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id Green-25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8초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균 작용과 성분 분석 (Antibacterial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ersicaria perfoliata Extracts)

  • 김선영;원두현;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8-282
    • /
    • 2010
  • 1) 며느리배꼽의 항균활성 측정결과, S. aureus, P. acnes, 에 대한 ethyl acetate 분획의 MIC는 각각 0.25%, 0.25%로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방부제, 항균제로서 역할이 충분히 기대된다. 2)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는 5개의 띠(PP1, PP2, PP3, PP4, PP5)로 분리가 되었고, 그 중에서 농도가 가장 진한 것은 $R_f$ 값이 0.32인 PP4로 나타났다. 3) 며느리배꼽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검출파장 320nm에서 8개의 peak를 나타내었고, peak 1은 caffeic acid, peak 2는 quercetin-3-o-glucuronide, peak 3은 isoquercitrin, peak 5는 quercetin, peak 6는 apigenin으로, peak 7은 kaempferol 임을 확인하였다. 4)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aglycone 분획의 TLC는 3개의 띠(PPA1, PPA2, PPA3)로 분리가 되었고, 그 중에서 농도가 가장 진한 것은 $R_f$ 값이 0.45인 PPA3로 나타났다. 5) 며느리배꼽 추출물 중 aglycone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검출파장 260 nm에서 3개의 peak를 나타내었고, peak 1은 caffeic acid, 높이가 가장 높은 peak 2는 quercetin 그리고 peak 3은 kaempferol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성분과 항균 활성으로부터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녹차 함유 카테친 및 카페인 동시분석을 위한 최적 HPLC 분석 조건 (Optimal HPLC Condition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techins and Caffeine in Green Tea Extracts)

  • 정명근;이민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24-232
    • /
    • 2008
  • 고 기능성 유용 차나무 품종육성 및 녹차의 이용성 증진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녹차 함유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 성분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고, 재현성 및 검출 감도가 증진된 최적의 HPLC 분석 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녹차에 함유된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의 동시분석을 위한 최적 HPLC 분석 조건을 검토한 결과 컬럼은 YMC-pak ODS-AM 303(25 cm)컬럼을 이용하고, 검출파장은 280 nm, 컬럼온도를 $30^{\circ}C$, 분당유속은 1 mL, 이동상 용매로는 A용매로 0.1% 인산 - 증류수, B용매로 100% MeOH를 사용하여 농도구배 조건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 분석법으로 조사되었다. 2. 녹차에 함유된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최적 HPLC분석조건의 재현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머무름 시간(Rt.)의 변이계수는 최대 1.23% 미만, peak area의 변이계수는 최대 5.13% 미만을 나타내어 확립된 녹차 함유 catechin 9종 화합물 및 caffeine의 HPLC 정량분석법은 재현성이 높은 분석법으로 확인되었고, 각 cafechin 화합물 및 caffeine 성분의 최소 검출한계는 최소 50ppb(0.050 ppm, 50 ng/mL)이하로 조사되어, 확립된 HPLC 분석법은 녹차의 작물학적 특성 평가용으로 활용하기에 전혀 무리가 없는 분석법으로 판단되었다.

추출조건에 따른 녹차음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Tea with Reference to Extraction Conditions)

