지방산 잔존율($C_{20:5}+C_{22:6}/C_{16:0}$)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수분함량 15% 및 25%인 배합사료는 저장 4일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35에 저장한 배합사료는 수분함량에 상관없이 저장 2일 이후부터 불포화지방산 잔존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수분함량 5%인 배합사료는 지질산화의 영향을 적게 받아 저장온도에 상관없이 다소 긴 기간동안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수분함량이 15% 및 25%인 배합사료의 경우는 가급적이면 저온에서 사용하고, $20^{\circ}C$(실온)에서 사용하는 경우라면 2일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지질산화에 의한 영양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 et Zucc.) 열매의 지질 및 향기성분 분석 (Analyses of Lipid and Volatile Components in Juniper Seed(Juniperus rigida Sieb. et Zucc.))

  • 신원선;하재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95-800
    • /
    • 2003
  • 우리 나라의 해안지역 및 전국의 산야에 분포하고 있는 노간주나무는 예로부터 열수추출하거나, 알코올로 추출하여 민간요법에 이용해온 예는 다수 있으나, 현재에는 그 이용여부가 보고된 바 없다. 노간주나무의 잎 및 열매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노간주나무의 잎과 열매의 지질의 일반성분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굴절률, 산가, 검화가, 요오드화가, 인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노간주나무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경우, 산가는 91.04, 요오드가는 133.60, 굴절률은 1.4724, 검화가는 82.38, 불검화가는 15.52, 인 함량은 11.02 ppm이었다. 열매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8월에 채취한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에서는 중쇄 지방산인 lauric acid 및 caprylic acid 등이 약 50% 정도 차지하고 있었으나, 열매의 성수기에 접어드는 10월에 채취한 시료에는 전체 지방함량중 linoleic acid가 47.64%, linolenic acid가 17.55%, oleic acid가 16.05%, palmitic acid가 11.19%의 순으로 계절에 따른 지방산의 분포 및 조성비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간주나무의 열매로부터 SPME를 이용하여 추출한 정유성분의 휘발성성분의 조성을 GC-MSD로 분석한 결과, 주된 향기성분은 $\beta$-myrcene, $\alpha$-pinene, $\beta$-farnesene, $\beta$-cubebene, limonene 등이었으며, transcaryophyllene, $\alpha$-terpinolene 등과 camphene, sabinene, $\beta$-pinene, ${\gamma}$-terpinene, 1,4-terpineol, $\alpha$-fenchyl acetate, 2-undecanone, neryl acetate, jupinene, $\delta$-cadinene, germa acrene, farnesol 등이 검출되었고 원자방출검출기 (AE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특이적인 황화합물 및 질소화합물 등이 검출되지 않았다.

천연염색 직물의 자외선 차단 성능 증진 연구 - 홍화 황색소 염색 셀룰로오스 직물을 중심으로 - (Improving UV-cut Ability of Natural Dyed Fabrics - Focused on Cellulose Fabric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

  • 신윤숙;최승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73-8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ltraviolet-light (UV)-cut ability of cellulose fabrics (cotton, ramie, and rayon)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For this purpose, samples treated with UV-cut agent and tannic-acid were compared with the untreated samples after UV exposure in terms of K/S value, color changes(${\Delta}E$), SEM, and strength retention. The K/S value rapidly decreased after 28 days exposure, whereas the K/S value of the samples treated with both UV-cut agent and tannic-acid decreased to less than that of the untreated samples. In color changes, $L^*$ increased while $a^*$ and $b^*$ decreased, indicating less red and yellow character in color. This induced a change in the hue, value and chroma values. However the color change(${\Delta}E$) of the samples treated with both UV-cut agent and tannic-acid was less than that of the untreated sampl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pictures showed a severe degradation by exposure in all samples. Tensile strength rapidly decreased after 28 days for cotton and rayon, and after 21 days for ramie. However, the strength retention of the samples treated with UV-cut agent and tannic-aci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samples.

구기자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효과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 박복희;조희숙;박선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4-10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LFP). The cookies were stored at $50^{\circ}C$ for 40 days. The LFP additive increased the moisture, ash, crude protein and volume of the cookies. When LFP was added at $5\%$ into the cookies, the spread ratio was higher than for the control, the $10\%$ and the $20\%$ LFP cookies. As more LFP was added, the L-value decreased, and the a--values and b-values increased for the color values. Fo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the control cookies were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the other side, brittleness and gumminess were higher in cookies made with LFP than in the control cookies. Overall, the cookies made with $5\%$ LFP were preferred more than the other cookies, as tested forby sensory evaluation. The cookies made with LFP contained mostly palmitic acid (C16:0) followed by oleic acid (C18: 1) and stearic acid (C18:0).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 were lower in cookies made with $5\%$ and $10\%$ LFP than in those cookies made with $20\%$ LFP and the control cook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