  • 강수태;정창호;주옥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46-952
    • /
    • 2009
  • 추출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녹차음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녹차음료 1, 2 및 시판 녹차음료의 pH는 각각 6.22, 6.39 및 6.20이었고, 색도 L, a 및 b값은 각각 96.91, -1.06, 7.77, 96.20, -1.73, 13.68 및 95.40, -4.75, 25.51이었다. 녹차음료 1, 2 및 시판 녹차음료의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53.21, 262.65 및 58.36 mg/100 mL이었고,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aminoadipic acid(102.56, 136.29 및 27.02 mg/100 mL), arginine (23.32, 30.75 및 7.31 mg/100 mL) 및 serine (18.22, 17.96 및 5.94 mg/100 mL)이었다. 녹차음료 1, 2 및 시판 녹차음료의 총 페놀성화합물 및 카페인 함량은 각각 500.65와 317.34, 852.58과 225.51 및 387.14와 $164.53\;{\mu}g/mL$로 녹차음료 2가 높았다. 녹차음료 1, 2 및 시판 녹차음료의 총카테킨함량은 각각 294.80, 415.70 및 $130.99\;{\mu}g/mL$이었고, 주요 카테킨으로는 epigallocatechin, catechin 및 epigallocatechin gallate 순이었으며, epigallocatechin의 함량이 각각 186.5, 268.1 및 $82.26\;{\mu}g/mL$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녹차음료 1, 2 및 시판 녹차음료 동결건조물의 항산화 활성은 농도 의존적이었으며, 농도 $125\;{\mu}g/mL$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85.48%, 87.09% 및 87.03%였고, ferric reducing/antioxidant activity는 농도 $1,000\;{\mu}g/mL$에서 2.66, 2.70 및 2.67이었다. 또한 쓴맛을 제외한 색, 향, 단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관능검사결과 녹차음료 1, 2 및 시판녹차음료에서 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queous Extract of Coriander Seeds as Green Corrosion Inhibitor for 304 Stainless Steel in Hydrochloric Acid Solutions

  • Fouda, Abd El-Aziz. S.;Rashwan, Salah M.;Abo-Mosallam, Hytham A.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25-32
    • /
    • 2014
  • Corrosion inhibition of 304 stainless steel (SS) in 1 M HCl by aqueous extract of coriander seeds was studied using weight loss,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and electrochemical frequency modulation (EFM) techniques. Values of inhibition efficiency obtained are dependent upon the concentration of extract and temperature. Generally, inhibition was found to increase with inhibitor concentration, but decrease with temperature. Physical adsorption mechanism has been proposed for the inhibition with Langmuir adsorption isotherm obeyed. Values of activation energy of the inhibited corrosion reaction of 304 SS are greater than the value obtained for the blank. Thermodynamic consideration reveals that adsorption of aqueous extract of coriander seeds 304 SS surface is spontaneous.

GA 처리 후 급 성장하는 완두콩(Pisum sativum L.) 발아체로부터 분리된 중성 invert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Neutral Invertase from Fast Growing Pea (Pisum sativum L.) Seedlings after Gibberellic Acid (GA) Treatment)

  • 김동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21-1026
    • /
    • 2015
  • Invertase (β-D-fructosfuranosidase, EC 3.2.1.26)는 설탕을 포도당과 과당으로 가수분해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3종류의 invertases [액포(수용성 산), 세포질(수용성 알칼리) 및 세포벽 결합]가 식물에서 연구되어 왔다. 우리는 순차적인 ammonium sulfate 침전,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흡수크로마토그래피, Green-19 친화크로마토그래피 과정을 통해 완두콩(Pisum sativum L.) 발아체로부터 중성 invertase의 세포막 연결 isoform을 430배 순수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막과 결합 된insoluble invertase (IN-INV)는 최적 pH는 중성에서 알칼리 사이(pH 6.8-7.5)로 나타났다. 이 효소는 Tris 뿐만 아니라 Hg2+ and Cu2+와 같은 중금속에 의해 저해되었다. IN-INV 의 Km과 Vmax 값은 각각 12.95 mM과 2.98 U/min으로 측정되었다. IN-INV는 기질로써 과당뿐만 아니라 라피노오스와 반응하기 때문에 진정한 β-fructofuranosidase로 판명되었다. IN-INV의 분자량 20 kDa이었다. 위 결과로 볼 때 GA 영향으로 급속히 자라는 발아체에서 단백질이 분리되었는데 특징적으로 invertase였다.

품종별 보리잎의 이화학적 특성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Leaves from Different Varieties)

  • 석호문;김성수;홍희도;이영택;김정곤;김경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31-434
    • /
    • 1995
  • 파종시기, 재배지역 및 재배기간을 동일하게 하여 생육시킨 올보리, 수원 298호, 수원 311흐, 밀양 60호 보리 품종에 대해 출수 약 2주전에 보리잎을 채취하여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보리잎의 영양성분은 건물량으로 조단백 $25{\sim}29%$, 조지방 $9.3{\sim}9.9%$, 회분 $9.3{\sim}11.2%$, ${\beta}$-glucan $1.3{\sim}l.8%$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함량은 올보리 951mg%, 수원 311호 885mg%, 밀양 60호 866mg%, 수원 298호 826mg% 이었고 무기질 함량은 K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품종간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비타민 C의 함량은 올보리 328mg%, 수원 298호 266mg%, 수원 311호 278mg%, 밀양 60호 269mg% 이었다. 유리당의 함량은 품종간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품종에서 glucose의 함량이 $5.70{\sim}8.35%$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이 fructose, sucrose, raffinose의 순이었으며 올리고 당으로서는 $GF_2$인 1-kestose가 $0.26{\sim}0.39%$ 정도 존재 한 반면 $GF_3$인 1-nystose는 $0.03{\sim}0.04%$ 정도로 그 함량이 대단히 낮았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품종간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 아미노산 마다 일정치 않았다.

  • PDF

In vitro Propagation and Ex vitro Rooting of Tectona grandis (L.f ), APNBV-1 Clone

  • Ramesh, Kommalapati;Chandra, Mouli Kalla;Vijaya, Tartt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119-126
    • /
    • 2009
  • An efficient in vitro plant regeneration system was developed through shoot proliferation from axillary buds of Tectona grandis (L.f), APNBV-1 (Andhra Pradesh North Badrachalam Venkatapuram-1) clone. Multiple shoots of high quality were produced in vitro from axillary bud explants. An average of 4.39 shoots/explant were obtained on Murashige and Skoog's (MS) medium supplemented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benzyl amino purine (BA), kinetin (KN), indole acetic acid (IAA), gibberillic acid ($GA_3$), growth adjuvants casein hydrolysate (CH), adenine sulphate (Ads) and antioxidants ascorbic acid, polyvinyl pyrrollidine (PVP). Eighty five percent of rooting was observed in ex vitro rooting media containing IBA and vermiculite. In ex vitro rooting, single shoots with 2 to 3 nodes were subjected to IBA of different concentrations at different periods of time intervals. Direct rooting in vermiculite at 500 ppm concentration of IBA resulted in 4.3 number of roots with 2 cm length. Minimum response of rooting and length of roots were recorded at 100 ppm concentration of IBA. Planlets were transferred to plastic bags for short acclimatization stage in green house where they survived at 95%.

  • PDF

멀구슬나무 추출물의 추출 공정 개발 및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 of Melia azedarach on Plant Growth)

  • 성혜미;정원철;황인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73
    • /
    • 2020
  • 멀구슬나무 추출물이 식물 생장과 발달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멀구슬나무의 추출 공정 개발을 통한 추출 조건을 최적화, 항산화능, 페놀함량,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 하였으며 식물에서 생장 증식률을 평가 하였다. 추출 공정을 표준화하기 위해 물과 에탄올 비율별 추출 및 수율을 확인한 결과 25% 에탄올 추출물에서 22%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항산화능 평가 결과 DPPH, ABTS 모두 25%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과 비교 시 유사 하거나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폴리페놀 함량 분석 시, 25% 에탄올 추출물에서 4.6 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아미노산 함량 분석 시, 식물의 성장 성분인 glutamic acid와 식물의 수정을 돕는 성분인 prorine 함량이 높은 수치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멀구슬나무 25% 에탄올 추출물의 식물 생장능을 확인하기 위해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을 이용한 식물 생장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군이 하지 않은 control 군에 비해 입면적과 높이가 증가 하였으며 새순의 수가 더 증가하여 식물 생장능을 확인 하였다.

  • PDF

관수량 조절이 토마토 과실의 착색불량과 발생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ficit Irrigation on the Reduction of Green Shoulder Fruits in Fresh Tomato)

  • 강남준;조명환;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6-193
    • /
    • 2007
  • 관수량 조절을 통한 수분 스트레스 처리가 토마토 과실의 착색불량과실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관행 처리(-15 kPa)에서는 착색불량과실의 발생률이 26.4%였으나 관수량을 줄인 -30 kpa 처리구에서 12.5%로 50%이상 감소하였다. 과실의 전체 칼리 함량은 정상과실과 착색불량과실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착색불량과실의 경우 적색인 상단부위에 비해 녹색인 하단부위 과육에서 25% 많았다. 전반적으로 착과 후 시기가 경과할수록 가용성 당 함량은 증가하고 전분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착색불량과 실의 녹색인 하단부위 과육에서는 수확시기가 경과하여도 전분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Sucrose phosphate synthase 활성은 착색불량과실에 비해서 정상 과실의 과육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과육의 부위별 활성 차이도 적었다. Invertase의 활성은 정상과실에서는 상단부위와 하단부위 과육 간에 활성 차이가 없었지만, 착색불량과실에서는 적색인 상단부위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녹색인 하단부위에서는 낮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peroxidase와 alcohol dehydrogenase의 활성은 정상과실에서 높았으며, 착색불량과실에서는 녹색인 하단부위 과육과 적색인 상단부위 과육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토마토의 착색불량 과실은 과실내의 여러 가지 대사작용 불균형으로 발생되는데, 적당한 수분 스트레스 처리로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국산 들깻잎의 지방질 및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erilla Leaves(Pen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 신광규;양차범;박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10-615
    • /
    • 1992
  • 근래에 와서 널리 식용되고 있는 2종류의 들깻잎 즉 잎 뒷면이 녹색을 띄는 들깻잎(GPL)과 자색을 띄는 들깻잎(VPL)을 시료로 하여 이들의 지방질 및 지방산 조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총지방질 함량은 건중당 GPL에서는 5.24%, VPL에서는 5.02%로 두 시료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총지방질중 중성지방질은 $34.67{\sim}36.36%$, 당지방질은 $49.06{\sim}50.94%$, 인지방질은 $14.39{\sim}14.58%$로 함유되어 VPL에서는 중성지방질과 인지방질이 GPL에서는 당지방질이 약간 높게 함유되었다. 중성지방질의 주요성분은 sterol ester-hychocarbons $(58.07{\sim}58.54%)$과 triglyceride(14.9%)였으며 당지방질에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42.4{\sim}44.9%)$ digalactosyl diglyceride$(13.4{\sim}15.4%)$였고, 그리고 인지방질에서는 phosphatidyl ethanolamine$(40.1{\sim}45.0%)$이었으며 이들 함량은 GPL과 VPL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GPL과 VPL간에 구성분의 유사도는 중성지방질(r=1.00), 당지방질(r=0.997) 그리고 인지방질(r=0.968)의 순으로 감소되었다. 총지방질 지방질획분의 구성 주요지방산은 총지방질 중에는 linolenic acid$(62{\sim}64%)$, palmitic$(10{\sim}12%)$ linoleic acid$(9{\sim}10%)$였고, 중성지방질에는 linolenic acid$(42.2{\sim}43.2%)$, palmitic acid(15.2%), myristic acid$(14.4{\sim}14.9%)$, 당지방질에는 linolenic acid$(74.6{\sim}79.4%)$, oleic acid$(8.0{\sim}10.8%,$, palmitic acid$(5.2{\sim}7.9%)$, 인지방질 중에는 linolenic acid$(36.4{\sim}39.1%)$, linoleic acid$(22.6{\sim}25.4%)$, palmitic acid$(22.4{\sim}22.5%)$였다.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VPL의 당지방질에서 가장 높았다. GPL과 VPL간에 지방산 구성유사도는 인지방질에서 가장 작았고, 인지방질과 다른 지방질 획분간에도 그러하였다.

  • PDF